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충남지역 마을의 정체성과 역동성 연구 : 마을지 편찬과 마을자료의 수집 및 체계화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인문사회연구분야 토대기초연구지원
연구과제번호 2007-322-B00012
선정년도 2007 년
연구기간 2 년 (2007년 08월 01일 ~ 2009년 07월 31일)
연구책임자 김필동
연구수행기관 충남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강성복(충남대학교)
권병욱(충남대학교)
김현숙(충남대학교)
박종익(충남대학교)
유보경(충남대학교)
이연숙(충남대학교)
송양섭(충남대학교)
전종한(경인교육대학교)
김창민(전주대학교)
허종(충남대학교)
김윤중(한밭대학교)
고바야시카즈미(大阪敎育大學)
권선정(한남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마을은 인간의 구체적 삶의 과정이 투영되어 있는 일상적 생활공간이다. 따라서 마을에 대한 조사․연구는 지리, 역사, 경제, 사회, 문화, 민속, 일상생활 등 다양한 학문분야의 학제적 접근을 필요로 하는 종합적 연구주제이다. 이미 본 연구단에서는 충남지역 9개 마을을 대상으로 총 3개년(2004.9∼2007.8)에 걸쳐 종합적인 조사연구를 수행해 왔다. 이 사업에서는 주로 마을의 ‘생애사'와 ‘정체성'에 초점이 맞추어 연구가 진행되었다. ‘마을의 생애사’는 통시적 측면에서 마을의 형성과 변화 과정을 살핀 것으로써 마을의 형성기(16∼18세기), 변모와 재편기(19세기∼일제시기), 해방 이후의 해체기 등으로 시기를 나누어 마을공동체의 구조와 변화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되었다. ‘마을의 정체성’은 마을의 입지 조건과 주민 조직화의 양상, 생업의 변화와 그 위에 형성된 문화적 축적을 바탕으로 마을이 형성, 발전시켜 온 특징적 모습을 토대로 마을공동체의 ‘지속성’을 밝히는 데 역량이 집중되었다. 이를 통해 매년 3개 마을씩에 대한 주제별 연구논문(연15편 내외)과 각 마을의 과거와 현재의 모습을 총체적으로 구성한 마을지(연3권)가 연구 성과로 발표되어 학계의 많은 관심을 받았다.
    그러나 기존 연구는 충남지역의 16개 지자체 중 9개 지자체의 마을에 대한 연구로 한정되었기 때문에 충남지역 마을의 특징(정체성)을 이해하는 데 긴요한 다른 유형의 마을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했다는 아쉬움을 남기게 되었다. 또한 연구 과정에서 수집한 수많은 자료들(문헌자료, 구술자료, 사진 등)이 정리되지 못한 채 사장될 위험성에 직면하게 되었다. 주제별 연구의 경우에도 개별 마을에 대한 연구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기 때문에 서로 다른 유형의 마을들, 또는 유사한 마을들을 횡단하는 비교 및 종합 연구는 이루어지지 못한 한계도 남기게 되었다.
    이러한 아쉬움과 한계를 넘어서 충남지역 마을연구를 완결짓기 위하여, 후속사업에서는 기존 연구에서 충족되지 못했던 시기, 유형, 입지, 주제 등의 분야에 걸쳐 성찰적 접근을 시도함으로써 연구의 외연을 넓히고자 한다. 또한 마을연구의 진전을 위한 기초 조사연구와 자료의 체계적 정리를 통해 마을연구의 전범이 될 만한 연구모델의 개발을 시도하고자 한다. 이 작업에는 기존의 마을조사에서 수집한 자료들도 포함시키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간축, 공간축, 주제축에 있어서 기존 연구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마을들을 충남지역의 나머지 7개 지자체 지역에서 선정하여, 1) 마을지에 대한 학제적 접근, 2) 각종 자료집의 편찬과 DB의 구축, 3) 비교와 종합을 위한 주제별 연구 등을 수행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주요 작업 방향은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마을지 편찬 : 기존의 마을지는 역사, 지리, 사회․경제, 생애사, 근현대기 일상문화, 민속, 구비전승 등을 다루었다. 새로운 마을지는 학제적 접근을 바탕으로 기존 마을지 작업을 계승, 보완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기존 연구에서 간과했던 시기(근현대기), 입지(산촌, 읍치), 주제(문화, 생태, 권력, 환경 등) 등의 특성을 지닌 마을에 대한 마을지를 편찬한다.

    (2) 자료집 편찬과 DB의 구축 : 기존 연구를 포함하여 마을조사 과정에서 수집, 확보한 마을자료에 대한 체계적인 정리 작업은 향후 마을사 연구의 활성화를 위한 토대를 구축한다는 점에서 중대한 의미를 지닌다. 수집·정리된 자료는 디지털화 단계를 거친 후 웹상에 공개하고, 분산된 다른 자료들과의 연계·통합도 모색할 예정이다.

    (3) 비교와 종합을 위한 주제별 연구 : 이들 작업과 병행하여 기존연구의 9개 마을과 후속사업에서 조사할 7개 마을을 대상으로 비교와 종합을 시도하는 다양한 주제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충남지역 마을공동체의 독자적 특성을 밝혀내고자 한다.
  • 기대효과
  • 1) 학문적․사회적 기대 효과

    (1) 충남지역 마을지 총서(16권)의 완간 : 기존 연구를 통해 출간된 9권의 마을지를 포함하여 총 16권에 달하는 충남 마을지 총서가 완간되면, 학계는 물론 대중들에게도 마을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인식을 새롭게 하는 기회가 된다.
    (2) 학술 연구의 토대가 되는 자료집의 구축 및 공유: 본 연구단에서 수집한 문헌, 구술, 사진, 지도 자료들은 각 마을별․시기별․주제별로 체계화되며, 자료집 발간과 DB 구축을 통해 학계 및 대중과 공유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충남 지역사회 연구의 활성화를 자극할 수 있다.
    (3) <학관협력> 의 새로운 모델 제시: 본 연구단은 학술진흥재단의 지원으로 수행된 마을 조사연구 결과를 지자체의 출판보조금 지원을 받아 출판하였는데, 이는 연구성과의 보급에 있어 <학관협력>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한 것으로, 후속 사업에서도 추진할 것이다.
    (4) 연구주체의 일원으로 참여한 마을주민: 본 연구에서는 마을 주민들을 연구 과정과 검증 과정에 참여시키고 있는데, 이러한 주민의 참여는 주민의 주체성을 일깨우는 계기로 작용한다.
    (5) 지방 행정을 위한 기초 자료와 마을 발전 전략 수립에 활용: 다양한 유형의 마을들을 대상으로 한 본 연구단의 조사연구 결과는 지자체의 행정과 정책 입안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2) 인력양성 및 교육에 대한 기대효과

    (1) 중견연구자의 양성: 본 연구단의 전임 연구 인력들은 전문적인 학제간 연구를 통해 자신의 전공분야는 물론 다른 전공분야에 대해서도 폭넓은 시각과 탄탄한 이론적 기반을 갖는 중견연구자로 육성될 것이다.
    (2) 학문 후속세대의 양성: 본 연구에 대학원 석·박사 과정의 학생과 학부생들을 연구보조원으로 참여시킴으로써 이들로 하여금 현지 조사, 문헌 조사, 인터뷰 기법 등을 습득케 함으로써 학문후속세대로 양성할 수 있다.
    (3) 대학 강의에 자료와 학습의 기회를 제공: 본 연구의 결과물들은 대학의 관련 분야의 교육 자료로도 활용될 수 있다.
    (4) 지역사회 교육을 위한 자료제공: 본연구를 통해 발간된 마을지는 쉽고 흥미롭게 서술되어 있어 지역사회 교육을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단에서 운영하고 있는 홈페이지는 일반인들에게 연구결과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해줄 것이다.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충남지역 9개 마을에 대한 종합적 학술조사를 수행한 기존연구를 전제로 하되, 기존 연구와는 다른 유형으로 새로 선정된 7개 마을을 대상으로 종합적 학술연구를 수행함으로써, 1) 7개 마을에 대한 마을지를 편찬하고, 2) 기존 9개 마을을 포함한 16개 마을에서 수집한 문헌, 구술, 사진, 지도 자료의 DB를 구축해 웹상에서 서비스하고, 3) 충남지역 16개 마을을 횡단하는 비교 및 종합을 위한 주제별 논문들을 생산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하고 있다.
    좀더 구체적인 내용을 (1) 마을 선정의 기준과 선정된 마을들의 목록, (2) 마을지의 내용, (3) 자료 수집·정리와 자료 DB의 구축 방법, (4) 비교와 종합을 위한 주제별 논문들의 내용으로 나누어 요약한다.

    (1) 새로 선정한 7개 마을은 다음 기준을 적용하여 선정하였다.
    - 충남지역 마을조사연구의 완결과 종합
    - 근, 현대기 마을의 역동적 변화와 미래상 제시
    - 산촌(山村)과 도시적 특성의 읍치(邑治)지역에 대한 조사연구 보완
    - 문화, 권력, 생태, 환경 등 주제별 접근의 강화
    (2) 선정된 조사대상 마을은 다음과 같다.
    - 중고제 명창 고수관의 마을 (서산시 고북면 초록리)
    - 조선시대 관아마을 1 (천안시 직산읍 군동리)
    - 무성산 기슭의 생태마을 (공주시 우성면 한천리)
    - 조선시대 관아마을 2 (예산군 대흥면 동서리)
    - 산림문화의 진수, 송계가 전승되는 마을 (계룡시 엄사면 향한리)
    - 장곡사 긴 계곡의 생태문화 마을 (청양군 대치면 장곡리)
    - 비단강의 끝자락 서해에 면한 마을 (서천군 장항읍 장암리)
    (3) 마을지의 내용(목차)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 지리적 경관이 표상하는 인간과 삶의 경험
    - 인간과 공동체의 역사적 궤적의 탐구
    - 공동체의 경제적 기능과 역할, 그리고 변화
    - 인간 관계의 연결망으로서의 사회적 공동체
    - 공동체에 전승된 전통 생활문화
    - 근대적 일상의 풍경을 통해 본 삶의 모습
    - 민속에 투영된 공동체 삶의 구체적 복원
    (4) 편찬·구축할 자료집/DB는 다음 4 가지를 포괄한다.
    - 문헌자료집/DB
    - 구술자료집/DB
    - 사진자료집/DB
    - 지도자료집/DB
    (5) 비교와 종합을 위한 주제별 연구는 다음 네 범주에 걸쳐 이루어진다.
    - 지리적 조건과 마을의 공간구조에 대한 연구
    - 생태 환경에 기초한 경제활동에 대한 분석
    - 경제활동과 일상생활의 기반이 되는 사회조직에 대한 분석
    - 마을의 일상생활을 정당화하는 이념과 상징에 대한 연구
  • 한글키워드
  • 구술사,민속,상업마을,사회조직,의례,지역성,농업경영,외암리,어촌마을,종족마을,마을지,역동성,정체성,충남지역,마을공동체,마을,옹암리,병사리,불이리,합덕리,원산도리,식민지시기,근대성,전통,환경,생태,산촌마을,금강,농촌마을,초록리,연망,의항리,장하리,송룡리,장암리,장곡리,향한리,동서리,한천리,산업화,도시화,한국전쟁,계,종교마을,포구마을,지속성,마을자료,새마을운동
  • 영문키워드
  • folk,locality,Lineage village,local history,Saemaeul Movement,ceremony,commercial village,industrialization,Geumgang(Riv.),mountain village,dynamics,identity,Chungnam Province area,village community,village,religion village,inlet village,fishing village,rural village,landscape,social organization,oral history,network,colonial period,modernity,environment,ecology,village magazine,urbanization,Korean War,durability,mutual-aid society,development,village data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