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7832&local_id=10011866
멀티미디어 학습의 효율성에 관한 인지심리학적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멀티미디어 학습의 효율성에 관한 인지심리학적 연구 | 2004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도경수(성균관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H00016
선정년도 2004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6년 05월 29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6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새로운 학습을 하는 것은 인지적인 부담이 큰 작업인데, 인지부하에는 학습할 내용의 복잡성 등을 반영하는 내재적 인지부하와 학습재료 등에서 주어지는 외재적 인지부하가 있다. 그런데 학습을 도와주기 위해 사용되는 멀티미디어 보조 도구는 외재적 인지부하를 늘리게 된다. 따라서 효율적인 멀티미디어 교재를 제작하려면 글을 읽을 때의 인지부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멀티미디어 교재는 작업기억 중에서 시공간 작업기억을 사용하므로 시공간 작업기억이 글 이해와 관련된 정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런 의미에서 성인과 아동을 대상으로 글을 읽을 때 시공간 작업기억이 어떻게 관련되는지를 알아보는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연구 1과 2에서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글을 읽을 때 시공간 작업기억이 언제 관여하는지를 알아보았다. 실험 1과 2에서는 글에서 다루는 대상이 시공간 적이냐 여부와 글을 이해하려면 시공간 표상에서의 조작이 필요하냐를 조합한 세 가지 유형의 질문(시공간 기억, 시공간 관계, 비공간 관계)을 사용하였는데, 글에서 다루는 대상이 시공간 적이냐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글을 이해하려면 시공간 표상에서의 조작이 필요하냐 여부에 따라 시공간 작업기억이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발견하였다. 즉 기억폭이 큰 집단과작은 집단을 비교한 실험 1에서 시공간 관계 질문과 비공간 관계 질문에 대해서 답하는 경우에 시공간 작업기억 폭에 따른 차이가 훨씬 더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2차 기억과제가 글 이해에 미치는 간섭효과를 알아본 실험 2에서는 선별적인 간섭효과가 나타났다. 즉 시각 2차 기억과제는 관게에 대한 질문에서 간섭효과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두 실험의 결과는 글을 이해하기 위해 시공간 표상에서의 조작이 필요할 때 시공간 작업기억이 관여하는 것이지 단순히 글에서 시공간적인 대상이 다루어진다고 해서 시공간 작업기억이 관여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시공간 표상 조작의 부담을 줄여주는 보조자료의 제공은 외재적 부하의 증가라는 비용을 상쇄할만큼의 이득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할 수 있다.
    연구 3과 4에서는 읽기 정상인 초등 학생과 읽기 능력이 떨어지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어떤 유형의 글을 읽을 때 시공간 작업기억이 글 이해에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았다. 연구 3과 4에서는 설명글과 묘사글을 초등학교 3학년생에게 읽게 하고 이해정도를 알아보았는데, 연구 3에서 정상아동은 설명글과 묘사글의 이해 점수가 차이가 없었으나, 읽기 지진아동들은 설명글보다 묘사글의 이해정도가 좋았다. 이 결과는 읽기 정상아동은 글의 종류에 상관없이 언어적 표상만을 주로 사용하는데 반해, 읽기지진 아동들은 언어 표상 외에 시공간 표상을 사용할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이 해석은 2차 기억과제를 시용하여 간섭효과를 측정한 연구 4에서 반복적으로 검증되었다.
    실험 5와 6은 학습할 때 멀티미디어 보조자료를 통해 피드백을 제공할 수도 있는데, 어떤 유형의 피드백을 주어야 효과적인지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실험 5에서는 확률문제를 학습할 때 4종류의 피드백(정/오, 정답, 원리, 사례 피드백)을 주었는데, 사례피드백 조건만이 피드백을 주지 않은 통제조건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고, 정답피드백은 유의한 경향성을 보여주었다. 실험 6에서는 피드백을 받기 전에 자기의 답에 대해 확신하는 정도와 피드백의 효과간의 상호작용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통제조건, 정답피드백조건, 사례 피드백 조건을 사용하였는데, 사례피드백 조건에서 사전 확신도가 높은 경우에만 피드백이 도움을 주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 결과들은 피드백이 효과적인 한계조건을 밝혀 줌으로써 이후 효과적인 멀티미디어 교재 제작의 가이드 라인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영문
  • It has been well known that working memory is important in comprehending written texts. More specifically, of the three components of the working memory, the central executive and the phonological loop are important in comprehending written texts. Friedman & Miyake (2000), however, suggested that visual working memory can affect text comprehension as well. The results of Experiments 1 and 2, showed that visual working memory is needed in integrating sentences, even though the text is not about visual or spatial objects. The results of Experiments 1 and 2 strongly suggested that the visual working memory is involved in comprehending texts, especially when relating items that can be arranged in a spatial way is needed.
    The central executive and the phonological loop are important in comprehending written texts, not only in adults but also in children (Swanson, 1998). In Experiments 3 and 4, we found out that reading deficient children suffered more with expository texts than narrative texts, and that visual working memory seemed to be involved in children’s comprehension of narrative texts. The interpretation of the results of Experiment 3 were corroborated by the results of Experiment 4, in which the visual memory task inhibited the text comprehension more with reading deficient children than reading normal children with narrative texts.
    Two experiments on probability rule learning using feedback were conducted in Experiments 5 and 6. In Experiment 5, of the five types of feedback (no feedback, right/wrong feedback, correct answer feedback, principle feedback, example feedback) tested, only the example feedback was found effective in learning probability rules. In Experiment 6,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confidence prior to the learning (initial confidence) and the types of feedback was explored. The example feedback seemed to work only with participants having high level of initial confidence. Results of Experiments 5 and 6 suggested that the effective types of feedback are likely to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task to be learned as well as on the initial level of learners’ confidence on the task.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효율적인 멀티미디어 교재를 제작하려면 글을 읽을 때의 인지부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멀티미디어 교재는 작업기억 중에서 시공간 작업기억을 사용하므로 시공간 작업기억이 글 이해와 관련된 정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런 의미에서 대학생과 초등학교 3학년생을 대상으로 글을 읽을 때 시공간 작업기억이 어떻게 관련되는지를 알아보는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연구 1과 2에서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글을 읽을 때 시공간 작업기억이 언제 관여하는지를 알아보았다. 두 실험의 결과는 글을 이해하기 위해서 시공간 표상에서의 조작이 필요할 때에 시공간 작업기억이 관여하는 것이지 단순히 글에서 시공간적인 대상이 다루어진다고 해서 시공간 작업기억이 관여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었다.
    연구 3과 4에서는 읽기 정상인 초등 학생과 읽기 능력이 떨어지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어떤 유형의 글을 읽을 때 시공간 작업기억이 글 이해에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았다. 읽기 정상아동은 글의 종류에 따라 언어 작업기억과 시공간 작업기억을 선별적으로 사용하는데 반해, 읽기지진 아동들은 묘사글을 읽을 때에도 언어 표상 외에 시공간 표상을 사용할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되는 결과를 얻었다.
    실험 5와 6에서는 학습할 때 멀티미디어 보조자료를 통해 피드백을 제공할 수도 있는데, 어떤 유형의 피드백을 주어야 효과적인지에 대해서 실험하였다.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는 피드백이 효과적이며, 자기의 학습정도에 대해 확신하는 경우에만 효과가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이런 실험 연구들을 통해 얻어진 내용을 토대로 읽기 훈련에 효율적인 멀티미디어 학습 방안을 제안하려고 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연구 결과
    1. 글에서 다루는 대상이 시공간적이냐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글을 이해할 때 시공간 표상에서의 조작이 필요하냐가 글을 읽을 때 시공간 작업기억이 관여하느냐를 결정하는데 중요하다.
    2. 읽기 지진 아동은 읽기 정상 아동에 비해 시공간 작업기억에 의존하는 정도가 크다. 특히 설명글보다 묘사글을 읽을 때 시공간 작업기억에 더 많이 의존한다.
    3. 피드백은 학습에 필요한 정보를 충분히 제공하는 사례피드백이 효과적이다.
    4. 피드백은 초기 학습에 대한 주관적인 확신도가 높은 경우에만 효과적이다.


    활용방안
    1. 교재에서 다루는 내용을 이해할 때 시공간 적인 표상에서의 조작이 필요한지에 따라 차별화한 교재 사용을 시사함.
    2. 멀티미디어 교재 구성의 가이드 라인으로 유용함
    3. 피드백의 한계조건을 알려주어 학습 장면에 활용할 수 있음.
  • 색인어
  • 시공간 작업기억, 글 이해, 멀티미디어, 피드백, 읽기지진아동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