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연구의 필요성
최근에 우리 교육계에는 수행평가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우리 교육계에서는 수행평가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현재 학교현장에서는 수행평가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이 제대로 마련되어 있지 않으며 특히 수 ...
1. 연구의 필요성
최근에 우리 교육계에는 수행평가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우리 교육계에서는 수행평가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현재 학교현장에서는 수행평가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이 제대로 마련되어 있지 않으며 특히 수행평가의 도구개발과 실시방법 및 결과활용 등에 있어서 많은 시행착오를 겪고 있다는 지적이 많다. 하지만, 오늘날 우리 교육의 현실을 감안해 볼 때, 이제는 초등학교 수행평가의 내실화가 절실히 요청되고 있다. 내실화를 위해서는 초등학교에서 학교 구성원들간의 수행평가 문화에 대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학교 구성원들인 교사와 학생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협조가 필수적이며, 이들이 수행평가를 어떻게 생각하고 어떻게 관리 및 대처하고 또한 서로간에 상호작용하고 있는지에 대한 수행평가 문화의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초등학교 수행평가의 내실화를 기하기 위해서는 수행평가에 대하여 학생들의 관점에서도 그들의 문화가 무엇인지와 그들의 대응 구조와 양상들을 연구해 볼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이러한 연구의 필요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와 학생들의 수행평가에 대한 관심과 역할 수행을 확인해 볼 필요가 있다.
둘째, 초등학교 수행평가와 관련하여 교사와 학생들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초등학교에서 교사들의 수행평가에 대하여 학생들이 어떻게 대응하고 있는지 그들간의 대응 문화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넷째, 이 연구는 연구방법에 있어서 질적 연구를 활용한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2. 연구의 목적
따라서, 이 연구는 초등학교에서 교사들이 실시하는 수행평가에 대하여 학생들이 어떻게 대응하고 있는지 그들의 문화를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 물음은 첫째, 초등학교 수행평가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초등학교 교사의 수행평가에 대한 학생들의 대응 행동 유형(구조와 양상)은 어떠한가? 셋째, 초등학교 교사의 수행평가에 대한 학생들의 대응 문화는 무엇인가? 넷째, 초등학생들의 수행평가 대응 문화 형성의 사회ㆍ문화적 조건은 무엇인가? 이다.
3. 연구의 내용
이 연구의 물음에 대한 답을 얻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의 수행평가에 대한 학생들의 일반적인 인식을 파악한다. 초등학교 교사의 수행평가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은 다양할 것이다. 초등학교에서 실시되고 있는 수행평가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파악하고자 한다. 즉, 초등학교 수행평가의 사전예고제 실시 여부, 도구나 문항의 형태와 수준, 채점이나 평정 방법, 결과의 활용 등에 관한 학생들의 인식을 파악하고자 한다.
둘째, 초등학교 교사의 수행평가에 대한 학생들의 대응 행동 유형(구조와 양상)을 규명한다. 초등학교에서 실시하는 수행평가의 형태와 방식은 각 학급 교사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또한, 교사의 수행평가 방식이나 태도에 따라 학생들이 대응하는 방식(구조와 양상)은 달라질 것이다. 따라서, 초등교사의 수행평가 실시 방식과 그에 따른 학생들의 대응 행동을 그 유형별로 규명하고자 한다. 교사와 학생들간의 수업시간에 평가를 통한 상호작용, 교사들이 수행평가를 통해서 채점과 평정하는 방식과 유형, 교사들이 공정하게 평가하기 위한 노력, 학생들이 좋은 평정을 받기 위한 노력이나 과정들, 학생들의 과제에 대응하는 방식들에 대하여 그 유형을 밝혀 내고자 한다.
셋째, 초등학교 교사의 수행평가에 대한 학생들의 대응 문화를 규명한다. 초등교사의 수행평가 실시 방식과 태도에 따라 학생들의 사회ㆍ문화적 대응 행동은 일정한 구조와 양상을 보일 것이다. 즉, 교사의 수행평가의 실시, 채점, 평정에 관한 관심, 실시 방식, 가치관, 태도 등에 따라 학생들이 대응하는 일정한 문화적 특성을 나타낼 것이다. 따라서, 초등학생들이 수행평가에 대응하는 문화적 주제가 무엇인지를 밝혀 내고자 한다. 수행평가에 대한 학생들의 대응이 교과 및 영역별, 평가방법별, 평가장면별, 평가시기별, 학년수준별로 대응하는 문화적 특징이 있을 것이라는 가정에서 각각의 문화적 주제가 무엇인지를 탐색하고자 한다.
넷째, 초등학교 학생들의 수행평가 대응 문화 형성의 사회ㆍ문화적 조건을 규명한다. 초등학교 학생들이 수행평가에 대응하는 문화를 형성한 배경에는 교사 요인, 학생 요인, 평가자체 요인, 사회ㆍ문화적 환경 요인 등 여러 가지 요인들이 있을 수 있다. 그 가운데 이 연구에서는 수행평가의 대응 문화를 형성한 사회ㆍ문화적 요인이나 조건이 무엇인지를 규명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