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7522&local_id=10018193
후회 경험에 대한 대처양식의 차이가 노년기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후회 경험에 대한 대처양식의 차이가 노년기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 2008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유경(한림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H00013
선정년도 2008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9년 12월 29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9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노년기 후회 경험과 후회 경험에 대한 대처 양식의 차이가 노년기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 1에서는 노인(120명, 평균 연령 74.67, 표준편차 5.95)들의 후회 경험과 부적 정서 경험의 강도가 우울증, 주관적 안녕감 등의 적응지표와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았고, 그 결과로 후회 경험과 부적 정서 경험 강도는 우울증과는 유의한 정적 상관, 주관적 안녕감과는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다는 점을 확인했다. 그리고, 후회의 경험에 대한 대처 양식(적응적 목표 분리, 새로운 목표 추구, 침투적 사고)을 측정하는 척도를 제작하였다. 연구 II 에서는 200명의 노인(평균 연령 74.55, 표준편차 5.97)을 대상으로 후회 경험, 부적 정서 경험의 강도, 대처양식이 적응 지표(주관적 안녕감, 심리적 안녕감, 자아 통합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후회 경험과 부적 정서 경험의 강도, 대처 양식 중 침투적 사고는 적응 지표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고, 대처 양식 중 새로운 목표 추구는 적응지표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처양식 중 적응적 목표 분리는 노인들이 자주 사용하는 대처 양식임에도 불구하고 적응지표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행 연구에 의하면, 적응적 목표 분리는 노인들의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대처 양식으로 알려져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상이한 연구 결과가 나타났다. 노년기 적응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효율적인 대처양식과 노년기 적응을 도울 수 있는 방안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tial influences of various coping strategies of life regrets on the psychological adaptation in old age. In Study I, 120 older adults(age m=74.67, sd=5.95) were participated and analysed the relationships among life regrets experiences, the intensity of life regrets-related negative emotions experiences, and adaptation index(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well-being, geriatric depression). In results, life regrets experiences and intensity of negative emotion experiences were negatively related with subjective well-being and psychological well-being but positively related with geriatric depression. Then, the coping strategies(adaptive goal disengagement, seeking new goal, regret-related intrusive thoughts) scale was developed in study I. In Study II, 200 older adults(age m=74.55, sd=5.97) were participated and examined the differential influences of coping strategies(adaptive goal disengagement, seeking new goal, regret-related intrusive thoughts), life regrets experiences, the intensity of negative emotional experiences on the adaptive index(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well-being, ego-integrity) in old age. Consequently, life regrets experiences, intensity of negative emotion, regret-related intrusive thoughts had negative effects but seeking new goal strategy had positive effects on the adaptive index in old age. However, adaptive goal disengagement strategy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adaptive index although older adults used that strategy often. The important meanings of effective and practical coping strategies can improve the psychological adaptation in old age were discussed.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노년기 후회 경험과 후회 경험에 대한 대처 양식의 차이가 노년기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 1에서는 노인(120명, 평균 연령 74.67, 표준편차 5.95)들의 후회 경험과 부적 정서 경험의 강도가 우울증, 주관적 안녕감 등의 적응지표와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았고, 그 결과로 후회 경험과 부적 정서 경험 강도는 우울증과는 유의한 정적 상관, 주관적 안녕감과는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다는 점을 확인했다. 그리고, 후회의 경험에 대한 대처 양식(적응적 목표 분리, 새로운 목표 추구, 침투적 사고)을 측정하는 척도를 제작하였다. 연구 II 에서는 200명의 노인(평균 연령 74.55, 표준편차 5.97)을 대상으로 후회 경험, 부적 정서 경험의 강도, 대처양식이 적응 지표(주관적 안녕감, 심리적 안녕감, 자아 통합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후회 경험과 부적 정서 경험의 강도, 대처 양식 중 침투적 사고는 적응 지표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고, 대처 양식 중 새로운 목표 추구는 적응지표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처양식 중 적응적 목표 분리는 노인들이 자주 사용하는 대처 양식임에도 불구하고 적응지표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행 연구에 의하면, 적응적 목표 분리는 노인들의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대처 양식으로 알려져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상이한 연구 결과가 나타났다. 노년기 적응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효율적인 대처양식과 노년기 적응을 도울 수 있는 방안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연구 결과: 연구를 통해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노년기에 지나간 일에 대한 후회를 자주 하고 그로 인해 강도 높은 부적 정서를 지속적으로 경험하는 것은 노년기 적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 그리고 후회 경험에 대한 건설적인 대처 방식으로 선행 연구에서 제안한 새로운 목표 추구와 적응적 목표 철회, 그리고 부적응적인 대처 방식인 침투적 사고의 대처 양식을 포함한 후회 경험에 대한 대처 양식 측정 질문지를 제작하고 이를 통해 연구를 실시한 결과, 새로운 목표 추구는 노년기 적응 지표(주관적 안녕감, 심리적 안녕감, 자아통합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침투적 사고는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적응적 목표 철회는 노인들이 가장 자주 사용하는 대처방식임에도 불구하고 노년기 적응 지표와는 유의한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행연구에서는 적응적 목표 철회가 적응에 도움이 된다고 제안했으나, 적응적 목표 철회와 같은 수동적인 방식 보다는 적극적으로 새로운 목표를 세우고 이를 추구하는 것인 노년기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노년기에 이미 지나간 일들에 대해 후회 하고 그로 인해 부적 정서를 경험하는 것은 삶의 질을 저하시키고 적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게 되므로, 노년기에도 긍정적인 태도로 새로운 목표를 정하고 이를 추구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보인다.
    활용방안: 노년기 후회 경험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대처 방식을 제안하고, 그 효과성을 확인하는 것은 최근 제안되고 있는 노인들의 적응적 대처방식에 대한 적응적 목표 분리 이론이나 정서에 대한 자기 보호적 접근 등 노년기 적응과 관련된 심리학적 이론의 학문적 가치를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또한 무엇보다도 우리 사회에서 점점 그 비중이 더 커지고 있는 노인들의 적응을 돕고 행복하고 건강하게 노후를 보낼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는 실질적인 방법들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확인하는 연구를 통해 노인들의 우울증상을 완화시키고 노년기에도 새로운 목표를 찾아 적극적이고 즐겁게 살아갈 수 있다는 점을 밝힘으로써 노년기에 대한 부정적 편견을 줄이고 노인의 삶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실용적인 측면에서도 그 파급효과가 클 것으로 본다. 본 연구 자료로 보다 심도 있는 분석을 통해 다양한 연구 성과를 산출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본 보고서에서는 연구 참여자를 구분하지 않고 전체적인 특성을 제시하였으나, 노인의 경우 남성 노인과 여성 노인의 차이가 일반적으로 많이 나타나므로 성차에 따른 차이를 통해 새로운 분석을 시도해 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연구 참여자 중 우울증을 경험하고 있는 참여자를 구분하여 후회 경험이나 후회로 인해 경험하는 부적 정서의 강도, 침투적 사고, 대처 방식의 특성이 노년기 우울증을 어떻게 유지시키는지에 대해 알아볼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통해 노년기 우울증을 예방하고 치료하기 위해 필요한 정서 경험과 대처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노년기 적응, 삶의 만족, 후회 경험, 부적 정서, 자아 통합감, 적응적 철회, 새로운 목표 추구, 침투적 사고, 심리적 안녕감, 주관적 안녕감, 노년기 우울증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