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metaDataId=4b76f6dc1ed27e39011f1d47e0bb6d22
III-5. 일련정종(日蓮正宗)
이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한일종교의 상호 수용실태에 관한 조사 | 2003 년 인문사회분야지원국내외지역 | 이원범(동서대학교) )의 '연구성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DB구축사업 참여 관련분야 전문가가 추가 입력한 정보입니다.
공동연구원 박승길(대구가톨릭대학교)
조성윤(제주대학교)
남춘모(경북대학교)
황인규(동국대학교)
제작기관 동서대학교
발행일 2006-03-06
전체페이지수 pp. 160 ~ 217 (58pages)
언어 한국어
색인어 한일종교, 종교, 종교수용, 일본종교, 일련정종
  • 주초록(메인언어)
  • 日蓮正宗은 니치렌(日蓮,1222~1282)을 종조로 하는 니치렌(日蓮)의 법화계 교단 가운데 대표적인 교단이다. 니치렌(日蓮)은 이름을 렌초(蓮長), 시호는 릿쇼(立正)大師이다. 그는 치바현(千葉縣)의 어부의 아들로 태어나 12세 때 세이초지(淸澄寺)에서 성장하여 16세에 출가하였다. 그 후 15년간을 카마쿠라(鎌倉)・히에이잔(比叡山) 등지에서 수행에 정진한 후 고향에 돌아와 32세인 1253년에 개종하여 1279년)에 본문계단의 대어본존을 건립하였다. 그는 천재지변으로 사회가 극도로 불안해지자 警世의 글인 『立正安國論』을 저술하여 幕府에 올렸으나 탄압을 받고, 이후 수차례에 걸친 박해를 받고 유람하면서 1253년부터 1282년까지 30년간 포교에 힘썼다. 그 후 미노부산(身延山)에 머물면서 저술에 전념하여 天台法華의 기본경전인 [妙法蓮華經]을 기본경전으로 하는 독자적인 법화계의 불교교단을 창종하였다.
  • 목차
  • 1. 일련정종의 개요
    (1)약사
    (2) 국내 유입
    2. 한국내 토착화 과정
    (1) 한국에서의 정착과정
    (2) 한국에서의 각 분파별 토착화 과정
    3. 국내의 현황
    (1) 조직과 신자 수
    (2) 교단 운영체제
    (3) 교회의 신전 구성과 의식
    (4) 포교활동 및 사회활동
    (5) 교단의 미래계획
    4. 인터뷰 및 설문조사
    (1) 설문조사
    (2) 인터뷰 조사 내용
    5. 관련 수집자료 및 문헌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