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26632&local_id=10048746
수준별 수업이 정의적 발달에 미치는 효과 분석: 개인적 특성과 학교 요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수준별 수업이 정의적 발달에 미치는 효과 분석: 개인적 특성과 학교 요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2011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황여정(명지대학교(서울캠퍼스))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306
선정년도 2011 년
과제진행현황 중단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2년 10월 30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2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수준별 수업으로 대변되는 능력별 집단편성 방법은 학교 조직(school organization) 효과 및 교육과정 측면에서 대단히 중요한 연구주제임에도 불구하고, 그간 국내에서 이에 관해 수행된 연구는 그다지 충분하지 못했다. 더구나 연구 주제도 다소 편중되었던 경향이 있어서, 주로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를 살피는 데 관련 연구가 집중되어 왔다. 또는 사교육비 경감에 발휘하는 효과를 확인하는 데도 많은 관심을 기울였다. 이처럼 인지적 성취나 사교육비와 같은 지표에 부여되었던 관심에 비해, 정의적 성취에 부여되는 관심은 상대적으로 많지 않았다. 그렇지만 학교교육의 목표가 인지적 발달뿐만 아니라 정의적 발달에도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수준별 수업과 같은 교육정책의 효과는 정의적 측면에서도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준별 수업이 정의적 발달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자 수행되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정의적 발달을 반영하는 지표로 교육포부를 설정하였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포부는 개인의 현재와 미래의 행동을 좌우한다. 이러한 견지에서 교육포부는 학생의 교육성취와 미래의 지위획득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동하며, 실제로 오랫동안 교육사회학의 주요한 학문적 연구대상으로 자리매김해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준별 수업이 이 같은 포부 설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패널데이터를 활용하여 양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아울러 연구결과에 대해 보다 심도 있는 논의를 실시하고자, 수준별 수업이 실시되는 현장에 대해 좀 더 생생하게 이해하기위해 교사들과 면담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수행된 연구의 주요 결과를 간략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양적 연구를 통해 수준별 수업이 교육포부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 결과, 여타 조건이 동일한 상황에서 수준별 수업에 참여한 경험은, 상위반에 배치되지 않는다면 대체로 교육포부에 부정적 영향을 발휘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파악되었다. 즉 영어․수학 교과에서 모두 상위반에 배치된 학생들만 수준별 수업을 통한 긍정적 효과를 경험하며, 나머지 집단은 이러한 편익을 누리지 못한다는 것이다. 특히 두 과목에서 모두 하위반에 배치될 경우에는 여타 학생들에 비해 교육포부 형성에 부정적인 효과가 야기될 가능성이 매우 큰 것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현장 교사들과의 면담을 통해 수집한 질적 자료 분석 결과, 수준별 이동수업을 위해 형성된 상반과 중반, 혹은 상반과 하반 사이는 학습분위기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우선 가장 큰 차이는 학생들의 주의집중력이었으며, 하반 학생들은 역할 모델로 삼을 학생들을 쉽게 접할 수 없는 데서도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무엇보다 수준별 수업이 학생에 대한 교사의 기대에 차이를 낳고 경향이 있다는 점에서 각별한 유의를 요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개별 학생의 실력차이가 현저하지 않은 상황에서도, 그 학생이 속한 집단이 해당 학생에게 부여하는 기대에 영향을 미칠 소지가 있다는 것이다. 요컨대 실질적인 실력차이뿐만 아니라, 분반을 통해 학생집단이 범주화되고 그러한 범주화가 학생들에 대한 인식을 지배하는 순환 구조가 작용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 드러난 이 같은 결과는 수준별 수업이 실시될 때 하위반 학생들에게 좀 더 세심한 관심과 배려가 기울여져야 함을 의미한다. 주지하는 것처럼 포부는 추후 성취에 대한 강력한 예측요인이다. 따라서 이 같은 결과는 하위반 학생들은 하위반에 배치되는 것 그 자체로도 교육성취에서 불리한 입장에 처할 뿐만 아니라, 교육포부와 같은 주요한 매개요인을 통해서도 그러한 불이익이 가중되는 이중, 삼중의 불이익을 경험하게 될 것임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향후 정책을 도입하는 정책가들이나 현장에 적용해야 하는 교사들은 하위반 학생들이 수준별 수업과 같은 특정 정책으로 인해 학교 현장에서 소외되는 일이 없도록 각별한 배려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우선 하위반에 배치됨으로써 교육포부가 낮아지는 원인이 무엇인지를 보다 세밀하게 규명할 필요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 수행한 현장 교사들과의 면담은 교사가 학생에게 부여하는 교육적 기대수준이 그 중요한 매개요인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이 같은 연구결과는 교사들이 하위반 학생들에게 낮은 기대수준을 형성하지 않도록 유의하고, 이들이 낙인효과를 경험하지 않도록 배려하는 등 다양하고도 세심한 교육적 노력이 뒤따라야 할 것임을 시사한다. 그래야 수준별 수업으로 인해 기존에 소외되었던 학생들이 학교에서 더 뒤처지고, 그로 인해 교육불평등이 심화되는 악순환의 기제를 완화할 수 있을 것이다.
  • 영문
  •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ability grouping on students’ affective outcomes which is measured by ‘educational aspiration’. For the purpose, this study employed various research methods, not only quantitative analysis methods such a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but also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such as deep interview with teachers. Through the quantitative analysis using representative data from the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KELS), the study indicates that ability grouping is closely related to a student’s educational aspirations. To put it concretely,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ability grouping in both English and math classes have relatively lower aspirations, comparing with students who have no experience of homogeneous grouping. Also, the results show that the effects of ability grouping on educational aspirations vary depending on whether students are assigned to an advanced track or remedial track. Ability grouping is the most beneficial for students placed in the advanced track for both English and math subjects, whereas it was the most harmful for students in a remedial class for both subjects. Furthermore, this study attempted to test the interaction effect of ability grouping and a student’s socio-psychological traits such as ‘competitive tendency’ on educational aspirations. The results indicate that when highly competitive students attend homogeneous grouping, they tend to exhibit lower educational aspirations relative to students who have no experience with grouping practic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bility grouping has negative effects on students’ aspiration unless students are placed in advance-level classes. In other words, students who are placed in advanced classes for both English and math will experience the benefits of this policy, but this result does not hold for other students. Moreover, when students are placed in lower-level classes for both English and math, their educational aspirations are likely to decrease. In addition, extensive research about ability grouping has indicated that lower-level classes progress slowly and that teachers have a tendency to teach relatively easier content to students in lower-level classes, and give lower expectation on them. In such a classroom environment, students come to believe that teachers expect little from them in the way of achievement and thus lose confidence and suffer from diminished aspirations. Also, the fact that the students placed in lower-level classes are more likely to experience negative effects on their aspiration suggests that homogenous grouping actually widens the gap in aspirations and achievement. This, however, should come as no surprise: ability grouping is a policy which, from the outset, segregates low achievers into lower-level classes and, by this very separation, seems to create an environment of diminished expectations. In addition, students’ competitive characteristics as a modera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bility grouping and educational aspirations deserve more attention. Our findings indicate that if competitive students are placed in lower classes for both English and math, their aspirations decrease. That is, students who always want to best others experience a psychologically detrimental effect when placed in lower classes. This result implies that the impact of ability grouping is likely to be more negative in the hyper-competitive South Korean education system. Ability grouping, therefore, seems to have a stronger negative impact on students who are placed in remedial classes within an educational environment that emphasizes staying ahead of others. Policymakers and educators must pay particular attention to students who are in low-level classes so that these students do not fall behind and, eventually, out of the educational system. Further inquiry into the connection between placement in low-level classes and diminished aspirations is also necessary. In addition, researchers and policymakers should seek ways to break the vicious circle in which low achievers are placed in low-level classes, which then leads to lower achievement. As above, such a solution will likely involve ways to remove the stigma of being placed in these low-level classes. In this way, underprivileged groups will have greater educational opportunities within a system that uses ability grouping and, by extension, the prospect of a better lif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수준별 수업으로 대변되는 능력별 집단편성 방법은 학교 조직(school organization) 효과 및 교육과정 측면에서 대단히 중요한 연구주제임에도 불구하고, 그간 국내에서 이에 관해 수행된 연구는 그다지 충분하지 못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헌 연구, 양적 접근, 질적 접근 등 다양한 연구 방법을 적용해 수준별 수업의 효과를 구명해보고자 하였다. 특히 이 과정에서 그간 수행된 연구가 인지적 성취에 집중되었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정의적 측면에 깊은 관심을 기울였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정의적 발달을 반영하는 지표로 볼 수 있는 교육포부를 중심으로, 수준별 수업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아울러 양적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를 좀 더 세밀하게 이해하기 위해, 수준별 수업이 운영되는 실제를 밀착해서 파악하고자 질적 연구도 병행하였다. 지금까지 진행된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와 활용방안을 간략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양적 연구를 통해 수준별 수업이 교육포부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 결과, 여타 조건이 동일한 상황에서 수준별 수업에 참여한 경험은, 상위반에 배치되지 않는다면 대체로 교육포부에 부정적 영향을 발휘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파악되었다. 즉 영어․수학 교과에서 모두 상위반에 배치된 학생들만 수준별 수업을 통한 긍정적 효과를 경험하며, 나머지 집단은 이러한 편익을 누리지 못한다는 것이다. 특히 두 과목에서 모두 하위반에 배치될 경우에는 여타 학생들에 비해 교육포부 형성에 부정적인 효과가 야기될 가능성이 매우 큰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수준별 수업이 교육불평등을 강화 혹은 고정시킬 가능성이 상당히 큰 제도임을 시사한다. 현실에서는 이미 가정배경과 성취수준이 낮은 학생들, 즉 학교에서 소외되기 쉬운 학생들이 주로 하위반에 배치되는 경향이 강한데, 이러한 하위반 배치가 이들의 포부수준을 낮추며, 이처럼 낮은 포부 수준이 다시 성취수준을 저하시킬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낮은 사회경제적 배경과 성취수준을 보유한 것은 그 자체로도 교육포부와 학업성취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데, 수준별 수업을 통해 하위반에 배치됨으로써 그러한 부정적 영향이 다시 가중되는 악순환이 발생하게 될 소지가 있다.
    둘째, 현장 교사들과의 면담을 통해 수집한 질적 자료 분석 결과, 수준별 이동수업을 위해 형성된 상반과 중반, 혹은 상반과 하반 사이는 학습분위기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첫째, 가장 큰 차이는 학생들의 주의집중력이었으며, 하반 학생들은 역할 모델로 삼을 학생들을 쉽게 접할 수 없는 데서도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이 같은 주의집중력의 차이는 교사로 하여금 학생들을 통솔하는 데 상이한 에너지를 쏟게 하고, 그로 인해 학습시간에서 차이를 낳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리하여 주어진 시간은 동일하지만, 상반과 하반에서 실제로 교수·학습에 소요하는 시간은 결코 동일하지 않았다. 셋째, 수준별 수업의 질은 교재 및 수업방법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데, 실제로 현장에서 상반과 하반을 위해 최적화 된 별도의 교재가 제공되지 않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다만 교사들은 상반과 하반에서 다소 다른 수업 방식을 적용하지만, 그 차이가 결정적인 것은 아니었다. 넷째, 수준별 수업의 효과와 수업의 질은 교과목의 특성을 고려하여 논의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특히 수준별 수업을 적용해야 한다면 교과의 위계가 보다 분명한 과목에 우선 적용할 필요가 있으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무엇이 가장 효과적인 교수 방법인가에 대한 진지한 고민이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다섯째, 수준별 수업은 학생에 대한 교사의 기대에 차이를 낳고 있었다. 특히 개별 학생의 실력차이가 현저하지 않은 상황에서도, 그 학생이 속한 집단이 해당 학생에 대한 기대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즉, 실질적인 실력차이뿐만 아니라, 분반을 통해 학생집단이 범주화되고 그러한 범주화가 학생들에 대한 인식을 지배하는 순환 구조가 작용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과제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 학문적․정책적으로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우선, 학문적 측면에서는 그간 기존의 수준별 수업 효과에 관한 연구가 인지적 성취 일변도였던 데 비해 본 연구에서는 정의적 발달에 관심을 기울임으로써 수준별 수업에 관한 연구의 외연을 확대하고, 정의적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를 활성화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단순히 수준별 수업 참여가 정의적 발달에 긍정적 또는 부정적 효과를 발휘하는지를 판별하는 데만 관심을 기울인 것이 아니라, 참여 수준, 참여 양상, 그리고 학생의 심리적 성향의 효과를 함께 고려함으로써, 수준별 수업이 영향을 발휘하는 구체적인 조건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경쟁적 성향과 같은 심리적 조건이 수준별 수업의 효과가 발휘되는 데 의미 있는 조절 변인으로 작용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시도한 이러한 접근 방법은 추후 수준별 수업의 효과를 살피는 데 잇어, 보다 깊이 있고 실제적인 논의가 이루어지는 데도 일조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연구는 정책적․현실적 측면에서도 적지 않은 의의를 지닌다. 무엇보다도 양적 연구를 통해 파악된 수준별 수업이 효과를 발휘하는 제반 조건에 대한 연구결과와 더불어 질적 연구를 통해 수준별 수업에 대한 현장의 운영 실제를 함께 파악함으로써, 추후 수준별 수업을 현장에 적용할 때 유의해야 할 사항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 도출된 내용을 토대로 교육현장의 경쟁적 풍토를 완화하고, 수준별 수업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하위반 학생들에게 불필요한 고정관념이나 편견이 적용되지 않도록 각별히 유의해야 할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 같은 연구결과의 시사점은 현장에 환류되어 수준별 수업 정책이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수준별 수업, 능력별 집단편성, 정의적 성취, 교육포부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