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1870&local_id=10013818
배우자 폭력의 가해자 및 피해자에 대한 해결중심 집단치료의 효과성과 성과척도 개발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배우자 폭력의 가해자 및 피해자에 대한 해결중심 집단치료의 효과성과 성과척도 개발 | 200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박선영(계명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143
선정년도 200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7년 05월 31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사회복지실천 방법으로서 기존의 문제와 증상 중심의 접근에 대한 대안적인 강점시각의 실천기법을 구체적으로 제공하는 해결중심치료의 효과성을 배우자 폭력의 행위자와 피해자를 대상으로 검토하였다. 해결중심치료는 배우자 폭력에 대한 기존의 폭력행위, 부정적인 증상과 역기능 중심의 임상개입과 달리 행위자와 피해자가 그간의 삶에서 경험해온 긍정적인 자신과 기능에 초점을 두어 스스로의 변화 능력을 강화한다. 여기서는 그간의 임상치료법의 성과연구가 긍정적인 자기기능의 영향력에 관심이 소홀했던 점에 의거해 해결중심치료가 표적으로 하는 긍정성의 영향력을 파악할 수 있는 측정도구를 개발하였다. 즉 문항개발과 대학생 및 지역사회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예비조사 및 본조사를 거쳐 ‘자기긍정성’척도를 개발하였고 그 타당성이 지지되었다. 다음으로 배우자 폭력의 행위자들에 대한 해결중심 집단상담과 여성 피해자들에 대한 개별상담의 성과를 파악하기 위해 개발된 자기긍정성 척도를 성과도구에 포함하였다. 비교집단과의 사전-사후 성과를 비교한 결과, 행위자의 상담집단에서 다각화가 감소하고 폭력에 대해 허용적이 되었으나, 심리 및 신체적 폭력이 감소하여 해결중심 집단상담이 통제력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그러나 비교집단에서 대인관계의 친근감과 의사소통이 증가하여 해결중심치료가 의도한 바 긍정성의 확대라는 차별적 효과가 경험적으로 지지되지 못하였다. 여성 피해자에 대한 해결중심 개별상담 결과, 상담 참여 및 비참여 여성들 모두 희망감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비참여자들에서불안감과 신체화 정도의 유의미한 긍정적 변화가 나타난 반면 참여자들에서는 불안, 우울증, 신체화가 감소하고 건강상태가 양호해진 경향을 보이기는 했으나 그 변화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결혼에 대한 부정적 시각의 강화가 비참여자들에서는 유의하고 참여자들에서는 유의성에 근접했고, 대인관계에서는 참여자들보다 비참여자들에서 대인관계의 긍정적 변화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해결중심 상담이 비참여자들에 비해 참여자들에게서 크게 우월한 성과를 나타내지 않았고 여성 피해자의 비참여자들에게서 오히려 유의한 변화가 더 빈번히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해결중심치료의 효과성에 대해 재고할 필요만이 아니라 현장연구의 한계이자 자연셋팅에서 일어날 수 있는 다양한 외적 요인들의 영향과 임상개입이 이루어지는 기관의 조직 환경을 고려할 필요성을 시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상담 과정의 녹취와 상담 회기에 대한 평가 등 수집된 자료를 차후 곧 분석하여 현재 보고된 결과와 연관지어 좀 더 의미있는 해석과 함의를 얻을 것이다.
  • 영문
  •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outcome of solution-focused therapy(SFT) for perpetrators and victimized women of spousal violence focusing on positive aspects of the self and functioning, as an approach being differentiated from previous problem-focused interventions. SFT empowers clients to strengthen her/his ability to change using the positive self and functioning, which needs a new scale to capture the effect of the positivity on psychosocial change. Thus, a new scale called self positivity was developed and its validity was supported by respondents of university students and community people. Using this scale as one of the outcome measures, SFT was conducted for the participants involved with spousal violence, in a group for perpetrators recruited from a probation office in Seoul and in individual format for women in shelters in both Kyunggi-do and Daegu. As results, in SF group of the perpetrators, multiple perspective was decreased, a sense of responsibility for violence was decreased, but psychological and physical violence was decreased; while in comparison group intimacy and communication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were increased. In individual SFT for the women, a sense of hope in both participants and nonparticipants was improved; for the nonparticipant women, the levels of anxiety and somatization significantly decreased, but in participant women the levels of anxiety, depression, and somatization tended to decrease but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negative perspective toward marital relations became stronger significantly in nonparticipants and in participants approaching to the significance level p<.05; and nonparticipants showed a higher level of improvement interpersonal relationship, but not in participants. Overall, the outcome of the SFT for these women in shelter was not effective as much as expected, and compared to the nonparticipants.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results some external factors such as agency environment and its pressure for the participants(e.g., the perpetrators and the probation office) need to be considered and limitations of the research in natural settings as well. Further analyses based on process recording and session evaluations will be conducted soon and the results reported here will be reinterpreted in terms of making connection between the process and the outcome of SFT. The study results from the scale development and outcome evaluation conducted here will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examining the change mechanisms of the clients' positive functioning and its effect on life, health/mental health, and social adjustment, and of social work practice from a strengths perspectiv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에서는 배우자 폭력에 대한 기존의 폭력행위, 부정적인 증상과 역기능 중심의 임상개입과 달리 가해자와 피해자가 그간의 삶에서 경험해온 긍정적인 자신과 기능에 초점을 두어 스스로의 변화 능력을 강화하는 해결중심치료를 수행하고 그 성과를 검토했다. 해결중심치료의 효과성을 검토하기 위해 해결중심치료를 포함하여 그간의 임상개입의 성과연구가 긍정적인 자기기능의 영향력에 관심이 소홀했던 점과 해결중심치료가 주창하는 긍정성의 영향력을 파악할 수 있는 효과성 측정도구를 개발할 필요가 제기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선 문항을 개발하고 대학생과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예비조사와 본조사를 거쳐 분석한 결과 6개 요인이 도출되고 타당성이 지지되었다. 이 척도를 배우자 폭력의 남성 행위자 집단상담과 여성 피해자들에 대한 개별상담의 성과측정에 포함하여 해결중심치료의 효과성을 사전-사후 그리고 상담과 비교집단 간의 비교를 통해 평가하였다. 그 결과, 행위자의 상담집단에서 다각화가 감소하고 폭력에 대한 책임성이 감소하였으나, 심리 및 신체적 폭력이 감소하여 통제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비교집단에서 대인관계의 친근감과 의사소통이 증가하여 해결중심치료의 의도와 일관되지 못한 결과를 보였다. 여성 피해자에 대한 해결중심 개별상담 결과, 상담 참여자 및 비참여 여성들 모두 희망감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비참여자들의 불안감과 신체화 정도가 유의미하게 긍정적으로 변화한 반면, 상담참여자들에서 불안, 우울증, 신체화가 감소하고 건강상태가 양호해진 경향을 보이기는 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은 아니었다. 결혼에 대한 부정적 시각이 강해진 정도가 비참여자들에서는 유의하고 참여자들에서는 유의 수준에 가까웠으며, 참여자들보다 비참여자들에서 대인관계에서 유의한 긍정적 변화가 나타나 전반적으로 해결중심 개별상담의 성과가 비일관되고 미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의 실천적 의미, 연구방법 등에서의 논의와 연구의 활용방안 및 차후 지속적인 연구를 위한 함의를 제언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outcome of solution-focused therapy(SFT) for perpetrators and woman victims of spousal violence focusing on positive aspects of the self and functioning, as an approach being differentiated from previous problem-focused interventions. Noting a lack of an outcome measure appropriate to the SFT, this study first developed self-positivity scale, then including this scale as an outcome measure, examined the outcome of the SFT for the perpetrators and women victims involved with spousal violence. As results, in SFT group of the perpetrators, multiple perspective was decreased, a sense of responsibility for violence was decreased, but psychological and physical violence was decreased; while among nonparticipants intimacy and communication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was increased. In individual SFT for the women, a sense of hope in both participants and nonparticipants was improved; for the nonparticipants, the levels of anxiety and somatization significantly decreased, but in participants the levels of anxiety, depression, and somatization tended to decrease bu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negative perspective towards marital relations became stronger both in nonparticipants significantly and in participants approaching to the significance level p<.05; nonparticipants showed a higher level of improvement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but not among participants. Overall, the outcome of the SFT for these women in shelter was not effective as much as expected compared to the nonparticipants. According to these results, issues in the findings, methodology of outcome study of the SFT for participants of spousal violence were discussed and utility of this study and implications for further study were suggested.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에서 새로 개발되고 타당성이 검증된 ‘자기긍정성’ 척도를 해결중심치료의 성과척도에 포함하였다. 해결중심의 행위자 집단상담에서 자기긍정성 중 다각화가 감소하고 폭력에 대해 허용적이 되었으나, 심리적, 신체적 폭력이 유의하게 감소한 반면 비교집단에서 대인관계의 친근감과 의사소통이 증가하였다.
    여성 피해자의 혼인관계와 관련한 사생활을 보호하기 위해 개별상담을 수행하였고, 상담참여 및 비참여자들 모두 희망감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비참여자들에서 불안감과 신체화가 유의미하게 감소한 반면 참여자들의 불안, 우울증, 신체화, 건강의 변화는 양호했으나 유의미하지 않았다. 결혼에 대한 부정적 시각이 강해진 정도가 비참여자들에서 더 유의하였고, 대인관계 변화는 비참여자들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해결중심 상담의 성과는 비일관되고 미약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수집한 해결중심 상담과정 및 회기평가에 대해 더 분석하고 상세한 연구결과가 차후 보고될 것이다.
    Of the study results, the newly developed scale called self positivity drew 6 factors and was supported for the validity. This scale was included in the examination of the following outcome study of the solution-focused (SF) group therapy for the perpetrators and of the SF individual therapy for woman victims of spousal violence. In the pre-post test of the SF group therapy outcome for the perpetrators, the therapy participants showed decreased levels of multiple perspective and a sense of responsibility for the violence, but decreased in psychological and physical violence, while nonparticipants improved their intimacy and communication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s for the woman victims, hope was improved in both SF therapy participants and nonparticipants; nonparticipants significantly decreased their levels of anxiety and somatization, while participants decreased levels of anxiety, depression, somatization, and health status in nonsigificant level; negative perspective towards marital relations became stronger both in nonparticipants significantly and participants close to the significant level; and nonparticipants showed positive change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e overall outcome of the SF therapy in both group and individual format was nonconsistent and was not much significant compared to the outcome of nonparticipants. Further analyses will be published later using the data of the process and session evaluations of the SF therapy.
    The study results can be useful in four aspects: 1) newly developed positivity scale can be utilized to examine how the positive view of the self is associated with psychosocial functioning and social adjustment and to delineate the change mechanism of social work practice; 2) this study provides basic information about the change mechanism of the clients receiving SF therapy; 3) as a new way of looking at the outcome of the SFT, further study needs to compare the outcomes among SF therapy, another psychosocial intervention, and a control group that is for treatment as usual(e.g., shelter service); and this study was successful in terms of collaboration between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of social service agencies, which can bring about synergy effect between research and practice.
  • 색인어
  • 배우자 폭력, 쉼터, 보호관찰소, 해결중심치료, 집단상담, 개별상담, 강점시각, 행위자, 여성 피해자, 자기긍정성, 결혼관계, 척도개발, 성과연구 spousal violence, shelter, probation office, solution focused therapy, group therapy, individual therapy, strengths perspective, perpetrator, woman victim, self positivity, marital relations, scale development, outcome study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