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7863&local_id=10016495
시각 작업 기억과 감각 표상간의 비교 과정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시각 작업 기억과 감각 표상간의 비교 과정 | 2008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현주석(중앙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H00032
선정년도 2008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9년 07월 17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9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시각 작업 기억내 저장된 정보와 감각 기관을 통해 유입되는 정보간의 차이점 및 유사성을 발견해 내는 기제를 조사하였다. 기존 연구에 근거하여 본 연구는 두 대립되는 심리적 기제를 가정하고 체계적 실험을 통해 기억-검사간 비교 기제의 특성을 밝혀내었다. 실험을 통한 이론적 검증을 위해 본 연구는 7개의 주요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1과 실험 2는 기존의 기억-검사간 비교 과정을 조사하는 연구에서 사용되었던 패러다임을 수정하여 지각적 비교 (perceptual comparison)이론에 관한 고전적 연구들의 패러다임과 일치시키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두 실험을 통해, 과거 비교 이론을 제안하고 검증하였던 연구들에서 발견된 비교 기제와 현재의 시각 작업 기억 과제의 배후에 존재하는 비교 기제가 동일한 것임을 밝혀내었다. 실험 3은 실험 1과 2에서 단추 반응 보고 (button responses)를 통해 조사된 비교 기제가 좀 더 복잡한 형태의 반응을 요구하는 과제의 경우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터치스크린 과제를 사용하였다. 실험 4와 5는 전기 생리학적 측정치를 통해 기억-검사간 비교 과정에서 차이점과 유사성을 발견하는 과정에서 유도되는 공간적 주의(spatial attention)의 발현 시점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기억-검사간 비교과정에서 공간적 주의 발현 시점은 비교의 대상이 되는 비교 개수 즉, 제시된 항목의 개수에 관계 없이 일정하였다. 실험 6은 차폐 (masking) 자극을 사용하여 기억-검사간 비교가 완료되는 시점을 조사하였다. 마지막으로 실험 7은 안구 운동 추적기 (eye-tracker)를 사용하여 기억-검사 비교 과정이 완료된 시점을 측정하여 실험 4와 실험 5에서 조사된 주의 발현 시점을 측정한 자료와 상호 비교 검증하였다. 안구 운동이 완료된 시점은 실험 4와 5에서 조사된 주의 발현 시점과 유사하였다. 본 연구는 비교 과정에 대한 다각도적 접근을 통해 기억과 지각적 입력간 차이점의 발견이 매우 즉각적으로 일어남을 보여주였다. 이는 인간의 시각 시스템이 주변 환경으로부터 입력되는 지각적 신호와 작업 기억의 내용간의 차이를 매우 민감하고 신속하게 탐지해낼 수 있음을 시사한다
  • 영문
  • This study tested the comparison mechanism of a difference and similarity between information in visual working memory (VWM) and perceptual inputs.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this study proposes two opposite comparison models and tested the properties of comparison mechanisms between memory and perception through experimental approach. For testing purposes, this study conducted seven different experiments. By modifying testing paradigms from classic studies of perceptual comparison, Experiment 1 and 2 aimed to see if the mechanisms found in the classic studies match to those used in the comparison between VWM and perception. In the experiments, the study found the mechanism for the perceptual comparison and memory-perception comparison is identical to each other. Experiment 3 used a touch-screen to see how the comparison mechanism examined by the pattern of button responses in Experiment 1 and 2 affects the response patterns requiring more complex manual responses. Experiment 4 and 5 used electrophysiological measurements fo shirt of attention to see the exact time point of finding a difference and similarity between memory and perception. The experiemnt showed the shift of attention occurs at the same time regardless of the number of items in the task. Experiment 6 used a masking stimulus to measure the time point of accomplishing the comparison between memory and perception. Experiment 7 used an eye-tracker to compare the time point of attention shift and saccade onset latency, and found the latency follows after the shift of attention. This results showed that the difference between memory and perception is found immediately after the onset of the test array in the change-detection task. This study indicates that human visual system can find out the difference between VWM and perceptual inputs very sensitively and rapidly.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일련의 실험을 통하여, 시각 작업 기억에 저장된 정보와 감각 기관을 통해 유입되는 정보간의 차이점 및 유사성을 발견해 내는 기제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차이점과 유사성을 탐지해내는 두 대립되는 심리적 기제를 가정하고, 기억-검사간 차이점과 유사점이 발견되는 시점을 조사하였다. 기억-검사간 차이 및 유사점을 발견하는 시점은 행동적, 전기생리학적,안구운동 및 터치스크린 조작을 통해 측정되었으며 측정 결과, 차이점이 발견되는 시점은 기억항목의 개수에 관계없이 일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사점이 발견되는 시점은 행동적 측정의 경우 유사성 비교와는 달리 항목수가 늘어나면서 지연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유사성 비교의 배후 기제가 차이점 비교 기제와는 다름을 의미한다. 종합해볼 때, 본 연구의 결과는 인간의 시각 시스템이 주변 환경으로부터 입력되는 지각적 신호와 작업 기억 내용간의 차이를 매우 민감하고 신속하게 탐지해낼 수 있음을 시사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시각 작업 기억과 지각적 입력 사이의 비교 과정에 있어서 차이점과 유사성을 탐지하는 기제가 서로 매우 다르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시각적 작업 기억 용량의 개인차를 연구하여 그 배후 기제를 밝혀내어 심리학계의 주목을 받은 최근 연구들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제공한다. 본 연구는 기억-검사간 비교 과정이 또 다른 개인차의 근원이 될 수 있음을 근거로 이전의 작업 기억과 개인차 연구에서 고려되지 않았던 변인을 제시한다. 시각 작업 기억의 비교 이론은 기억-검사간 변화하지 않는 항목을 발견하는 과제가 변화하는 항목을 발견하는 과제에서보다 기억 항목의 수에 더 의존함을 예견한다. 이는 작업 기억에 관련된 검사에서 주어진 차이점 찾기 과제가 기존 심리검사에서 중심이 되었다면, 주어진 기억 항목과 부분적으로 유사한 세부 특징을 가진 항목을 골라내는 과제 또한 검사 과제에 포함되어야 한다는 점을 의미한다. 이 결과는 산업 현장에서 형태가 제 각기 다른 생산품 중 일정 세부 특징을 갖춘 제품만을 골라내는 작업에서 유사성 비교 과제의 수행 능력이 탁월한 사람이 수행할 경우 효율성이 좋을 수 있다고 예견하므로 공학적 응용이 가능하다. 또한, 작업 기억의 비교 기제를 이해하는 것은 정보 검색이 목적이 되는 모든 디스플레이 디자인에 도움이 된다. 배경이 복잡하게 바뀌는 순간마다 강조하고 싶은 항목들은 그대로 남아있도록 디자인하는 경우는 항목 개수에 크게 의존하는 유사성 비교 기제의 특성상 강조의 효율성이 매우 떨어질 수 있음을 예견한다. 따라서 광고 현장이나 기타 주변의 이목을 효율적으로 집중시켜야 할 경우 매우 중요하게 고려해야 하는 실용적 원리가 된다. 운전자의 안전을 고려한 시스템 개발시 운전자의 시각 작업 기억 활용 특성을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정지시의 운전자의 정보처리는 비교적 정적인 자극들로부터 변화하는 자극을 발견해 내는 것이 주요 시각 정보 처리 과제가 되는 반면, 운행 중 정보처리는 시시각각 변화하는 자극들로부터 일관된 자극을 지각하는 것이 중요한 정보 처리 과제가 된다. 본 연구 결과는 이러한 운전자의 정지 및 운행 중 정보 처리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는 모형을 차이점 비교 및 유사성 비교 기제에 대한 실험을 통해 제공함으로써 운전자의 안전을 모색할 시스템 개발에 실용적 도움을 줄 수 있다.
  • 색인어
  • 시각 작업 기억, 비교 기제, 지각적 비교, 전기 생리학, 안구 운동 추적, 주의 발현 시점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