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토픽맵에 기초한, 철학 고전 텍스트들의 체계적 분석 연구와 디지털 철학 지식지도 구축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1) 21세기 지식 정보 시대의 학문 연구 토대 마련을 위한 기초 연구
    본 연구의 목적은 새로운 디지털 기술인 토픽맵(Topic Map) 모델에 기초한 철학문헌에 대한 연구와 철학문헌의 내용에 대한 다양한 디지털 지식 표현 방식에 대한 기초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철학 고전 텍스트들의 내용을 토픽맵에 의거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개개 철학 고전에 대한 연구서를 인쇄 매체를 통하여 출간하는 한편, 그 연구 성과를 토대로 디지털 철학지식지도(Digital Knowledge Map of Philosophy)를 구축함으로써 디지털 지식 정보 시대에서 요구되는 철학 연구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는 철학 고전 텍스트들을 연구자 개개인이 개별적으로 연구하는 것에 머물었던 종전의 방식에서 벗어나, 연구자들 상호간의 통합적 공동 연구와 독자와 함께 하는 쌍방향의 텍스트 분석 연구라는 21세기 지식 정보 시대의 인문학 연구를 위한 초석을 놓는 것을 궁극 목적으로 한다.

    (2) 학문 연구와 학문 후속세대 교육을 위한 디지털 기초 자료 제공
    철학에서는 여타의 인문학에서처럼 고전 텍스트들을 중심으로 학문 연구와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철학 고전 텍스트들의 내용 분석에 의한 철학 지식은 철학 연구와 교육에 있어 기초가 되는 학문 토대이다.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은 철학 지식은 여타의 인문학 지식과 마찬가지로 중요한 지식 인프라로서의 가치를 가지고 있다. 왜냐하면 모든 지식은 철학 지식과 인문학 지식을 궁극적 기반으로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철학 고전 텍스트의 내용에 대한 지식은 지금까지는 순전히 인쇄 매체를 통한 아날로그 자료를 직접 읽어야만 전달될 수 있었다. 또한 최근에 인터넷 등을 통해 얻을 수 있는 디지털 텍스트 자료들은 인쇄 매체를 디지털 매체로 변환한 것에 불과하여 그 내용에 대한 지식을 전달하기 위해서는 여전히 아날로그 종이책을 읽는 것과 같은 과정을 거쳐야 한다. 본 연구는 토픽맵 모델에 의한 텍스트 분석과 디지털 철학지식지도 구축을 통해 이러한 방식의 철학 지식 전달이 지니는 한계를 보완·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디지털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3) 디지털 정보화의 한계를 극복하는 디지털 지식화의 필요성
    최근 컴퓨터와 인터넷 기술의 발전을 철학 연구 및 교육에 응용하고자 하는 상업적 시도들이 철학 연구자와 학생들을 상대로 난무하고 있다. 그런 한편 철학 고전 텍스트들의 ‘디지털 정보화’ 작업에 철학 연구자들의 관심 또한 적지 않다. 그러나 철학 고전 텍스트들의 ‘디지털 정보화’는 기본적으로 책에 의해 표현되어 있는 아날로그 정보를 컴퓨터 파일로 표현할 수 있는 디지털 자료로 변환하고, 그와 같은 디지털 자료를 검색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그치고 있다. 이와 같이 ‘디지털 정보화’된 철학 고전 텍스트들의 내용에 대한 철학 지식을 얻기 위해서 철학 연구자들은 HWP 파일이나 HTML 파일, 또는 PDF 파일 등의 디지털 자료로 되어 있는 철학 고전 텍스트들을 컴퓨터 화면에서 읽거나, 아니면 프린터로 종이에 인쇄하여 읽어야 하는 것이다.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철학 고전 텍스트들을 토픽맵에 의거해 분석해서 얻은 철학 지식을 컴퓨터 및 인터넷을 통하여 표현하고, 그러한 내용 지식을 검색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철학 고전 텍스트들의 ‘디지털 지식화’가 필요하다.

    (4) 지식 인프라로서의 디지털 철학지식 제공의 필요성
    기초 학문으로서의 철학지식은 단순히 철학을 전공하는 연구자에게만 필요한 것이 아니다. 인문학은 물론이고 사회과학, 자연과학, 나아가 응용과학에 이르기까지 철학지식이 필요하지 않은 분야가 없다. 더욱이 최근에는 모든 학문의 연구가 인터넷을 중심으로 하는 디지털 정보 지식 기술을 이용하고 있고, 이와 같은 디지털 정보 지식 기술의 핵심 지식 인프라가 철학용어 및 철학 개념에 대한 정확한 지식을 요구하는 의미 지식 정보이다. 차세대 지능형 인터넷의 모델인 시멘틱 웹(Semantic Web)이라는 의미정보의 망을 구성하는 지식 표현을 위해서는 철학에서 사용되는 철학용어와 개념에 대한 명확한 정의와 의미론적 관계에 대한 지식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본 연구를 통해 이루어지는 철학 고전 텍스트들에 대한 분석과 그 결과를 이용하여 구축되는 디지털 철학지식지도는 시멘틱 웹의 핵심 지식 자원 표현 방식을 제공하는 디지털 의미 정보 모델인 토픽맵에 기초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 추구하는 토픽맵에 기초한 철학 고전 텍스트들의 분석과 디지털 철학지식지도 구축은 디지털 지식 자원의 핵심 인프라를 제공하는 것이기에 반드시 필요하다.
  • 기대효과
  • (1) 디지털 시대에 적합한 철학 고전 연구의 학문적 토대 마련
    본 연구의 중요한 기초가 되는 철학문헌의 분석에 기초한 콘텐츠는 기본 개념에 대한 표준적 정의, 대표 인용, 상세 인용, 대표 해설, 상세 해설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추후에는 해당 철학문헌에 대한 연구자들의 연구 논문과 연구 결과를 모두 반영하는 철학지식지도를 구축할 예정이다. 이는 철학 고전의 연구에 있어서 21세기 지식정보 기반사회에 알맞은 새로운 연구 토대를 마련하는 작업이 될 것이다.
    철학 고전에 대한 종래의 연구는 개인적인 수작업을 통해 이루어지고, 그 성과 역시 해당 연구자의 판단에 따라 일방적으로 제시되는 방식이었다. 하지만 이러한 작업은 그 성과의 보존 및 전파, 개진에 있어서 일방적이고 제한적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 디지털 시대에 적합한 철학 고전 연구의 토대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2) 철학 고전 텍스트에 근거한 전문 학술 지식의 제공
    본 연구에서 수행하고 있는 철학 고전 텍스트의 분석 작업은 그 연구 분석 방법에 있어서 종래의 연구와는 판이하다. 앞선 ‘연구 방법’ 항목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핵심 토픽에 대한 압축적인 해설 및 원문 인용과 상세 해설이 병행된다. 그러므로 단순히 철학 정보를 검색하고자 하는 사람은 물론, 원전 연구에 관심 있는 사람들에게 그 접근과 활용의 가치를 높일 수가 있다. 아울러 보다 심화된 학술적 정보를 얻고자 하는 자에게도 도움을 줄 수 있다.

    (3) 쌍방향 주해 작업 가능 및 공개적 학술 가치 평가를 통한 학문적 역량 강화
    웹사이트의 운영 및 관리에 있어서 제기되는 수많은 이론(異論)들이 자동적으로 기록되고 그것을 토대로 한 새로운 해석과 번역어가 제안될 것이다. 이것은 철학적 담론의 수준은 한 차원 높여줄 뿐만 아니라 그 과정의 보존 및 서비스를 통해 어떠한 사유의 축적 과정이 있었는가를 한 눈에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의 학문 발전 공헌은 철학 고전 텍스트들의 내용을 개별적으로 검색할 뿐 아니라, 연구 대상이 되는 모든 철학 고전 텍스트들의 내용을 통합적으로 검색할 수 있기에 가능하다. 특히 여러 철학 고전 텍스트들에서 공동으로 사용하고 있는 철학용어들에 대한 쌍방향의 주해 작업을 통해 철학 고전 텍스트의 분석 작업에 대한 공개 학술 평가가 이루어 질 수 있게 된다.

    (4) 단순 정보 검색자는 물론 전문 교육자 및 연구자에게 모두 활용 가치가 있다.
    본 연구의 중요한 기초가 되는 철학문헌의 분석에 기초한 콘텐츠는 기본 개념에 대한 표준적 정의, 대표 인용, 상세 인용, 대표 해설, 상세 해설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추후에는 해당 철학문헌에 대한 연구자들의 연구 논문과 연구 결과를 모두 반영하는 철학지식지도를 제공할 예정이다. 이럴 경우 본 연구의 결과인 철학지식지도는 철학 전문가들의 연구 성과 공유는 말할 것도 없고, 철학에 관심이 있는 일반인에서부터 인문학(특히 철학)의 초심자들을 위한 기본 교양의 저변 확대 및 전공 진입자, 철학 전문 연구자, 교육자(중등과정 포함) 등을 위한 자료로서의 활용가치가 매우 크다.

    (5) 철학지식에 대한 쌍방향 멀티미디어 교육이 가능해진다.
    현재의 철학지식 교육은 주로 대학의 강의실 안에서 교수자와 학습자가 함께 모여 아날로그 정보(책, 논문 등)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물리적 한계를 가지고 있다. 또한 학습자가 아닌 교수자의 주도하에 일방적인 철학지식 전달이 이루어지고 있기에 일방적인 지식 전달이라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구축하는 철학지식지도는 인터넷을 통하여 학습자가 원하는 철학지식을 제공할 수 있고, 동시에 토픽맵 기술을 통하여 교수자와 학습자가 철학지식지도를 함께 만들어 갈 수 있도록 활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결과물 중 하나인 철학지식지도는 교육의 일방성이 갖는 한계를 보완·극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본 연구를 위하여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철학문헌정보센터는 독자적인 토픽맵 웹서버를 구축하고, 토픽맵 웹서비스를 실시할 예정이다. 이와 같은 토픽맵 웹서비스는 기존의 웹서버에서는 제공하지 못하였던 동적인 지식검색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학습자가 원하는 토픽에 따라 철학지식을 검색하고, 연관된 철학지식을 동적으로 찾아갈 수 있는 토픽맵 웹서비스는 학습자가 주도적으로 철학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지능적 교육 시스템을 제공하여 줄 것이다.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철학 고전 텍스트들을 토픽맵에 의거하여 ‘철학지식지도’와 ‘원전에 준거한 텍스트 해설서’를 작성하여 인터넷 웹사이트 구축, 이를 제공함으로써 21세기 정보지식기반사회에 알맞은 인문학·철학 연구의 토대를 마련하기 작업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3가지 핵심적인 사항이 요구된다. ① 분석 대상 텍스트의 선정, ② 텍스트 분석의 방법, ③ 지식 검색 웹사이트의 구축(기존 정보 검색 사이트와의 차별성)

    1) 연구대상 철학 고전 텍스트들의 선정 이유 및 선행 연구 성과
    (1) 연구대상 철학 고전 텍스트
    파르메니데스: 『단편』, 플라톤: 『향연』, 『고르기아스』, 아리스토텔레스: 『형이상학』, 에픽테토스: 『담화록』, 토마스 아퀴나스: 『대이교도대전』, 홉스: 『리바이어던』,흄: 『인간오성에 관한 탐구』, 베이컨: 『신기관』, 칸트: 『판단력 비판』,『윤리 형이상학 정초』, 셸링: 『철학적 원리로서의 자아』, 피히테: 『지식학의 기초』, 후설: 『엄밀학으로서의 철학』, 베버: 『프로테스탄티즘의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니체: 『도덕의 계보』, 『우상의 황혼』, 하이데거: 『이정표』, 『철학에의 기여』, 마르크스: 『경제학·철학 수고』, 가다머: 『진리와 방법』, 아도르노: 『부정변증법』, 노직: 『무정부, 국가 그리고 유토피아』, 굳맨: 『세계제작의 방법들』, 『사실, 허구 그리고 예측』, 롤즈: 『정의론』, 하버마스: 『인식과 관심』, 로티: 『철학과 자연의 거울』, 이이: 『율곡전서(栗谷全書)』, 지의: 『마하지관(摩訶止觀)』, 마명: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 공자: 『논어(論語)』, 원효: 『금강삼매경론(金剛三昧經論)』, 주희: 『주자어류(朱子語類)』, 황종희: 『명이대방록(明夷待訪錄)』, 양계초: 『신민설(新民說)』, 양수명: 『동서문화급기철학(東西文化及其哲學)』

    (2) 선정 이유
    본 연구를 위해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철학문헌정보센터에서는 전문가들의 자문을 구해 300권의 동·서양 철학고전을 선정한 후, 이에 가장 적합한 연구자들을 27명(박사급 공동연구원 20명, 교수급 공동연구원 7명)을 확보함으로써, 우선 연구 대상서들을 결정하게 되었다.

    (3) 선행 연구 성과 반영을 통한 시너지 효과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철학문헌정보센터에서는 지난 2년간 32권의 철학 고전 텍스트들을 주요 개념의 연관관계에 따라 체계적으로 분석한 결과를 개별 연구서로 완성하여 『철학사상』 별책 제 2권 총 14책(1차년도 연구대상서, 2003. 05. 25) 및 제 3권 총 19책(2차년도 연구대상서, 2004. 06. 15 예정)으로 출간 하였다. 여기에 금번 연구 대상서 35권이 합쳐진다면, 명실상부한 철학지식 검색시스템의 콘텐츠를 이룰 것이다.

    2) 토픽맵에 기초한 철학 고전 텍스트 분석 방법

    (1) 최상위 토픽의 분석
    철학 고전 텍스트의 최상위 토픽은 철학 고전 텍스트의 내용에 대한 철학 지식의 구성 요소들인 토픽들 중에서 가장 중요한 토픽이다. 이와 같은 최상위 토픽은 각 철학 고전 텍스트들의 내용에 대한 철학 지식의 필수적인 지식 구성 요소로서, 보통 ‘신’, ‘이성’, ‘자아’ 등과 같은 전통적인 철학 용어들에 의하여 표현될 수 있는 철학 개념들이다. 즉, 최상위 토픽들은 철학 고전 텍스트들의 내용에 대한 철학 지식을 표현하기 위하여 가장 중요한 철학 개념들에 해당한다.

    (2) 하위 토픽의 분석
    철학 고전 텍스트의 하위 토픽은 최상위 토픽에 대한 철학 지식의 구성 요소들이 되는 토픽들이다. 이와 같은 하위 토픽들은 각 철학 고전 텍스트들에 있어 최상위 토픽에 대하여 어떠한 철학 지식이 내용으로 제공되고 있는지를 보여 준다. 예를 들어 ‘이성’이라는 최상위 토픽에 대하여 ‘이성의 정의’, ‘이성의 구분’ 등의 하위 토픽들이 있을 수 있는데, 이와 같은 하위 토픽들은 해당 텍스트가 ‘이성의 정의’, ‘이성의 구분’이라는 구성 요소의 내용을 지니고 있음을 표현한다. 하위 토픽들에 대한 하위 토픽들이 있을 수 있고, 이와 같은 하위 토픽들의 위계 구조는 해당 철학 텍스트의 내용을 보다 체계적으로 표현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3) 연관 관계 분석
    철학 고전 텍스트들의 내용에 대한 철학 지식 구성 요소들인 토픽들은 상호간의 여러 가지 관계들을 통하여 철학 지식을 표현할 수 있다. 최상위 토픽들은 일반적으로 직접적인 연관 관계를 갖지 않는다. 다만 최상위 토픽들과 하위 토픽들 사이에는 위계 관계라는 연관 관계가 있을 수 있고, 또한 최상위 토픽들의 분류를 위한 토픽 타입에 의하여 최상위 토픽들이 서로 연관 관계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반해 하위 토픽들은 내용상으로 서로 포함 관계와 부정 관계, 반대 관계, 동등 관계 등의 다양한 연관 관계들을 지니게 된다. 이와 같은 연관 관계를 표현하기
  • 한글키워드
  • 원문상세해설,대표해설,쌍방향 주해 작업,철학지식 검색 시스템,철학고전텍스트,고전 연구의 학문적 토대,교육의 물리적 한계,멀티미디어 교육,원문해설,원문인용,어커런스,연관관계,하위토픽,최상위 토픽,철학지식지도,선행연구,토픽맵,원문요약,원문상세인용,토픽맵 웹 서버 구축,공개적 학술가치 평가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디지털 철학 지식지도 구축의 목적은 디지털 자료의 내용에 대한 디지털 지식 모델인 토픽맵에 기초해 철학 고전 텍스트들의 내용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철학 고전 텍스트들의 내용에 의거한 철학 지식을 컴퓨터와 인터넷을 통해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디지털 자료의 내용에 대한 디지털 지식 모델인 토픽맵에 기초해 철학 고전 텍스트들의 내용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철학 고전 텍스트들의 내용에 의거한 철학 지식을 컴퓨터와 인터넷을 통해 제공하는 ?디지털 철학 지식 지도?를 구축하였다.
    ?디지털 철학 지식 지도?에 구축된 철학 고전 텍스트들은 동?서양의 철학을 대표하는 300권의 텍스트들 중, 이번 연구를 위해 선정한 총 37권의 고전 텍스트와 2002년-2004년도에 연구된 고전 텍스트 38권 중 33권을 개정하여 콘텐츠로 활용하였다. 연구의 수행 과정에서 애초에는 연구 계획에 포함되지 않았던 부수적인 연구 성과물이 있었고, 그 연구 성과물들은 학술지에 연구 논문의 형태로 발표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최종 연구 결과물인 ?디지털 철학 지식 지도?는 ?철학자 지식지도 웹페이지?, ?철학문헌 지식지도 웹페이지?, ?철학문헌 내용 지식지도?로 구성되어 있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e construction of Digital Knowledge Map of Philosophy is in order to analyse systematically the contents of the philosophical classic texts based on the Topic Map and to serve the philosophical knowledge rooted on the original philosophical texts through the internet or computer network. Therefore this research analysed the philosophical classic texts based on the Topic Map and constructed the Digital Knowledge Map of Philosophy, which is served through the internet or computer network.
    The philosophical classic texts constructed in the Digital Knowledge Map of Philosophy amount to 37 books which is selected among the list of 300 books and are involved 33 books which are already studied in 2002-2004 research project. This research project needs the same method of analytic and research because of the digitalising about the philosophical texts and data. The research result of this is The Research about the Construction of Digital Knowledge Map of Philosophy, based on the Topic Maps(Chul Hak Sa Sang, journal of Philosophical Ideas, independent Vol. 7, No. 25). The research․anaytic result books about the philosophical classic texts are published in Chul Hak Sa Sang, journal of Philosophical Ideas, independent Vol. 7, No. 1-25 and all of the contents is constructed to the Digital Knowledge Map of Philosophy and webserved for academic researchers and public readers.
    In the process of the project some researchers published the annexed research results not involved at the beginning and this annexed research results published academic essays in the journals.
    Lastly the Digital Knowledge Map of Philosophy, the final result of this research project consists of the below.

    (1) The Webpage of Philosophers Knowledge Map
    In the Webpage of Philosophers Knowledge Map shows the inner occurrence , outer occurrence and the relative knowledge items etc selected the philosophers list of Hompage of Digital Knowledge Map of Philosophy. The information of philosophers link photographic of philosophers, names and their own webpages. In the Contentsknowledge man can surf the summary of life, explanation of life and bibliography and in the relationknowledge the relative philsophers, philosophical field, philosophical schools and their own writings.
    (2) The Webpage of Philosophical Writings Knowledge Map
    In the Webpage of Philosophical Writings Knowledge Map shows the inner occurrence , outer occurrence and the relative knowledge items etc selected the philosophical writings of Hompage of Digital Knowledge Map of Philosophy. The information of Philosophical Writings link the pictures of philosophical writings, titles and authors. In the Contentsknowledge man can surf the summary of the writing, explanation of writing and detail table of contents and in the relationknowledge the relative philsophers, philosophical field, philosophical schools and their own writings connected original writings.
    (3) The Webpage of Philosophical Writings Contents Knowledge Map
    If man clicks the Philosophical Writings Knowledge Map, it shows the Topic Hierarchies which are Contentsknowledge of Philosophical Writings. If man clicks the some topic, for example 'mathematics', it shows the citations of contents and the explanation of contents which is the part described about the 'mathematics' of Discourse of Method.

    The academic essays and writings resulted from this research project suggest the new paradigm of philsophical studies and education. In addition to this the digital files of analytic research results will be used as the digital data for the construction of Digital Knowledge Map of Philosophy.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디지털 자료(Digital Data)의 내용에 대한 디지털 지식 모델인 토픽맵(Topic Maps)에 기초해 철학 고전 텍스트들의 내용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철학 고전 텍스트들의 내용에 의거한 철학 지식을 컴퓨터와 인터넷을 통해 제공하는 ‘디지털 철학 지식 지도’(Digital Knowledge Map of Philosophy) 구축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 토픽맵에 기초하여 분석할 철학 고전 텍스트들은 동·서양의 철학을 대표하는 300권의 텍스트들 중,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철학문헌정보센터에서 선행연구를 통해 분석한 텍스트들을 제외하고, 금번 연구기간에 본 연구의 텍스트 분석에 참여하는 연구원들의 전문분야를 고려하여 선정하였다.

    1. 디지털 철학 지식지도 구축 목적
    디지털 철학 지식지도 구축의 목적은 디지털 자료(Digital Data)의 내용에 대한 디지털 지식 모델인 토픽맵(Topic Maps)에 기초해 철학 고전 텍스트들의 내용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철학 고전 텍스트들의 내용에 의거한 철학 지식을 컴퓨터와 인터넷을 통해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디지털 철학 지식지도는 철학 연구자나 일반인이 컴퓨터와 인터넷을 이용하여 철학 고전 텍스트들의 디지털 자료, 특히 디지털 텍스트들의 내용에 근거하는 철학 지식에 토픽맵 기술을 이용하여 신속하고 정확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2 디지털 철학 지식지도 구축의 필요성
    철학에서는 많은 경우 고전 텍스트들을 중심으로 연구와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 때문에 철학 고전 텍스트들의 내용 분석에 의한 철학 지식은 철학 연구와 교육에 있어 필수 불가결한 기초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철학 고전 텍스트의 내용에 대한 지식은 지금까지는 순전히 인쇄 매체를 통한 아날로그 자료를 직접 읽어야만 전달될 수 있었다.
    또한 최근에 인터넷 등을 통해 얻을 수 있는 디지털 텍스트 자료들은 인쇄 매체를 디지털 매체로 변환한 것에 불과하여 그 내용에 대한 지식을 전달하기 위해서는 여전히 아날로그 종이책을 읽는 것과 같은 과정을 거쳐야 한다. 이러한 철학 지식 전달 방법이 지니는 한계를 보완 · 극복하기 위하여 철학 고전 텍스트들의 내용에 대한 철학 지식을 분석하여 최근 지식 표현의 국제 표준으로 등장한 토픽맵(Topic Maps)에 의해 이를 표현하고, 토픽맵에 의하여 표현된 철학 지식을 제공할 수 있는 디지털 철학 지식지도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3. 디지털 철학 지식지도 구축의 효과
    디지털 철학 지식지도의 구축은 다음과 같은 학문적, 사회적 및 교육적 효과를 가질 것으로 기대된다.
    첫째, 디지털 철학 지식지도는 중요한 철학 지식 정보가 필요로 하는 이의 수준에 맞게 활용될 수 있다. 디지털 철학 지식지도의 토대 자료가 되는 철학 고전 텍스트들의 분석에 기초한 콘텐츠는 기본 개념에 대한 표준적 정의, 대표 인용, 상세 인용, 대표 해설, 상세 해설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 더하여 장차는 해당 철학 고전 텍스트들에 대한 연구자들의 연구 논문 내용이 추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구축된 디지털 철학 지식지도는 철학 전문가들 사이의 연구 성과 공유는 말할 것도 없고, 일반인을 위한 기본 교양의 저변 확대 및 전공 진입자, 철학 전문 연구자, 교육자(중등과정 포함) 등을 위한 자료로서의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둘째, 디지털 철학 지식지도는 철학지식 교육의 물리적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 현재의 철학지식 교육은 주로 대학의 강의실 안에서 교수자와 학습자가 함께 모여 아날로그 정보(책, 논문 등)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물리적 한계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디지털 철학 지식지도는 인터넷의 성격의 맞게 제작되어 언제 어디든지 효과적으로 학습자가 원하는 철학지식을 제공할 수 있어, 교육의 물리적 한계를 극복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셋째, 디지털 철학 지식지도는 일반인들의 인문학 교양 수준 제고와 철학 연구 성과의 확산에 일조할 것이다. 이에 따라 디지털 철학 지식지도는 일반인들이 철학 고전 텍스트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함으로써 한국 사회 전체의 인문학적 소양의 제고와 인문학적 토대를 튼튼하게 만들어 줄 것이다. 이는 특히 인문학 분야의 기초학문 육성의 궁극적 목표를 실현하는 데 있어서 다른 어떠한 방식의 연구보다 탁월한 효과를 발휘할 것이라고 본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연구결과
    본 연구단의 연구결과는 크게 3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우선 디지털 철학지식지도 구축을 위해서는 철학고전텍스트들에 대한 연구·분석의 방법을 기존의 학술연구와는 달리해야 했다. 이를 위해 연구결과로 나온 성과 바로 <철학 고전 작성 가이드>와 이에 ??추어 연구된 철학고전 텍스트들에 대한 문헌 분석 연구 결과서가 있다. 그리고 이와 더불어 학술지에 게재한 연구논문이 있으며, 마지막으로 디지털 철학지식지도가 있다.

    1) 철학 고전 작성 가이드 및 문헌 분석
    상기한 연구 계획에 따른 철학 고전 문헌을 분석·연구하기 위해 통일된 연구·분석 방법이 필요하였고 이에 따른 연구 결과물이 『토픽맵에 기초한 디지털 철학지식지도 구축에 대한 연구』(『철학사상』별책 제 7권 제 25호)이다. 이 결과물의 핵심 내용은 아래와 같고, 전체 성과물(『철학사상』별책 제 5권 제 1-14호 및 『철학사상』별책 제 7권 1-25호)은 별첨하는 한글파일과 pdf파일 그리고 연구 성과물로 제출하는 출간된 책을 통해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기존에 연구된 철학고전텍스트 33권을 새롭게 연구된 작성가이드에 맞추어 개작하여 이를 디지털 철학 지식 지도에 반영하였다.
    2) 철학 고전 문헌 분석 결과(연구논문)
    연구의 수행 과정에서 애초에는 연구 계획에 포함되지 않았던 부수적인 연구 성과물이 있었고, 그 연구 성과물들은 학술지에 연구 논문의 형태로 발표되었다. 여기에서는 그 논문들의 제목, 발표자(연구자), 초록, 핵심어 순으로 연구 결과물을 요약하고, 연구논문의 전문 파일은 별도로 업로드할 것이며, 출간된 연구논문도 별도로 제출하도록 할 것이다.
    3) 디지털 철학 지식 지도의 구축
    철학 고전 텍스트들을 중심으로 구축한 철학지식지도는 다음과 같은 작업을 통해 웹서비스(주소는 다음과 같다: www.philosophy.snu.ac.kr)를 할 수 있도록 구축하였다. 구체적인 구축내용은 상기한 웹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1) 철학자 지식지도 웹페이지 구축
    철학자 지식지도 웹페이지에서는 디지털 철학 지식지도 홈페이지의 철학자 목록에서 선택된 철학자의 내부 어커런스, 외부 어커런스 및 연관 지식항목 등을 상세하게 보여준다. 철학자정보에서는 철학자 사진, 원어이름 및 웹사이트 정보 등을 보여준다. 내용지식에서는 철학자의 생애요약, 생애해설 및 생애연보 등을 해설서 HTML에서 검색하여 보여준다. 연관지식에서는 철학자와 관련된 철학자, 철학분야, 철학학파, 저작 등을 보여준다. 연결된 지식항목을 선택하면 해당 지식을 보여주는 웹페이지가 조회된다.
    (2) 철학문헌 지식지도 웹페이지 구축
    철학문헌 지식지도 웹페이지에서는 디지털 철학 지식지도 홈페이지의 철학문헌 목록에서 선택한 철학문헌의 내부 어커런스, 외부 어커런스 및 연관 지식항목 등을 상세하게 보여준다. 문헌지식에서는 문헌의 표지 그림과 원어 제목, 영어 제목 및 저자를 보여주고, 지식에서는 원전 요약, 원전 해설, 상세 목차를 해설서 HTML에서 불러와서 보여준다. 연관지식에서는 철학문헌과 연결된 관련된 철학자, 철학분야, 철학학파 등의 관련 지식을 보여준다.
    (3) 철학문헌 내용 지식지도 구축
    철학문헌 웹페이지에서 문헌 지식지도 버턴을 선택하면 철학문헌의 내용 지식지도인 토픽위계도를 볼 수 있다. 토픽위계도에서 특정한 토픽, 예를 들어 "수학"을 선택하게 되면 "방법서설"에서 "수학"에 대하여 논의하는 부분인 "내용인용"과 그에 대한 해설인 "내용해설"을 볼 수 있다.

    2. 활용방안
    본 연구 수행으로 확보된 토픽맵에 기초한 철학 고전 텍스트들의 분석연구 결과 중에서 학술 논문 및 학술 저서는 철학의 연구와 교육에 있어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공하는 분석 방법을 제공하게 될 것이다. 또한 분석 연구결과의 디지털 파일들은 디지털 철학 지식 지도 구축을 위한 디지털 자료로서 활용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 구축하는 디지털 철학 지식 지도는 철학 전문가들이 철학 고전 텍스트들에 대한 연구와 교육에 필요한 철학 지식을 컴퓨터와 인터넷을 통해 얻도록 할 것이다. 또한 철학에 관심 있는 일반인들이 철학 고전 텍스트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여 줄 것이다.
  • 색인어
  • 토픽맵, 철학지식지도, 디지털 자료, 철학고전, 철학문헌정보센터, 디지털 텍스트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