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4739&local_id=10001690
어휘부 관련 가설의 검증을 위한 심리학적 실험에 대한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어휘부 관련 가설의 검증을 위한 심리학적 실험에 대한 연구 | 2003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송원용(Case Western Reserve University)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00103
선정년도 2003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5년 01월 07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5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형태론의 어휘부 관련 가설의 실험적 검증을 위해 기획되었다. 복합어의 어휘부 등재 관련 가설과 관련하여 우리는 유추론자의 완전 등재 가설의 실험적 검증에 초점을 두었으며, 그를 위해 시차를 둔 어휘 지식 유무 검사를 수행하였다. 검사 결과에 대한 통계학적 검증을 통해 우리는 새로운 단어의 생성과 어휘부 등재라는 과정이 분리될 수 있는 성격의 것이 아님을 보였다. 즉 새로운 단어는 생성됨과 동시에 어휘부에 저장되는 것으로 보아야 하는 것이다. 어휘 지식 유무 검사의 결과와 그에 대한 추론통계적 검토 결과는 유추론자의 완전 등재 가설을 실험심리학적으로 뒷받침한다.
    파생 접사의 어휘부 내적 지위와 관련된 다중 어휘부 구조 가설과 관련하여 우리는 파생 접사의 인식론적 간접성을 드러내는 데 초점을 두었으며, 그를 위해 어휘 판단 과제를 수행하였다. 우리의 실험은 시각적 언어 자극으로 제시된 파생어 및 접사에 대한 어휘 판단 과제를 실행하는 과정에서 접사에 대한 어휘 판단이 관련 파생어에 대한 어휘 판단보다 상당히 늦는다는 사실을 실험적으로 보여주었으며, 실험 결과에 대한 통계학적 검증 결과는 파생 접사 -질과 -개와 같은 전형적 파생 접사가 인식론적 간접성을 보인다는 사실을 드러내었다. 대부분의 파생 접사들은 어휘부에 독자적 개념 지식 표상을 가지지 못하므로 파생어에 기대어 간접적으로 인식되는 접사가 저장되는 심층 어휘부를 상정하는 유추론자의 다중 어휘부 구조 가설이 실험심리학적으로 뒷받침을 받는다는 사실을 보여준 것이다.
  • 영문
  • This research was intended to examine the hypothesises relating to mental lexicon by psychological experiments. We put our focus on the examine about analogist's full-listed hypothesis, so we performed the test of lexical knowledge which had around 10 days interval to subjects. Our statistical verification of the test results imply that generation of a new word can not be separated from the process listing that word to the mental lexicon. A new word is supposed to be listed to the lexicon being created. Our lexical knowledge test and inferencial statistics support the full-listed hypothesis.
    According to our multi-structural lexicon hypothesis which is related to the position of derivational affixes in the lexicon, we performed lexical decision task so that we can reveal the epistemological indirectness of the affixes. It showed that lexical decisions on the affixes is slower than those on words which is derivated by the affixes. The statistics of our test results indicated that typical derivational affixes such as "-jil, -gae" have epistemological indirectness which is mentioned above. This means that a lot of the derivational affixes don't have autonomous conceptual representation in the lexicon, so they need to be recognized depending on some complex words which have the affixes as their constituent. It must be a good proof for the muti-structural lexicon hypothesis of lexicon-anology based morpholoy theory.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형태론의 어휘부 관련 가설의 실험적 검증을 위해 기획되었다. 복합어의 어휘부 등재 관련 가설과 관련하여 우리는 유추론자의 완전 등재 가설의 실험적 검증에 초점을 두었으며, 그를 위해 시차를 둔 어휘 지식 유무 검사를 수행하였다. 검사 결과에 대한 통계학적 검증을 통해 우리는 새로운 단어의 생성과 어휘부 등재라는 과정이 분리될 수 있는 성격의 것이 아님을 보였다. 즉 새로운 단어는 생성됨과 동시에 어휘부에 저장되는 것으로 보아야 하는 것이다. 어휘 지식 유무 검사의 결과와 그에 대한 추론통계적 검토 결과는 유추론자의 완전 등재 가설을 실험심리학적으로 뒷받침한다.
    파생 접사의 어휘부 내적 지위와 관련된 다중 어휘부 구조 가설과 관련하여 우리는 파생 접사의 인식론적 간접성을 드러내는 데 초점을 두었으며, 그를 위해 어휘 판단 과제를 수행하였다. 우리의 실험은 시각적 언어 자극으로 제시된 파생어 및 접사에 대한 어휘 판단 과제를 실행하는 과정에서 접사에 대한 어휘 판단이 관련 파생어에 대한 어휘 판단보다 상당히 늦는다는 사실을 실험적으로 보여주었으며, 실험 결과에 대한 통계학적 검증 결과는 파생 접사 -질과 -개와 같은 전형적 파생 접사가 인식론적 간접성을 보인다는 사실을 드러내었다. 대부분의 파생 접사들은 어휘부에 독자적 개념 지식 표상을 가지지 못하므로 파생어에 기대어 간접적으로 인식되는 접사가 저장되는 심층 어휘부를 상정하는 유추론자의 다중 어휘부 구조 가설이 실험심리학적으로 뒷받침을 받는다는 사실을 보여준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어휘 지식 유무 검사와 관련된 연구 결과에 따르면 2차 검사에서 피험자들이 아는 단어라고 응답한 단어의 수의 모집단 평균(μ)이 1차 검사의 그것보다 클 것이라고 예상한다. 이러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통계 처리를 통해 구한 값에 따르면 D는 +7.88, S는 1.19이며, Ho에 따르면 μD는 0이므로, 이 공식에 따라 구한 t 값은 +6.62이다. 이것은 우리가 구한 가 μD가 0일 때의 의 표본 분포상에서 +6.62의 위치에 자리함을 의미한다. 우리는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t 값(tcrit)과 우리가 구한 tobt 값을 비교함으로써 영가설을 채택할 것인지 기각할 것인지를 결정해야 한다. 우리 연구의 a는 0.01, 자유도는 15이며, 단측 검정이므로 tcrit 값은 +2.602가 된다. 위의 tobt 값은 기각역에 위치한다. 통제군의 인 7.88은 μD가 0보다 작거나 같은 모집단을 대표할 가능성이 매우 낮다. 그러므로 그 결과는 통계적 유의성을 가진다. 영가설을 기각함으로써 우리는 대안 가설을 채택할 수 있다. 표본은 +7.88 주변의 값을 가지는 모집단을 대표한다. 이것은 1차 실험과 2차 실험의 차이값이 0과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는 것이므로, 각 조건에서의 평균값도 서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인다. 환언하면 2차 실험의 평균값 16.81은 1차 실험의 평균값 8.94와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는 것이다. 요컨대 표본의 실험값은 모집단 안에서의 관계를 보여주는 것이라는 결론에 도달할 수 있다.
    복합어의 어휘부 등재 관련 가설의 실험적 검증이라는 측면에서 위와 같은 우리의 실험 가설에 대한 검증 결과는 새로운 단어의 생성과 어휘부 등재라는 과정이 분리될 수 있는 성격의 것이 아님을 보여준다. 통제군에서 41%로 확인된 어휘 지식 향상율이 실험군에서는 71%로 높아졌는데, 이 차이는 예문 학습으로 인한 것이다. 그런데 주지하는 바와 같이 새로운 단어의 형성을 위해서 사용되는 인지 작용은 우리의 실험에서 채택한 시각적 자극 제시 및 예문 학습이라는 인지 과정보다 깊은 차원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어휘부에 미치는 영향은 깊고 강하다. 그러므로 어휘 형성과 동일한 인지 작용을 전후로 한 어휘 지식 유무 검사를 실시한다면 실험군에서 얻은 71%보다 훨씬 큰폭으로 향상된 어휘 지식 향상 결과를 얻을 것으로 보인다. 즉 새로운 단어는 생성됨과 동시에 어휘부에 저장되는 것으로 보아야 하는 것이다. 요컨대, 우리의 어휘 지식 유무 검사의 결과와 그에 대한 추론통계적 검토 결과는 유추론자의 완전 등재 가설이 규칙론자의 완전 등재 가설보다 심리학적 실험의 뒷받침을 받는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어휘 판단 과제와 관련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세 쌍의 파생어-파생 접사 쌍에서 동일하게 파생 접사에 대한 어휘 판단이 파생어에 대한 어휘 판단보다 늦었으나 그 차이값은 서로 다른 통계학적 의미를 가진다. 가설 검증을 위해 세 단계에 걸친 통계 처리 과정을 거쳐서 구한 tobt 값은 다음과 같다. (가) 이론적/적: 0.710, (나) 칼질/-질: 17.94, (다) 베개/-개: 6.29. (가)는 채택역에 위치하고, (나다)는 기각역에 위치한다. 접사 -적과 파생어 인간적 사이의 1-2인 11은 μ1 - μ2가 0보다 작거나 같은 모집단을 대표한다. 영가설을 채택해야 하는 것이다. 이것은 접사 -적에 대한 어휘 판단 과제와 관련 파생어 인간적에 대한 어휘 판단 과제의 차이값이 0과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이므로, 각 조건에서의 평균값도 서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그와 달리 접사 -질과 파생어 칼질 그리고 접사 -개와 베개 사이의 1-2인 1015와 216은 μ1 - μ2가 0보다 작거나 같은 모집단을 대표할 가능성이 매우 낮다. 그러므로 그 결과는 통계적 유의성을 가진다. 영가설을 기각함으로써 우리는 대안 가설을 채택할 수 있다. 표본은 각각 +1015와 216 주변의 값을 가지는 모집단을 대표한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는 국어 형태론 논의의 실험심리학적 뒷받침을 위한 실험의 수립 및 실행을 위한 기초적 논의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 색인어
  • 등재, 학습, 기억, 회상 실험, 일화 기억, 의미 기억, 완전 등재 가설, 어휘 지식 유무 검사, 통계학, t 값, 표본 분포, 기각역, 통제군, 유의미한 차이, 어휘부, 실험 가설, 실험군, 어휘의 임의성, 유추, 임시어, 순화어, 추론 통계, 다중 어휘부 구조 가설, 인식론적 간접성, 개념 지식 표상, 활성화 확산 모형, 어휘 판단 과제, 점화 효과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