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39796&local_id=10052877
무형문화재 공예 작품의 상품화를 위한 디자인 접근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무형문화재 공예 작품의 상품화를 위한 디자인 접근 연구 | 2012 년 | 임철민(조선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2S1A5B5A07035954
선정년도 2012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4년 01월 23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4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무형문화재는 문화의 핵심적인 요소이자 모든 전통적 형태로서 지역사회로부터 유래된 전통에 기초한 유산들이다. 이러한 무형의 문화재들은 대체로 구전 혹은 실제기술로서 직접 전수된다. 그리고 시대를 거치면서 그 제작과정이 추가되거나 삭제되는 등 변화하는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유형문화재와는 다른 특징을 지닌다. 물론 기본적으로 무형문화의 전승에 가장 큰 의미를 두고 있지만, 부분적으로는 제작자의 개성과 시대적인 특성 및 지역적 특징을 반영하는 경우도 많다. 따라서 무형문화재는 무형 문화의 재현이 최우선이지만 일정 부분 장인의 창의성 역시 매우 중요한 부분으로 강조되고 있다. 따라서 대한민국의 전통문화유산을 대표하는 무형문화재의 창의적인 작품 제작이 필요하며 나아가 대한민국 대표 전통 공예품의 고품격 상품화 접근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무형문화재들 간의 기능의 융합 과 더불어 전문가들과의 유기적 관계형성을 통한 체계적인 디자인 개발 및 방법론의 논의가 무엇보다 시급하다. 본 연구에서는 중요무형문화재 인력의 활성화 방안과 대한민국 대표 전통공예품의 고품격 상품화 일환으로 전승자의 창의적 재능이 보다 효율적으로 발현 될 수 있는 분야라고 판단되는 공예기술 분야 무형문화재의 기능을 연구대상으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대한민국 무형문화재 보유자의 기능을 바탕으로 창의적인 융합 디자인 제안을 연구목적에 두었으며, 해당 작품의 고품격 문화상품화 가능성 접근과 더불어 이의 디자인 방법론 제안에 목표로 두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무형문화재 장인의 기능의 융합 및 디자인 방안 그리고 한국적 요소가 배어 있는 디자인의 이입을 무엇보다 중요하게 다루고자 한다.
  • 영문
  • Intangible cultural assets are not only critical elements of culture, but also a heritage based on the traditions derived from the community as all traditional forms. These assets are generally handed down directly or orally transmitted. And it is different from tangible cultural assets for its alteration with time. Of course the transmission of intangible cultural assets is most significant, but partly, it often reflects the manufacturer’s individuality, periodic,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Therefore, artisan’s creativity is likewise emphasized, as well as intangible cultural assets reproduction should be the top priority.
    Thus, the creative production of intangible cultural asset art works as a representative traditional and cultural heritage of Korea is required, and moreover, high quality commoditization approach to Korean traditional art works is the most critical matter. For that, fusion of intangible asset skills and discussion about systematic design development and methodology through organic relationships with professionals are urgently needed.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intangible asset skills in the area of industrial arts, in which cultural transmitters’ creative talents could be revealed effectively, as the invigoration of main intangible cultural asset force and high class commoditization of Korean representative traditional art work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creative fusion design based on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holders’ skills, and also targeted on high class cultural commoditization capability approach and its design methodology suggestion. This study intends to deal with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artisans’ skill fusion, design method, and transfusion of Korean designs mainly.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디자인의 과정은 모든 예술작품의 주제이다. 주제는 작품의 근본적인 의도나 전체적 의의이며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디자이너의 사상을 작품에 부여하기 위해서는 분명한 주제가 확립되어 있지 않으면 안 된다. 이러한 주요관점 즉, 주제를 살리기 위한 방법 중의 하나가 조형 디자인이다. 디자인에서 가장 먼저 고려되어야 할 아름다움의 요소는 조형이다. 조형이란 원 대상에 대응해서 성립하는 지각 대상이며 디자인 행위는 새로운 조형을 창조하는 행위라고 말할 수 있다. 조형 요소들이 어우러져 외부 디자인 완성되므로 조형 요소들을 통해 제품을 디자인함이 디자이너에게는 중요하다. 본 연구는 전통 공예기술을 기반으로 한 대한민국 대표 문화상품의 접근과 더불어 대한민국 중요무형문화재 기능 보유자 인력의 기술 융합을 통한 고품격 문화상품화 모색으로서, 백동연죽장의 작품을 기반으로 타 기능 보유자의 공예기법들 즉, 칠, 조각기법을 백동연죽 표면에 이입시켜 전통이 결합된 새로운 백동연죽 디자인을 완성시킴과 더불어 대표 문화상품으로의 가치를 확인코자 하였다. 이를 위해 백동연죽장의 작품을 기반으로 문양과 관련한 디자인 적용 즉, 백동연죽, 칠, 조각의 공예기법을 적용을 통해 새로운 작품 디자인 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백동연죽을 기반으로 타 공예기법의 융합부위는 백동연죽에서 대통과 또개비 목도리 토리로 구성된 대꼬바리부와 봉우리, 무추리 토리로 구성된 물부리부 그리고 중앙에 대나무로 구성된 설대부로 서, 세부적 부위는 대통부, 목도리부, 토리부, 무추리부에 적용하였다. 디자인의 문양은 본 연구의 브래인 스토밍법에 선정된 연꽃문양과 당초문양을 적용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백동연죽의 디자인 접근은 크게 대통부와 토리부 그리고 무추리부를 중심으로 타 공예기법을 적용하였으며 대표문양은 본 연구의 브래인 스토밍법을 통해 선정된 연꽃문양과 당초문양을 기반으로 하였다. 시제품 1의 경우, 백동연죽작품의 심장이라고 할 수 있는 대통부에 조각을 적용하여 상품의 가치를 높였으며 토리부는 스지 처리를 통해 전통의 고귀함을 표현하였다. 또한 무추리부는 조각을 생략하여 간결함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시제품 2의 경우, 대통부의 구간을 설정하여 조각을 적용해 간결함과 고귀함을 동시에 표현하여 상품의 가치를 높였으며, 토리부의 경우 기존 원형의 백동연죽 형태를 육각면으로 제작하여 당초문양을 조각하였으며 이를 통해 현대적인 문화상품으로의 접근시도와 더불어 현대적 감각을 부여하고자 노력하였다. 무추리부는 시제품 1과 동일하게 조각을 생략하여 현대적 상품요소인 간결함을 나타내고자 하였다.
    시제품 3의 경우, 옻칠을 목도리부와 무추리부에 적용하여 전통을 강조한 반면, 대통부와 토리부는 스지처리를 하여 현대적 간결함을 강조하여 전통과 현대의 공존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시제품 3의 경우 조각이 생략되어 있어 한편으로 다소 경직된 느낌이 나지만 반면에 전통을 중시하는 외국인의 관점에서는 오히려 보다 강렬한 인상을 남길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현재 전통의 계승과 상품화를 모두 충족하는 실효적 접근과 그에 따른 디자인 방법론의 정립은 매우 미비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통의 계승과 융합 그리고 문화상품화의 이상적 접근을 시도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전통을 고수하는 무형문화재 보유자의 다양한 기능 융합과 동시에 전문가가 참여한 창의적 디자인 방법론 제시하고자 하며 이를 통해 장인 작품의 고품격 문화상품화 여부에 대한 가능성을 제고 및 전통과 상품의 이상적 접점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즉, 무형문화재의 융합 작품을 상품화한 새로운 장르 개척을 통한 디자인 접근과 그 가능성 제고는 디자인 및 공예를 전공하는 학생들에게 교육적인 디자인 방법론 제시와 방향 제안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한국을 대표하는 중요 무형문화재 보유자의 기능의 융합과 디자인 적용을 통한 결과물은 분명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문화상품으로 자리매김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완성은 사회적으로 전통 장인의 기능에 대한 활성화 및 이를 바탕으로 안정적 전통 계승을 담보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더불어 전통 공예품이 소장의 가치와 더불어 문화상품으로서 가치 재탄생이 시급한 상황에서 대한민국 무형문화재 장인 및 장인간의 기능 융합은 학문적·산업적으로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크다고 판단되며 이들의 발전이야말로 한국전통의 고유성, 기능성 및 고품격을 갖춘 세계적 고품격 문화상품으로 도약의 발판을 마련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나아가 전통공예를 기반으로 세계적 상품 브랜드로서의 입지 및 경쟁력을 갖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색인어
  • 무형문화재, 공예, 문화상품, 디자인, 백동연죽,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