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metaDataId=4b76f6dc1a016e76011a0a5bc6e7686c
노숙자의 심리사회적 외상과 노숙이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Psychosocial Trauma according to the Homeless Duration on the Exit from the Homeless Shelter
이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노숙자의 심리사회적 외상과 노숙이탈에 미치는 영향 | 남기철(서울대학교) )의 '연구성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DB구축사업 참여 관련분야 전문가가 추가 입력한 정보입니다.
제작기관 서울대학교
발행국가 한국
발행일 2000-08-01
전체페이지수 pp. 1 ~ 167 (167pages)
언어 한국어
색인어 노숙자, 심리사회적외상, 학습된무기력, 보호시설퇴소
  • 주초록(메인언어)
  • 본 연구는 최근 들어 급격히 증가한 우리나라 노숙자들의 심리사회적 외상에 대해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시도이다. 우리나라는 노숙자 문제가 사회문제로 인식되어 이에 대처해 온 경험이 축적된 서구국가들의 상황과는 달리 IMF 경제위기 이후에 대량으로 노숙자가 발생한 상황을 처음으로 경험하고 있으며 노숙자의 심리사회적 문제에 관한 연구도 거의 이루어지지 못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노숙자들의 노숙기간, 심리사회적 외상, 보호시설에서의 퇴소와의 관계에 대해 초점을 두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노숙생활을 하게 만드는 원인을 노숙자의 심리사회적 속성에서 찾는 관점에서 벗어나 노숙생활이 노숙자들의 심리사회적 외상을 가져오는 위험요인이라는 관점에서 노숙자의 심리사회적 외상을 조망하였고 이 심리사회적 외상이 노숙자 보호시설에서의 퇴소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두 가지의 연구문제를 상정하였다. 첫째는 노숙기간에 따라 노숙자의 심리사회적 외상의 양상은 어떻게 나타나는가이고 두 번째는 노숙자의 심리사회적 외상은 보호시설에서의 퇴소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이다.
    선행연구들에 대한 검토결과 노숙자의 심리사회적 외상을 설명하는 대표적인 이론적 개념으로 사회적 연계단절과 학습된 무기력이 설정되었다. 사회적 연계단절은 노숙생활을 통해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정도가 감소하고, 사회적 관계망의 크기가 축소되며, 관계망에서 노숙자가 차지하는 비율이 높아지는 양상을 통해 노숙자들이 주류 사회와 단절되고 사회 관습적인 행동방식에서 이탈하게 만드는 요인인 것으로 제기되었다. 또한 노숙생활은 자신의 생활에 대한 전반적인 통제력과 변화의욕을 상실하게 하는 학습된 무기력의 양상을 유발한다는 점이 지적되고 있었다. 이러한 양상은 자기효능감이 저하되고, 외적 통제소와 우울 성향이 강화되며, 알코올 중독이 나타나고, 노숙생활에 대해 수동적으로 적응해가는 만성적 모습을 통해 살펴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심리사회적 외상이 노숙기간에 의해 어떻게 영향을 받고 있는가와 보호시설 퇴소형태에 대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기 위해서 실증적인 서베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노숙기간은 총 노숙기간과 길거리 노숙기간을 살펴보았고, 심리사회적 외상에 대해서는 사회적 연계단절 관련 변수들과 학습된 무기력의 심리적 역기능 관련 변수들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보호시설에서의 퇴소는 노숙생활에서 이탈하는 방향의 긍정적 퇴소와 노숙생활에 점점 만성적으로 빠져들어가는 방향의 부정적 퇴소로 구별하여 살펴보았다. 서울시내 노숙자 보호시설 입소자 10%에 해당하는 355명을 대상으로 1999년 7월과 8월에 걸쳐 노숙기간과 심리사회적 외상에 대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2000년 4월 1일까지 퇴소형태에 대해 추적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여기서 얻어진 자료를 통해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과 사건사 분석 등의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얻어진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노숙기간이 길어질수록 사회적 연계단절의 양상이 심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회적 연계단절을 보다 구체화하여 설정하였던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정도, 관계망의 크기, 관계망에서 노숙자가 차지하는 비율의 3개 변수가 모두 노숙기간에 의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받고 있음이 실증적으로 입증되었다.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정도는 길거리 노숙기간과 총 노숙기간이 길어지면서 점점 작아지고 있었다. 노숙 초기에 이미 상당한 정도의 사회적 지지를 상실하였을 뿐만 아니라 노숙기간이 길어지면서 사회적 지지는 지속적으로 상실되고 있는 것으로 지각되어 자신이 지원을 받을 수 없고 고립되어 있다는 상황인식을 낳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아울러 실제의 사회적 관계망 역시 노숙기간이 길어지면서 축소되고 있었다. 이는 특히 길거리 노숙기간 보다도 총 노숙기간이 길어지면 자신에게 원조를 줄 수 있고, 활용할 수 있는 주변의 자원이 점차 상실된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관계망에서 노숙자가 차지하는 비율이 높아지고 상대적으로 재활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다른 사회적 관계망은 줄어들고 있었다. 특히 관계망에서 노숙자가 차지하는 비율이 커지는 것은 길거리 노숙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나타나는데 길거리 노숙의 경우 보호시설에서의 생활보다도 노숙자 이외의 다른 관계망을 유지하거나 회복할 기회가 작기 때문이다. 이러한 일련의 양상은 결국 노숙자들이 노숙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주류 사회와 단절되는 사회적 연계단절의 양상을 이끌어 내고 있었다.
    둘째, 노숙기간이 길어질수록 학습된 무기력의 심리적 역기능이 심해지고 있었다. 노숙자의 학습된 무기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설정된 심리적 역기능인 자기효능감의 저하, 외적 통제소 성향의 강화, 우울 성향의 강화, 알코올 중독, 노숙생활에 대해 만성적으로 적응해버리는 특성이 모두 노숙기간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특히 이러한 심리적 역기능 양상은 총 노숙기간보다는 길거리 노숙기간의 영향을 더 크게 받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사회적 연계단절이 심화된 노숙자는 긍정적 퇴소의 가능성은 줄어들고 부정적 퇴소의 가능성이 늘어나는 대체적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그러나 사회적 연계단절 관련 변수에 해당하는 지각된 사회적 지지, 관계망의 크기, 관계망에서 노숙자가 차지하는 비율은 각각의 퇴소형태별로 주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양상이 상대적으로 다르게 나타났다.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정도와 관계망의 크기라는 사회적 지지망의 양적 측면에 해당하는 두 가지 변수는 긍정적 형태의 퇴소가능성에 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관계망에서 노숙자의 비율이라는 관계망의 내용적 측면의 변수는 부정적 형태의 퇴소에주로 영향을 미치는 요소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학습된 무기력 관련의 심리적 역기능성이 심화된 노숙자는 긍정적 퇴소의 가능성은 줄어들고 부정적 퇴소의 가능성이 늘어나는 대체적인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그러나 사회적 연계단절 요인에서와 마찬가지로 심리적 역기능 관련 변수 중에서도 긍정적 형태의 퇴소와 부정적 형태의 퇴소에 영향을 주는 변수는 조금씩 상이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긍정적 형태의 퇴소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자기효능감과 외적 통제소, 우울이었는데 부정적 형태의 퇴소에는 외적 통제소와 알코올 중독이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노숙생활이라는 사건이 사회적 연계단절과 학습된 무기력이라는 노숙자의 심리사회적 외상을 발생 혹은 심화시키는 위험요소임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심리사회적 외상이 노숙자들이 보호시설에서 퇴소하는데 영향을 미치고 있는 요인임을 밝히고 있다. 특히 본 연구는 보호시설에서의 퇴소를 노숙생활에서 이탈하여 정상적인 사회생활로 복귀하는 긍정적인 형태인가 길거리 노숙으로 빠져드는 부정적인 형태인가를 구별하여 분석함으로써 각 퇴소의 내용별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구별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노숙자의 심리사회적 외상에 개입하여 정상적인 사회생활로 복귀시키기 위한 사회복지실천의 개입지점을 제시하여 주고 있다. 사회적 연계단절에 대처하기 위해서 노숙자 이외의 사회적 관계를 강화하고 학습된 무기력에 대처하기 위해서 능력고취실천이나 자기존중감 향상에 초점을 둔 사회복지실천이 노숙자 보호시설에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최근 들어 급격히 노숙자의 수가 증가하였고 150개소가 넘는 노숙자 보호 시설이 최근 2년 사이에 운영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노숙자 보호시설에서 응급구호적 보호 이외의 심리사회적 외상에 대한 사회복지실천은 아직 체계화되지 못한 상황이다. 노숙자들이 정상적인 사회경제생활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노숙자 보호시설에서 노숙자의 심리사회적 외상에 대처하는 전문적인 사회복지실천의 여건이 조성되어야 할 것이다.
  • 부초록(다른언어)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an indepth investigation into the psychosocial trauma of the homeless. During the past 2 years, the number of the homeless in Korea has dramatically increased. Thus interest in and concern about homelessness has increased among professionals, policy makers and general public. However few scientific studies on the homeless'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are founded in Korea.
    A review of literature reveals that the homeless'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may be risk factors for homelessness. However, little attention has been given to the possibility that homelessness itself may be a risk factor for psychosocial trauma. Hence, this study intends to the investigation of relationships among homeless duration, psychosocial trauma, and the exit from the homeless shelter.
    This study poses the following two research questions : (1) What is the pattern of the psychosocial trauma of the homeless according to homeless duration? (2) What effects does the psychosocial trauma of the homeless have on the exit from the shelter?
    As the results of a literature review, social disaffiliation and learned helplessness were identified as key theoretical concepts of the homeless' psychosocial trauma. The homeless, who perceived to receive small support from others, who had small social network, whose network was composed primarily of the homeless, tended to be socially disaffiliated. The homeless who showed low level of self-efficacy, external locus of control, high level of depression, alcoholism, high level of acculturation to homeless life condition were considered to present serious learned helplessness.
    For this study, A survey research was conducted using self-reported questionnaire concerning homeless duration and the psychosocial trauma.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355 sheltered homeless people in Seoul. The sample was 10% of the homeless residents at homeless shelters in Seoul. Respondent's exit time and exit type from the shelter were investigated through interview with staff of the shelter as of April of 2000.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event-history analysis(Cox regression) were employed in order to analyze data.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the longer homeless career, the more disaffiliative to mainstream society. The homeless with longer homeless career showed lower level of perceived social support, smaller size of social network, higher ratio of the homeless in social network. Homelessness produced a cognition of isolation or distrust as well as actual disruption of social bonds. Under the homeless condition, the homeless' social relationship with others who are not homeless was seriously restricted. These tendencies resulted in social disaffiliation and process of increasing detachment from transitional social role and ways of behavior.
    Second, the longer homeless career, the more serious the homeless' psychological disfunction related to learned helplessness. That is, the homeless who had longer homeless career showed lower self-efficacy, more external locus of control, more symptoms of depression and alcoholism, and more acculturation to homeless life condition. Particularly, this psychological disfunction related to learned helplessness was influenced much more by street homeless career than by overall homeless career. This means the life condition in street is more dangerous factor to traumatic psychological symptom than the one in the shelter.
    Third, social disaffiliation had a salient effect on the exit from the shelter. The homeless seriously disaffiliated to the mainstream society had lower likelihood of the positive exit from the shelter and higher likelihood of the negative exit from the shelter. But, in social disaffiliation factors, factors influencing positive exit and factors influencing negative exit were founded to be different. The quantity characteristics of social support including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social network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acceleration of positive exit from the shelter but not a significant effect on the restraint from negative exit. However, the lower ratio of the homeless in the social network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restraint from negative exit but not a significant effect on the acceleration of positive exit.
    Fourth, learned helplessness had a salient effect on the exit from the shelter. The homeless who showed serious disfunctional symptoms related to learned helplessness had lower likelihood to the positive exit from the shelter and higher likelihood to the negative exit from the shelter. In the learned helplessness factors, factors influencing positive exit and factors influencing negative exit were founded to be different. The high level of self-efficacy, and low level of depress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acceleration of positive exit from the shelter but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restraint from negative exit. However, the low level of alcoholism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restraint from negative exit but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acceleration of positive exit. Only locus of control factor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both types of exit. External locus of control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acceleration of negative exit, while internal locus of control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acceleration of positive exit.
    In conclusion, homelessness may be a riskful event that causes or deepens psychosocial trauma of the homeless. The homeless' psychosocial trauma has a key role on how the homeless exits from the shelter. The homeless whose psychosocial trauma is serious, would be likely to exit negatively from the shelter and go to street. But the homeless whose psychosocial trauma is relatively not serious, would be likely to exit positively from the shelter and return to the normal society. Especially, trauma factors influencing positive exit are distinguished from the factors influencing negative exit from the shelter. Factors including perceived social support, size of social network, self-efficacy, the tendency of internal locus of control, and less serious symptom of depression are relative to the positive exit from the shelter. On the other hand, factors including the ratio of the homeless in social network, the tendency of external locus of control, and alcoholism are relative to the negative exit from the shelter.
    These findings have som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social work practice in homeless shelters. The homeless' psychosocial trauma is a critical barrier for them to return to normal social life. So shelters for the homeless have to provide not only food, clothing and bed, but also professional social work intervention to overcome psychosocial trauma related to homelessness. Social workers in the homeless shelter have to mitigate or even prevent the development or exacerbation of psychosocial trauma such as social disaffiliation and learned helplessness. To cope with the homeless' social disaffiliation, we need to attempt to strengthen social support and network except from the homeless. To cope with the homeless' learned helplessness, we need to attempt social work practice to enhance self-efficacy, internal locus of control and empowerment. But the current condition of homeless shelters in Korea is very insufficient for professional social work practice. Therefore, it is critically important to make proper condition for professional psychosocial interventions.
  • 목차
  • 1. 서론
    2.이론적배경
    3.연구방법
    4.결과분석
    5.결론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