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2763&local_id=10014121
청소년 자살 예방을 위한 학교상담 교육과정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청소년 자살 예방을 위한 학교상담 교육과정 | 2006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이윤주(대구가톨릭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351
선정년도 2006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8년 11월 03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8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에서는 증가하는 청소년 자살의 심각성과 청소년에게 학교생활의 중요성, 학급 단위의 접근의 필요성과 효율성, 예방의 경제성과 효율성에 초점을 두고 상담교육적인 자살 예방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필요성에 근거하여 아래와 같은 구체적인 연구목적과 목표를 설정하였다.

    1) 연구 목적
    학교에서 교사들에 의해 교과지도를 위한 수업 장면과 재량활동 및 조․종례 시간 등 수업 외 장면을 활용하여 자살 예방 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교육 모형과 교육과정을 개발한다.

    2) 결과

    (1)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자살에 영향을 미치는 제반 요인 확인

    가. 리뷰연구에서 취약요인 혹은 위험 요인으로는 우울과 무망감, 낮은 자기존중감, 가정 문제, 학교 문제, 스트레스, 기타 이전 자살시도 경험, 약물, 대중매체 노출이, 보호 요인으로는 사회적 지지, 가족간 정서적 친밀 및 의사소통, 자기존중감과 삶의 의미를 제시하였다.
    나. 고등학생 대상 연구에서 학교계열에 따른 생활스트레스, 자살사고, 사회적지지의 관계는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 중학생 대상 연구에서 자살행동은 모든 위험요인들과 의미있는 상관을 나타냈으며 자살행동과 위험요인들과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은 교사스트레스와 학업스트레스, 우울, 약물복용경험에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라. 고등학생 대상 연구에서 낮은 소외감 집단과 중간소외감 집단의 평균점수와 높은 소외감 집단의 평균점수 사이에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진로장벽에 비해 소외감은 자살생각과 자살시도에 더 큰 설명력을 가지며 소외감과 진로장벽 공히 자살시도에 비해 자살생각에 대한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더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2) 청소년 자살예방 교육과정

    일반 청소년 대상 자살예방 교육과정을 설계하고 이를 실업계 고등학생과 초등학생 대상으로 개발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 영문
  • This study was focused importance of increasing adolescent suicide and school life for adolescence, need of one class approach and effectiveness of prevention. This study aimed development of counseling educational suicide prevention program. Goal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deveolpment of suicide prevention education model and curriculum that school teachers can use easily during formal subject guidance and extra curriculum.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1) identification of factors influencing suicide for adolescence
    Review study: depression, hopeless, low self esteem, family concerns, school concerns, stress, previous suicidal experiences, drug use, contact of suicide news as risk factors, and social support, emotional intimacy and communication with familiy members, self esteem, meaning for life were suggested.
    For high school students: There were school type differences on stress, suicide thought, social support.
    For middle school students: There were correlation between suicidal behaviors and all risk factors. There were regulation effect of ego resilience on relationship between suicidal behavior and stress to teachers and study, depression, drug use.
    For high school students: There were suicidal behaviors score differnces between low and high ailienation group. Ailienation have more explanation power rhan career barriers on suicide thought and attempt. Ailienation and career barriers both have more explanation power on suicide thought than suicide attempt.

    (2) 청소년 자살예방 교육과정

    일반 청소년 대상 자살예방 교육과정을 설계하고 이를 실업계 고등학생과 초등학생 대상으로 개발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1)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자살에 영향을 미치는 제반 요인 확인

    - 청소년 자살, 그중 특히 자살 사고와 시도에 영향을 주는 심리내적 요인과 제반 환경적 요인들을 생태학적 관점에서 접근하여 관련된 선행연구물들과 기타 문헌자료들을 수집, 검토하였다.
    - 발견되는 여러 요인들을 검색하고 이를 고찰 및 정리하여 청소년 자살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모형화하였다.

    (2) 자살 예방 교육에서 다룰 경우 효과적인 요인 선별

    - (1)의 과정에서 자살에 정적으로 작용하는 위험 요인, 취약 요인과 자살에 부적으로 작용하는 보호 요인을 구별, 정리하였다.
    - 선행연구들에서 공통적으로 제시되고 통계적으로 볼 때 자살과의 관계가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난 요인들을 발견하였다.
    - 자살 예방 및 치료 프로그램에서 다루어진 요인들을 살펴 공통적으로 제시되는 요인들을 추출하였다.

    (3) 자살 예방 교육 모형 정립

    - 자살, 그리고 자살 예방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은 매우 복합적이고 복잡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통합적이고 종합적인 교육모형을 정립하기 위해서 교육학, 심리학, 정신의학, 종교학 등 다양한 학문 영역에 대한 문헌고찰을 실시하였다.
    - 문헌 고찰을 통해 잠정적으로 교육모형을 정립하였다.
    - 자살과 관련된 다양한 영역의 전문가들에 자문을 거쳐 교육 모형을 수정, 보완하였다.

    (4) 자살 예방교육 요소 선정

    - 자살 예방 및 치료 프로그램들의 세부 내용을 조사하여 자살예방 교육과정에 포함되어야 할 교육의 영역과 내용을 확인하였다.

    (5) 자살 예방 교육과정 설계

    - 자살예방교육과정의 설계와 교수요목과 수업지도안 개발은 개발 과정에 개입되는 다양한 요소들의 유동적 상호작용을 중시하는 상호작용이론과 교육과정 설계의 일반적 절차로 널리 받아들여지는 Tyler(1949)의 모형에 바탕을 두었다.

    (6) 교육과정 실행을 통한 효과성 검증

    - 개발 및 설계된 교육 과정을 교수요목과 수업지도안의 형태로 정교화하였다.
    -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학급을 무선 표집, 배정하여 자살 예방 교육을 실시한 후 각각의 교육 직후 효과를 측정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a. 청소년 자살상담
    위험 요인으로는 우울과 무망감, 낮은 자기존중감, 가정 문제, 학교 문제, 스트레스, 기타 이전 자살시도 경험, 약물, 대중매체 노출이, 보호 요인으로는 사회적 지지, 가족간 정서적 친밀 및 의사소통, 자기존중감과 삶의 의미를 제시하였다.

    b. 학교 유형과 심리적 환경이 고등학생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학교계열에 따른 생활스트레스, 자살사고, 사회적지지의 관계는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인관계스트레스는 도시실업계<인가대안학교<지방실업계<지방인문계<도시인문계<비인가대안학교 순이며, 당면과제스트레스는 인가대안학교<비인가대안학교<도시실업계<지방실업계<도시인문계<지방인문계 순이었다. 회귀분석결과, 생활스트레스는 자살사고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사회적지지도 자살사고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지지의 증가는 생활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c. 중학생의 자살위험요인에 대한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

    자살행동은 모든 위험요인들과 의미있는 상관을 나타냈으며 자살행동과 위험요인들과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은 교사스트레스와 학업스트레스, 우울, 약물복용경험에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살기사노출에서는 자아탄력성의 주효과는 나타났지만 상호작용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독립변인들이 자살행동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한 중다회귀분석 결과에서 우울은 자살행동을 설명하는 가장 주요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d. 생명 존중 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삶과 죽음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효과

    첫째, 죽음 불안에서 통제집단에 비해 실험집단의 사전과 사후 점수가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다.
    둘째, 자살 위험성에서는 통제집단에 비해 실험집단의 사전과 사후 점수가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삶의 의미에서 통제집단에 비해 실험집단의 사전과 사후 점수가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

    e. 자살예방교육이 고등학생의 자살위험성과 심리적 특성에 미치는 효과
    첫째, 실업계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약 두달 반 동안의 자살예방교육과정은 이들의 우울, 무망감, 자살위험성, 자아탄력성, 자아 존중감, 친구의 지지 지각을 의미있게 변화시킨 것으로 분석되었다.
  • 색인어
  • 청소년, 자살예방, 학생상담, 교육과정, 위험요인, 보호요인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