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韓國史上의 官職 官人 DB구축과 官僚制 운영시스템 연구 - 고조선에서 대한제국까지 -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인문사회분야지원토대연구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05-078-AM0010
선정년도 2005 년
연구기간 3 년 (2005년 09월 01일 ~ 2008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정만조
연구수행기관 국민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장일규(국민대학교)
김두진(국민대학교)
지두환(국민대학교)
박종기(국민대학교)
이선희(서울대학교)
이근호(국민대학교)
홍영의(한신대학교)
이창걸(경희대학교)
문창로(국민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과제는 한국 역사상 관직에 올라 있는 관인의 명단을 추출, 정리하여 DB로 구축하고, 이를 토대로 한국사상 관료제 운영시스템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한국사상 국가체제가 발전하면서 관료제 역시 변화, 발전하였다. 관직 체제의 정비과정에 대한 해명은 한국사상 국가의 발전과정을 이해하는 단서가 된다. 이러한 측면에서 관직 내지 관인에 대한 연구는 일찍부터 시작되었다. 하지만, 한국사의 각 시대 뿐만 아니라 한국사 전체를 통사적으로 관통하는 관직, 관인에 대한 연구는 사실 걸음마단계에 불과하다. 그것은 고조선시대부터 대한제국기까지 특정 자료를 분석하는 미시적 접근 방식으로 연구가 진행되었기 때문이다. 본 연구 과제는 관료제를 통한 한국사의 통사적 이해를 모색하기 위해, 그 선결 과제인 관인 자료의 정리 및 구축을 시도하고, 그것을 DB화하여 자료의 영구적인 보존은 물론 그 활용을 가능하게 하려고 한다.
    한국사 역대 인물 관련 자료는 역사 연구의 기초 자료이자 대중들의 지속적인 관심의 대상이다. 그러한 이유에서 1990년대 이후 역사 자료의 전산화 사업이 수행되었을 때, 인물 자료의 정리는 우선적으로 정리되었다. 또한 웹서비스의 발전과 확대로 그 결과는 폭넓게 활용되어 왔다. 그러나 DB로 구축된 인물 자료는 많아야 5만명을 약간 상회하는 정도이고, 그마저도 역사상 중요한 인물에 국한되었다. 따라서 각 시대 주요 歷史書에 기록되어 있지만 누락되었던 인물도 적지 않다.
    또한 기존에 구축된 DB 자료는 정보를 구축, 관리하는 기관이 서로 달라 상호 교차해서 검색, 이용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이로 인해 한 인물이 어떤 관직을 역임하였는지, 해당 官歷이 한 인물의 생애에서 어떠한 의미가 있는지, 일정 관력을 가진 인물이 당시 정국 향배에 어떠한 역할을 담당하였는지 등은 역사적 관점에서 거의 설명될 수 없었다. 따라서 인물 자료의 제한적 정리와 활용을 극복하고, 자료 분석을 토대로 한 한국사 전반의 이해를 위해서는 어느 때보다 인물 자료를 새롭게 정리하는 방식을 개발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삼국사기>>, <<고려사>>, <<조선왕조실록>> 등 正史類 자료에서 확인되는 관인의 수는 대략 22만명에 달한다. 본 과제는 정사류 자료를 기본대상으로 삼아 각 관서에 소속된 관인을 추출하려고 한다. 다음으로 입력, 정리된 관직, 관인 DB를 검수함과 동시에 각종 보완자료를 이용하여 정확한 관직, 관인 DB를 구축하고자 한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관인 자료의 관직별, 시기별, 인명별 검색과 활용이 가능하도록 할 예정이다.
    본 과제에서 구축한 관직, 관인 DB는 관인의 관직 이동 경로는 물론 관서별 관인의 명단, 동일 시기 관서별 관인의 현황 등을 생생히 살필 수 있는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이를 통해서 한 관인의 정치 활동에 대한 모든 정보는 물론 관제의 운영 내용과 실태가 일목요연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것은 관료제의 실시 시기나 과정, 그 성격과 특징을 살필 수 있는 최상의 자료가 될 것이다.
    이러한 자료를 활용할 때, 어떤 기준과 과정으로 관직의 선발 및 제수가 이루어졌는지, 고위 관직 승진을 위한 주요 관직의 이동 경로는 어떤 모습인지, 어떤 관직이 당시 정국 동향에 결정적 영향을 미쳤는지, 특정 관직과 정치 세력의 향배가 어떤 관련성을 갖는지, 관직 전반을 아우르는 운영 체제는 어떤 모습으로 성립, 변화되었는지 등을 고찰할 수 있다. 곧 관직, 관인 DB 자료를 통해서 고조선 이후 대한제국까지 한국사상 관료제의 운영시스템의 실상에 대한 본격적인 접근이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과제는 한국사의 통시대적인 이해를 추구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과제임이 분명하다고 하겠다.
  • 기대효과
  • 본 연구 과제가 성공적으로 수행되어 한국사상의 관직, 관인 DB가 구축된다면 학문적 측면 뿐만 아니라 학문외적 측면에서 지대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학문적 측면에서, 첫째 본 연구 과제는 한국사 역대 인물에 대한 풍부한 관력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한국사상 관직, 관인 DB 자료는 22만명 이상의 관인 정보를 정리한 결과물이다. 이같은 성과는 기존에 이용되고 있는 인물 관련 DB 자료의 한계를 보완하며, 나아가 각 시대별 정치사나 제도사, 사회사 연구 등에 보다 광범위하게 활용될 수 있다.
    둘째 본 연구 과제는 한국사상 관료제 운영시스템에 대한 이해가 가능하게 할 것이다. 관서별 관직의 재임자 및 재임 시기, 관직별 인사 실태, 개인별 관직 이동 경로, 겸직 및 실직과 허직의 실상, 동일 시기 관서별 인적 구성 현황, 국가의 관인 운용 원칙과 실제 등은 관료제 운영시스템의 내용과 성격을 살필 수 있는 최적의 자료이기 때문이다. 아울러 한 관인의 관료화 과정은 전통시대의 사회 이동의 추이와 상위 계층을 점유한 지배 세력의 범주를 확인하는데도 유용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본 연구 과제는 한국사 국가 발전 과정 및 정치체제의 성격 규명에 상당한 기여를 할 것이다. 관료제는 당대 정치상황과 밀접한 관련을 맺으며 운영되었다. 특히 관료제의 발달은 국왕 중심의 집권체제의 정비와도 맥락을 같이 한다. 따라서 관료제 운영시스템에 대한 연구는 국가 발전 과정 및 정치제제의 성격 규명을 위한 실증적 연구 방법의 일환이 될 수 있다.
    넷째 본 연구 과제의 결과는 한국학 및 인접 학문 분야의 연구에도 크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국사상 관직, 관인 DB 자료는 한국사뿐만 아니라 사회사, 문학사, 행정학 등의 연구에 기초 자료로 이용될 수 있다. 곧 체계적이며 방대한 자료는 사회적 이동성(social mobility)의 이해를 가능하게 하므로, 사회사 연구의 핵심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문학 작품의 찬자 성분에 대한 명료한 확인이 가능하게 됨에 따라 당시의 문학의식이나 文風 이해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아울러 관료제 운영시스템에 대한 이해를 통해 오늘날 행정시스템의 前史를 이해하는데도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
    학문외적 측면에서, 첫째 최근 정보화가 급속도로 진행되면서, 기술적인 측면과 함께 가상공간에 담을 문화콘텐츠의 확대가 현안으로 대두되고 있다. 민속신앙이나 전통문화 등에 대한 콘텐츠 개발이 확대되고 있는 즈음에, 본 과제의 결과물은 보다 더 풍부한 상상력을 가미하기 위한 소스로 충분히 활용될 수 있다.
    둘째 문화콘텐츠의 확대는 비단 가상공간에 그치지 않고 체계적인 인물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특정 역사적 인물을 주인공으로 제작되는 영화나 방송, 게임의 시나리오 구성에 활용될 수 있다. 아울러 현재 漢字文化圈 내에서 활발하게 진행되는 DB 구축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앞서 언급하였듯이 지금 단계에서 제공하는 정보의 경우 대단히 제한적이다. 이에 비해 본 과제는 正史 자료의 DB 구축이라는 방대한 작업을 구상하고 있다. 따라서 연구 수행을 통해서 산출되는 결과물은 각 지방단체에서는 해당 지역의 人物史를 보완하는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넷째 한국사 역대 관인 자료는 오늘날 각 門中 인물사를 보완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현재 각 문중에서는 爲先事業을 다양하게 진행하고 있는데, 본 자료의 구축을 통해서 이에 대한 체계적인 정보의 제공이 가능할 것이다.
  • 연구요약
  • 본 연구 과제는 한국 역사상 관직․관인 DB의 구축을 목표로 한다. 시기적으로 고조선부터 1910년 대한제국까지를 대상으로 통시대적인 자료의 정리를 통해 관료제 발전의 추이와 시대별 관료제 운영시스템을 규명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주 대상 자료는 각 시대별 正史인 <<三國史記>>,<<高麗史>>,<<朝鮮王朝實錄>>을 위주로 한다. 이들 자료들은 각 시대별 역사 연구의 중심이 되는 1차자료들이다. 이같은 대표성은 본 연구의 수행을 위해 官人의 임명이나 이동 경로 등을 추적하기 위한 기본 자료로 활용되기에 충분하다. 이와 더불어 고대의 경우는 <<三國遺事>>, 고려시대의 경우는 <<高麗史節要>>와 각종 <<문집>>, 조선시대의 경우는 <<承政院日記>>, <<日省錄>>과 <<文集>>의 年譜나 墓道文字를 비롯해 榜目類, 각 관청별 官案 등을 보완 자료로 활용한다.
    본 연구 과제 수행의 대상인 官人은 국왕을 정점으로 한 왕조국가의 관직체제 내에 참여하는 인원을 지칭한다. <<삼국사기>> 등 정사류 자료에서 확인할 수 있는 고대 관인의 대상 인원은 총 2,593명에 달한다. 고려시대 대상 인원은 <<高麗史>>에 수록된 인명의 경우 약 1만 8천명 정도로 추산된다. 이외 기타 자료에서 나오는 수를 합치면 약 2만여 명 정도의 인명이 예상되며, 대부분이 官人이다. 조선시대의 경우는 <<조선왕조실록>>의 인사기록에 올라있는 인원 15만여 명과 방목류의 등재 인원을 합할 때 20만명 정도로 추산된다.
    이같은 각 시대별 추출 인원을 대상으로 관직, 관인DB 구축을 위해 먼저 적합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인명과 관직명 등 기본 데이터를 입력하여 DB구축의 기초자료를 확보한다. 입력된 자료는 1차 검수를 거쳐 교정, 보완하고, 이것을 DB 시스템에 탑재하여 운용한다.
    입력 작업은 본 과제에 참여하는 학부생을 활용하여 진행하고, 대학원생은 1차 검수를 담당한다. 이렇게 확보된 자료는 연구전임인력과 공동연구원에 의한 검수 과정을 거쳐 완성한다. 아울러 작업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은 연구참여자 전체가 참석하는 워크?事? 통해 해결하고자 한다.
    한국사상에 걸친 관직, 관인DB 구축 작업은 22만여 명의 관직 이동 과정을 추출하여 정리하는 방대한 작업이다. 때문에 이 작업은 다년간에 걸쳐 공동작업으로 진행될 수밖에 없다. 한국사상의 관직, 관인DB의 구축이라는 최종 목표에 다가가기 위해 수립한 3년간에 걸친 작업계획은 아래와 같다.
    1차년도는 시대별 기본자료인 <<삼국사기>>, <<고려사>>, <<조선왕조실록>>을 대상으로 자료를 추출하여 입력하고자 한다. 입력된 자료는 교정과 검수 단계를 거쳐 결과물로 각 시대 관서별, 관직별 관인 DB를 집대성한 자료집을 발간한다.
    2차년도에는 고대와 고려시대의 경우 금석문, <<고려사절요>> 등을 대상으로 자료를 입력하고 검수한다. 조선시대의 경우 <<조선왕조실록>>의 관직, 관인 기록에 대한 입력작업을 병행하면서 실록에서 확보한 인사기록의 공백을 <<승정원일기>> 등을 통해 보완한다. 결과물로는 각 시대 인명별 관인 DB자료집을 발간한다.
    3차년도에는 고대의 경우 중국정사류의 자료를 입력하고 검수하며, 고려시대의 경우는 각종 문집류와 고문서를 대상으로 작업을 진행한다. 조선시대는 각종 官案 자료와 문집에 수록된 연보, 묘갈명 등의 자료를 통해 기존에 구축된 관직, 관인DB를 보완한다. 이렇게 하여 한국사상의 관서별, 관직별 관인 DB 자료집과 관료제 운영시스템과 관련된 연구논문을 결과물로 간행할 계획이다.
    본 연구과제의 원활한 수행을 위해 공동연구원, 연구전임인력을 비롯한 연구보조원들은 각자의 연구 역할을 분담하여 수행해 나갈 것이다. 고대사, 고려시대사, 조선시대사에 걸친 각 시대별 전공자를 연구진에 포함시켰고, DB구축에 경험이 풍부한 사회학 전공자, 입력프로그램 구축을 담당할 전산학 전공의 연구보조원도 연구진에 참여시켰다. 또한 방대한 데이터의 입력 작업에 소요되는 인원은 국사학과 소속의 학부생들을 가급적 많이 충당하였다.
    본 연구과제로 구축되는 관직, 관인DB는 인물의 생생한 인사 기록을 축적하여 구체적인 관직 이동 경로를 파악할 수 있게 할 것이다. 동시에 시기별 관서의 인적 구성 실태 및 관직별 역대 관인 명단에 대한 정보 제공을 통해 한국사상의 관료제 운영시스템 연구의 활성화에 기여할 것이다.
  • 한글키워드
  • 삼국유사,고려사,승정원일기,조선왕조실록,고려사절요,관안,고구려,신라,삼국사기,대한제국,조선,고려,관료제,DB 구축,관인,관직,한국사,통일신라,백제,고조선
  • 영문키워드
  • goryosajeolyo,chosunwangjosilrok,bureaucracy,make a database,a register of official names,seungjeongwonilgi,the bureaucracy system,goguryo,official duties,korean history,samkuksagi,daehan empire,chosun,goryo,unified silla,silla,baikje,goryosa,samkukyusa,gochosun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