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한미 FTA의 노동시장 파급효과와 노동제도 변화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기초연구지원인문사회& #40;창의주제연구& #41;
연구과제번호 2007-321-B00035
선정년도 2007 년
연구기간 2 년 (2007년 08월 01일 ~ 2009년 07월 31일)
연구책임자 조준모
연구수행기관 성균관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박상일(성균관대학교)
전용일(성균관대학교)
송병건(성균관대학교)
이해춘(성균관대학교)
이상헌(성균관대학교)
이승길(산업연구원)
안경애(성균관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1) 연구의 배경과 필요성

    정부는 2006년 6월부터 한미FTA에 관한 공식협상을 시작하여 2007년 4월 마무리하였다.
    한미FTA는 향후 우리나라의 무역과 산업구조에 중요한 변화를 초래할 것이며, 이에 따라 노동시장과 노동제도에도 직간접적으로 크게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한미FTA의 체결은 사양 산업을 중심으로 실직자가 양산될 것이며, 성장산업에서도 비숙련노동의 실직이 예상되고 있다. 실직의 양산은 빈곤화와 사회적 배제로 인해 양극화 현상이 심화되고 사회적 갈등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실직 해소를 위한 사회 안전망의 확충은 조세지출의 압박과 경제시스템의 악순환을 가져올 수 있다.
    한미FTA는 노사관계 변화를 유도할 것이다. 즉, 한미FTA 협상에서는 국제노동기구(ILO) 기준의 분쟁절차에 대한 내용이 합의되었다. 이로 인해 기존 노동조건 취약사업장의 분쟁이 격화되며, 산업 혹은 기업내 노사관계의 특징에 따라 다양한 양상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다.
    결론적으로 한미FTA 체결의 긍정적 요소인 산업 및 무역 경쟁력 강화, 고용 및 국민소득 증가 등을 통한 지속가능한 발전은 실직자 양산, 양극화 심화 등의 노동시장 불건전성에 의해 파괴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한미FTA 체결의 결과, 노동시장과 경제시스템의 선순환적 구조를 갖추기 위해서는 노동시장 및 노사관계에 관한 종합적인 파악과 대응이 요구되고 있다.
    종합적인 대응방안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한미FTA 체결로 인한 산업, 무역, 경쟁력 등 실물경제는 물론 노동시장의 양적 파급효과를 파악할 수 있는 실증적 분석이 시도되어야 한다. 또한 산업, 노동, 법, 교육, 문화 등 다양한 방면의 전문가로 구성된 인력 풀을 이용하여 노동시장 제도, 노사관계 제도, 노동 관련법 등 나아가서는 사회통합과 갈등해소를 위한 대안이 제시되어야 한다.
    이러한 광범위한 연구는 한 개인 연구자나 국책연구소에서는 실행하기 어려운 한계점이 있어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진행된 적이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유로운 의사결정을 담보할 수 있는 대학 중심의 전문가로 연구진을 구성하고 다학문간(pluridisciplinary), 다학제간(interdisciplinary) 연구를 진행함으로써 이론적 정합성과 논리적 정치성을 보장하는 실천가능한 정책적 대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2) 연구의 목표

    상기의 연구 배경과 필요성에 의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 목적과 연구목표를 설정하고,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천과제를 설정하였다

    1) 연구목표

    제 1 목표:
    한미FTA체결에 따른 직간접적 산업구조, 무역구조, 직접투자 및 기술격차 변화에 의한 노동시장의 양적구조 변화를 파악한다.

    제 2 목표:
    한미FTA체결에 따른 노사관계 변화, 노동시장의 제도적 여건변화, 노동관련법의 국제적 기준화 등에 대한 영향을 심층적으로 분석한다.

    제 3 목표:
    상기의 분석을 토대로 한미FTA의 선순환적 효과를 극대화하고, 안정적 노동시장과 지속적 경제성장 방안을 도출하며, 사회갈등과 양극화를 해소하여 사회통합과 국민연대를 강화하는 대안을 마련한다.

    2) 실천과제
    제 1 실천과제: 한미FTA에 따른 산업구조조정과 노동시장 변화를 파악
    제 2 실천과제: 한미FTA의 직접투자 효과에 의한 고용변화를 파악
    제 3 실천과제: 노동시장 변화를 유도하는 한미FTA의 직접적 간접적 영향 파악
    제 4 실천과제: 한미FTA로 인한 노사관계 재정립 및 노동관련법의 국제기준 적용 가능성 분석
    제 5 실천과제: 한미FTA로 인한 노동시장의 제도적 변화 파악
    제 6 실천과제: 한미FTA로 인한 사회적 갈등 해소 및 노동시장 안정성 방안 연구

  • 기대효과
  • 본 연구의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다.

    (1) 학문적 기여도
    한미FTA의 우리나라 노동시장에 대한 파급효과를 분석한다.

    <경제적 측면>
    첫째, 1차적으로 한미FTA의 직접적 효과와 이로부터 유발되는 간접적 효과를 거시경제 효과, 외국인 직접투자 효과, 산업구조변화 효과, 기술 및 생산성 변화효과의 분야로 구분하여 분석한다.
    둘째, 1차적 분석결과에 따라 노동시장이 받게 되는 파급효과를 추정함. 노동수요의 변화와 노동시장의 구조조정이라는 두 측면에서 산업간 노동시장과 산업내 노동시장의 변화를 분석한다.

    <제도적 측면>
    첫째, 한미FTA의 노동관련 조항 및 산업구조의 변화로 인하여 예상되는 노사관계의 변화가 노동법 체계, 기존의 노사관행, 그리고 노사간 역학관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다.
    둘째, 미국과 FTA를 체결한 다른 국가에서 노사관계의 변화, 노동분규의 발생 및 진행 사례를 분석하여, 우리나라에 대한 함의를 추출한다.

    (2) 사회적 기여도

    첫째, 한미FTA의 파급효과에 관한 기존의 산업별 영향요인 분석은 고용부문에서 관련부문의 구조조정 가능성, 고용창출효과의 예상, 그리고 관련부문 노동계의 구체적인 움직임 등에 대한 검토하고 대안을 마련함으로써 사회적 갈등해소를 위한 대안을 마련한다.
    둘째, 본 연구는 노동시장 구조조정 및 노사관계의 측면에서 전체 노사관계 및 산업부문별 갈등요인을 파악하고, 갈등요인에 대하여 인과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갈등에 대한 본질을 규명함으로써, 법률적 제도적 측면에서 FTA의 부정적 효과를 축소할 수 있는 현실적 정책대안을 마련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3) 인력양성에 기여

    첫째, FTA-산업구조의 변화-인적자원개발-노동시장을 연계한 통합연구를 자극하여 해당분야의 연구활성화 및 전문인력의 양성에 기여한다.

    둘째, FTA와 노동시장 효과 분석에 관한 거시계량모형을 구축하여 이에 관련된 핵심전문인력을 양성하고 이들이 지식시장에 확산되어 연구결과의 외부확산을 촉진한다.

    (4) 교육과의 연계 활용방안

    첫째, 참여연구진들의 연구경험을 바탕으로 외부강의 및 관련 세미나 발표 등을 통해 관련지식을 전파한다.
    둘째, 폭 넓은 전문가 풀을 구성함으로써, 국책연구소 및 전문연구기관과 연계하여 참여 대학원생들의 교육 및 연구활동을 촉진한다.
  • 연구요약
  • 1) FTA 결성의 사적 고찰 및 한미FTA 협정문 고찰을 통한 한미FTA의 의의

    미국이 기체결한 FTA의 노동관련 조항들을 보면 대체로 핵심노동기준에 대한 조항과 공중고발(public communication) 및 해결절차에 대한 조항으로 구분된다. 우선 미국의 FTA 사례 분석을 통해 한미FTA가 우리나라의 노동시장 제도에 미칠 수 있는 잠재적 영향력을 설명하고자 한다. 그런 다음 한미FTA의 노동관련 조항을 분석하여 사례분석의 결과 규명된 사실이 우리나라의 노동시장과 기업에 대하여 갖는 함의를 논의할 것이다.

    2) 한미FTA의 직접투자와 노동시장 효과 분석

    FDI 결정요인에 관한 일반론적 고찰과 사례분석을 통해 한국에 대한 FDI 유입 효과를 추정할 것이다. FTA가 해당 국가 및 산업에 초래하는 환경변화의 정도(투자자유화 포함 여부 등)나 입지우위 수준과 같은 요인들이 중점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FDI 유입이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문헌연구와 실증분석(CGE 모형)을 병행하는 방식으로 연구를 수행할 것이다.

    3) 한미FTA로 인한 양국 기술격차의 노동시장 효과 분석

    개별기업의 생산성을 나타내는 DEA를 추산하고 이를 다시 기술수준과 기술적 효율성으로 분해한 후 각각을 부가가치생산액 또는 매출액의 구성 값으로 환산할 것이다. 그리고 이를 피설명변수로 하고, 수출, 수입, 매출액 또는 부가가치 생산액을 설명변수로 하는 추정식을 구성하여, 무역구조와 산업구조의 변화가 기술수준과 생산성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고용을 피설명변수로 하고 생산성과 기술수준을 설명변수로 하는 추정식을 구성하여 기술의 변화가 고용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추정식은 패널 GMM 모형을 사용할 것이다.

    4) 한미FTA의 노동시장 영향에 관한 거시경제 모형 구축

    우선 한미FTA의 직접적인 교역구조 효과, 산업활동 영향 등을 파악한 후, 한국을 중심으로하는 무역흐름(중국, 일본, 미국, EU)과 이에 따른 한국의 산업구조 변화를 파악할 것이다. 이러한 산업구조 변화에 따라 노동수요를 예측한다. 한미FTA는 동태적인 과정을 통해 산업 및 무역 구조를 변화시킬 것이다. 이러한 변화과정을 거시경제 모형에 적용하는 것이 보다 정치한 모형으로 발전할 수 있다. 따라서 한미FTA 체결의 효과를 거시경제모형에 이용하기 위해 Parameter Shift 현상을 Delphi방법으로 추출하고 외국 사례를 분석한 후 모형을 완성할 것이다.

    5) 한미FTA가 노사관계에 미치는 효과 분석

    본 연구에서는 노사정의 3주체에 있어 새로운 환경요인으로 인해 발생하는 각종 영향요인과 갈등요인에 대한 정확한 파악을 통해 보다 다차원적인 접근을 시도할 것이다. 또한 NAFTA의 경우 숙련근로자와 미숙련근로자 간의 임금격차를 심화시켰고, 경제적으로 소외되는 계층이 형성되어 노동계의 반발이 확산되었다는 보고가 있으므로 이에 대한 Delphi조사와 비교연구를 수행할 것이다.

    6) 한미FTA가 노동제도에 미치는 효과 분석

    한미FTA의 노동관련 협정문과 미국의 FTA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 노동제도에 미칠 효과를 파악해 볼 것이다. 한편 우리나라의 노동제도는 우리가 가지고 있는 노사관계 문화, 기업의 관행, 노동시장 구조 등 노동시장의 고유한 특성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는다. 한미FTA는 이러한 고유한 특성에 변화를 가져올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변화를 예측하여 이 변화가 우리 노동제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할 것이다.

    7) 한미FTA가 노동 관련법에 미치는 효과 분석

    미국은 다른 나라들의 시장자유화 개혁을 독려하는 한편 세계시장에서 자국의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한 외교통상정책의 일환으로 노동정책을 활용해 왔다. 본 연구는 이러한 내용과 함께 다음의 세 가지 요소를 고려하여 수행할 것이다. 첫째, 미국과 우리나라의 노동기준, 노동법 규제의 공통점과 차이점, 둘째, 우리나라가 처해 있는 노동시장과 노사관계 상황의 특수성, 그리고 세 번째는 우리나라의 노동기준을 국제노동기준에 맞추어야 할 필연성 여부가 될 것이다.
  • 한글키워드
  • 일자리 창출,잠재적 경제 성장,임금,노동시장의 질적구조,입지이론,총요소생산성,사회통합.,양극화 해소,다학제간 연구,다학문간 연구,분쟁해결심판제도,노동협의회,공중의견제출제도,지속적 경제성장,연구개발,인적자원개발,직접투자,관세,무역경쟁력,산업구조,한미자유무역협정,노동시장제도,무역피해,선도산업과 사양산업,경제시스템,기술격차이론,사회적 갈등,노동관련법,전문직 고용,산별교섭과 기업별 교섭,노사관계 제도,비전문직 고용,노동이동,생산성,자료포락분석,중력모형,거시경제모형
  • 영문키워드
  • Potential Growth,International Trade,MERCOSUR,NAFTA,FTA(Free trade agreement),Dispute Settlement Panel.,Public communications,Delphi Method,Job Creation,Skilled and Unskilled Employment,Social Conflict,Labor Movement,Productivity,FDI(Foreign direct investment),Competitiveness,Industrial Structure,Tariff,DEA(Data Envelope Analysis),CGE(Computable General Equilibrium) Model,Locational Advantage,Labor Law,TAA(Trade Adjustment Assistance) Labor Market System,Advanced Industry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에서는 한미FTA가 한국의 노동부문에 몰고 올 변화의 파장을 종합적이고 총체적인 관점에서 분석ㆍ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먼저 한미FTA는 순수출 및 외국인직접투자(FDI) 증대에 따른 생산성 향상을 통해 전산업 고용을 연 2만9천여명 증가시키고 실질임금률도 연 0.16% 증가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또 제조업부문만 따로 볼 경우 향후 5~10년 기간 동안 총 고용을 10만4천여명 증가시킬 것으로 추정된다.
    Delphi 조사에 의하면 국내 전문가 그룹은 한미FTA의 국내 고용 창출 효과에 대해 대체로 유보적인 것으로 나타난다. 고용이 ‘매우’ 증가하는 산업은 자동차ㆍ자동차부품, 대체로 증가하는 산업은 전기ㆍ전자, 섬유ㆍ의류, 기계, 철강,화학 등이고 고용이 ‘매우’ 감소하는 산업은 농림어업, 축산업 등으로 나타난다. 한편, 국내 노동부문에 있어 한미FTA의 고용창출 효과를 가로막을 수 있는 가장 큰 장애요인으로는 노동시장의 경직성을 들고 있다.
    지적재산권 분야의 타결 내용을 보면, 우리가 요구한 사항보다는 미국 측이 요구한 사항이 더 많고 저작권 보호기간을 70년 이상으로 연장하도록 규정한 것, 법정손해배상제도의 도입 등 논란의 대상이 되는 것들이 다수 존재한다. 이러한 결과만을 놓고 보면 우리에게 절대적으로 불리한 것으로 비춰질 수도 있으나 한편으로는 우리 지적재산권 분야의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기회 내지 환경이 제공된 측면도 없지 않다. 또한 협정 문구의 표현상 자유재량의 여지를 남기는 규정들도 존재하기 때문에 국내 입법이나 적용 과정에서 운용의 묘를 살릴 수도 있다.
    한미FTA의 노동장(19장) 내용을 보면 기본노동권 보호와 관련하여 미국이 다른 국가와 체결한 FTA의 노동협정보다 강력한 내용을 담고 있으며 구속력도 높아진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관련된 분쟁해결절차를 신속․투명화하고 대중이 의견을 제시할 수 있는 ‘공중의견제출제도(Public Communication)’를 도입한 점 등은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향후 국내 근로조건을 글로벌 스탠더드에 맞추기 위한 노력을 지속해야 할 것이나, 동시에 ILO, OECD 등 국제기구에 우리의 입장과 이해를 적극 반영시킬 수 있도록 노동외교를 더욱 강화해 나가는 것도 필요할 것이다.
    한미FTA에 따른 FDI 유입 증가는 멕시코의 경우에서처럼 숙련노동의 상대임금 수준을 높임으로써 임금격차를 확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다국적기업은 대체로 선진의 기술지식을 바탕으로 숙련노동집약적인 생산활동을 수행하는 기업들이기 때문이다. 반면, FDI 유입이 전체 임금 수준에 미치는 효과는 보다 불확실하다. 만일, 멕시코의 예에서 보듯이, 다국적기업 진출 확대에 따른 생산성 증대 경쟁이 실질적인 기술진보가 아닌 고용감축 등과 같은 생산비 절감 위주로 이루어진다면 실질임금의 상승 효과는 기대하기 어려워질 것이다. 또한 한국 경제가 갖고 있는 입지우위상의 약점은 한미FTA의 FDI 유치 효과를 다소 제약할 가능성도 없지 않다. 사실, 한국의 전반적인 FDI 규제 수준은 OECD 평균에 비해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지만 최근까지의 FDI 유치 성과는 OECD 선진국은 물론 동아시아의 타 개도국 그룹에 비해서도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난다.
    이상의 연구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한미FTA는 대체로 우리 경제의 장기적인 성장과 발전에 긍정적인 기회로 평가될 수 있다. 무역 및 외국인직접투자(FDI)의 증대로 고용수준과 생산성이 향상되고 노동 관행 및 제도가 선진화되며 국가의 기술지식 수준이 한 단계 업그레이드될 수 있는 새로운 길목이 열리게 된 것이다. 그러나 이 모든 것은 말 그대로 ‘가능한’ 일일 뿐이다. 많은 것이 우리의 경제주체들이 앞으로 어떻게 하느냐에 달려 있다. 특히 산업구조조정에 따라 고용 및 소득의 양극화가 심화되고 일부 사양업종에서 노사갈등이 첨예화되는 등 다양한 부작용이 우려되는 상황에서 이러한 사회적 비용을 어떻게 최소화해 나갈 수 있느냐가 매우 중요할 것이다. 현재 한국 경제의 시급한 과제라면 무엇보다도 보다 유연한 노동시장과 상생적인 노사관계, 그리고 효과적인 무역조정지원제도(TAA)를 만들어 정착시키는 일일 것이다.
  • 영문
  • This study is to look in and analyze the impacts of the KORUS FTA on the labor sector in Korea from the comprehensive and wholistic perspective
    The KORUS FTA is expected to elevate productivity with growing net exports and FDI, create employment in all industrial sectors by 29,000 annually and increase real income by 0.16% annually. For the next 5-10years, the agreement is presumed to create employment by 104,000 in the manufacturing sector alone.
    According to Delphi research, experts in Korea have shown reservation about the FTA's employment impact in Korea. Automobile and automobile parts are a few sectors that are likely to see fast growth in employment. Electricity, electronics, textile and clothing, machinery and chemical sectors will see general increase in employment. Agriculture, forestry, fisheries, stock breeding sectors are likely to experience fast fall in employment. Meanwhile, it was pointed out that the biggest hurdle in realizing the employment potential that the KORUS FTA promises is labor inflexibility.
    In the agreement for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there are more requirements of US than those of ours. And there are also many controversial topics such as an introduction of legal compensation system for damage and an extension of copyright protection period for more than 70 years. Considering these agreements, it may seem to be absolutely disadvantageous to us, but on the other hand it can be either an opportunity or development of environment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for us. In addition, since there are some regulations which have room for discretion by an expression of negotiations, we could come up with a good strategy through the process of domestic legislation or application.
    Examining the Labor part of KORUS FTA(Ch.19), the agreement has more powerful regulations and carries more highly binding force than the other labor arrangement between US and other countries. Furthermore, it can be considered positively to introduce a ‘Public Communication System’ which makes public can provide opinion and also makes a process for resolving disputes to be more rapid and transparent. From now on, we have to persist in effort to develop our domestic working conditions up to global standard. And at the same time, we need to strengthen the diplomacy in the labor sector to induce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s such as ILO and OECD to much reflect our opinions.
    The KORUS FTA would probably induce the inward flow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And that might probably, as in the case of Mexico, raise the relative wage of skilled-worker, and therefore aggravate the problem of wage inequality. Because the MNCs are the firms that are usually pursuing the skilled-intensive production activities based on the advanced technological knowledge. On the contrary, the effect of inward FDI on the general level of wage is more unclear. One would hardly expect the rise of real wage if, as in the case of Mexico, the productivity competition brought about by MNCs's market penetration leads to simple cost reduction such as lay-offs rather than to substantive technical progress. Moreover, the weak locational advantage of Korean economy might probably reduce the beneficial FDI-attracting effect of KORUS FTA. In fact, although its overall regulative degree relative to FDI doesn't seem to be higher than OECD average, the Korean economy has been performing quite poorly in attracting FDI relative to the East-Asian developping countries as well as to OECD advanced member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에서는 한미FTA가 한국의 노동부문에 몰고 올 변화의 파장을 종합적이고 총체적인 관점에서 분석ㆍ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한미FTA의 고용 및 임금 효과
    한미FTA는 순수출 및 외국인직접투자(FDI) 증대에 따른 생산성 향상을 통해 전산업 고용을 연 2만9천여명 증가시키고 실질임금률도 연 0.16% 증가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또 제조업부문만 따로 볼 경우 향후 5~10년 기간 동안 총 고용을 10만4천여명 증가시킬 것으로 추정된다.
    •한미FTA와 노동이슈 관련 업종별 이해관계자의 태도 분석: Delphi 조사
    국내 전문가 그룹은 한미FTA의 국내 고용 창출 효과에 대해 대체로 유보적인 것으로 나타난다. 고용이 ‘매우’ 증가하는 산업은 자동차ㆍ자동차부품, 대체로 증가하는 산업은 전기ㆍ전자, 섬유ㆍ의류, 기계, 철강,화학 등이고 고용이 ‘매우’ 감소하는 산업은 농림어업, 축산업 등으로 나타난다. 한편, 국내 노동부문에 있어 한미FTA의 고용창출 효과를 가로막을 수 있는 가장 큰 장애요인으로는 노동시장의 경직성을 들고 있다.
    •한미FTA와 지적재산권 분야의 쟁점
    우리가 요구한 사항보다는 미국 측이 요구한 사항이 더 많고 저작권 보호기간을 70년 이상으로 연장하도록 규정한 것, 법정손해배상제도의 도입 등 논란의 대상이 되는 것들이 다수 존재한다. 이러한 결과만을 놓고 보면 우리에게 절대적으로 불리한 것으로 비춰질 수도 있으나 한편으로는 우리 지적재산권 분야의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기회 내지 환경이 제공된 측면도 없지 않다. 또한 협정 문구의 표현상 자유재량의 여지를 남기는 규정들도 존재하기 때문에 국내 입법이나 적용 과정에서 운용의 묘를 살릴 수도 있다.
    •한미FTA 노동장의 의미
    기본노동권 보호와 관련하여 미국이 다른 국가와 체결한 FTA의 노동협정보다 강력한 내용을 담고 있으며 구속력도 높아진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관련된 분쟁해결절차를 신속․투명화하고 대중이 의견을 제시할 수 있는 ‘공중의견제출제도(Public Communication)’를 도입한 점 등은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향후 국내 근로조건을 글로벌 스탠더드에 맞추기 위한 노력을 지속해야 할 것이나, 동시에 ILO, OECD 등 국제기구에 우리의 입장과 이해를 적극 반영시킬 수 있도록 노동외교를 더욱 강화해 나가는 것도 필요할 것이다.
    •FDI를 통해 본 한미FTA의 노동시장 효과
    한미FTA에 따른 FDI 유입 증가는 멕시코의 경우에서처럼 숙련노동의 상대임금 수준을 높임으로써 임금격차를 확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다국적기업은 대체로 선진의 기술지식을 바탕으로 숙련노동집약적인 생산활동을 수행하는 기업들이기 때문이다. 반면, FDI 유입이 전체 임금 수준에 미치는 효과는 보다 불확실하다. 만일, 멕시코의 예에서 보듯이, 다국적기업 진출 확대에 따른 생산성 증대 경쟁이 실질적인 기술진보가 아닌 고용감축 등과 같은 생산비 절감 위주로 이루어진다면 실질임금의 상승 효과는 기대하기 어려워질 것이다. 또한 한국 경제가 갖고 있는 입지우위상의 약점은 한미FTA의 FDI 유치 효과를 다소 제약할 가능성도 없지 않다. 사실, 한국의 전반적인 FDI 규제 수준은 OECD 평균에 비해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지만 최근까지의 FDI 유치 성과는 OECD 선진국은 물론 동아시아의 타 개도국 그룹에 비해서도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난다.
    •해외소싱(offshoring))의 고용 효과: 글로벌 추이와 한국에의 시사점
    실증적으로는 기업의 해외소싱(offshoring) 활동이 국내 고용을 다소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기업의 다른 모든 활동과 마찬가지로 해외소싱 또한 궁극적으로는 수익창출을 위한 것이며 기업의 수익성 향상은 새로운 고용창출의 여력을 제공해 준다. 즉, 해외소싱이 고용감소를 유발하느냐의 여부는 현상 자체의 문제라기보다는 그와 같은 기업활동이 해당 기업 또는 산업 내지 국가 차원의 생산성 증대에 얼마나 효과적으로 기여할 수 있느냐의 문제라 할 수 있다.
    거시경제적 차원에서 예견되는 보다 분명한 결과는 해외소싱의 확대가 국내 고용 및 임금 구조를 숙련노동에 유리한 방향으로 변화시킴으로써 ‘고용 양극화’의 고통을 심화시키는 요인이 될 것이라는 점이다. 따라서 정부는 시장친화적인 제도 및 시스템 개혁을 통해 경제의 성장동력을 강화하는 동시에 실직자 및 노동소외계층에 대한 직업훈련과 취업알선을 효과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적절한 고용정책을 마련해야 할 필요가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연구결과

    1차년도 연구 결과로서 당초 연구제안서에서 제시했던 7개 주제에 3개 주제를 추가하여 학술저서를 발간하였다.
    2차년도 연구는 본 연구주제에 대한 확장, 심화, 응용 연구의 개념으로 수행하였으며 이의 결과로서 학술저서를 추가 발간할 예정이다.

    - 조준모 외, 『한미FTA의 노동시장 파급효과와 노동제도 변화』, (주)중앙경제, 2008. 2.
    - 조준모 외, 『한미FTA의 노동시장 파급효과와 노동제도 변화: 세계화, 기술혁신과 노동』, 2010. 2.
    (발간 예정)

    •활용방안

    모든 연구 참여자는 단독 혹은 공동으로 국제 저명학술지 및 국내 학진등재(후보)지에 논문을 게재할 예정이다.

    발표 예정 국제학술지(SSCI):
    JOURNAL OF POLICY MODELING, JOURNAL OF LABOR ECONOMICS, JOURNAL OF LABOR RESEARCH, WORLD DEVELOPMENT, JOURNAL OF WORLD TRADE, WORLD ECONOMY 등

    발표 예정 국내학술지:
    노동경제논집, 노동법학, 응용경제, 경제발전연구, 국제경제연구, 산업조직연구 등
  • 색인어
  • 고용, 노동, 노동시장, 노동이동, 노동협정, 노사관계, 다국적기업, 델파이조사, 비교우위, 사회안전망, 생산성, 실업, 외국인직접투자, 임금, 입지우위, 자유무역협정, 지역경제협력, 지적재산권, 한국, 한미자유무역협정, 해외직접투자 Comparative Advantage, Computable General Equilibrium, CGE, Delphi, Foreign Direct Investment, FDI, Free Trade Agreement, FTA, International Labour Organization, ILO, Labour, North American Free Trade Agreement, NAFTA, OECD, Offshoring, Public Communication, Trade Adjustment Assistance, TAA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