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47890&local_id=10074702
에디트 슈타인의 단일-존재로서의 몸철학과 생명형이상학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에디트 슈타인의 단일-존재로서의 몸철학과 생명형이상학 | 2013 년 | 이은영(경인교육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3S1A5B5A07047567
선정년도 2013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5년 02월 17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5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서구 지성사에서 정신주의적 전통을 사유하도록 강요했던 하나의 화두를 꼽자면, 인간의 몸이라 할 수 있는데, 필자는 정신주의적 전통에 치중해 있는 시각을 넘어서 몸에 대한 새로운 철학적 담론의 가능성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그동안 무시되고 간과되어 왔던 몸의 중심성을 회복함으로써 그것이 함축하는 새로운 철학적 논의의 방향성을 제시해야 함을 강조한다. 또한 몸에 대한 새로운 관심과 해명은 단순히 몇몇 특정한 철학적 문제들에 그치지 않고 서양 철학적 전통 전반에 대한 반성적 재검토를 요청한다는 사실을 제안함으로써 몸에 대한 이론을 전개하는데 이 글의 출발점이 있다. 그렇다면 왜 슈타인의 단일-존재로서의 몸철학인가? 슈타인의 단일-존재로서의 몸철학은 한편으로는 인간의 몸에서 물질적 측면을 정신적인 면과 동등하게 인정함으로써 몸의 복권을 이루어 냈다는 점이다. 반면에 다른 한편으로는 몸의 복권을 통하여 등한시될 수 있는 영혼과 정신적인 면을 물질적인 면과 동등하게 인정함으로써 물리적 사태의 총체로 이해하는 데서 발생될 수 있는 생명성에 대한 생명 없는 것의 개념으로 설명하는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필자가 주장하는 슈타인의 단일-존재로서의 몸철학은 한편으로는 몸을 강조함으로써 몸의 복권이라는 긍정적 측면과 함께 다른 한편으로는 그것을 지나치게 강조함으로써 발생할 있는 한계를 생명의 형이상학적 측면을 통하여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제시라고 생각한다. 그렇다면 슈타인의 단일-존재로서의 몸철학과 그 이론을 토대로 한 생명의 형이상학은 현대사회에서 어떠한 의미를 지니는가? 이 문제는 결국 몸의 철학적 담론에서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으로 답변 될 것이다. 그리고 후자인 몸에 대한 철학적 담론의 부정적 측면은 왜 생명 형이상학이 제시되어야만 하는가? 에 대한 이유가 될 것이다. 그것은 질료와 생명 그리고 정신을 총체적으로 논하며, 그 안에서 생성과 차이를 수용하고 생명과 존재 자체의 근원이 내재적으로 함축된 인간 존재의 의미인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생명체로서 인간이 지닌 총체성과 근원적 존재의 의미 자체를 모색함으로써 생명의 감각적 측면과 초월적 측면 그리고 영성적 측면의 생성의 기능을 ‘내재적으로’ 통합할 수 있는 생명 형이상학이 요구 되는 것이다. 그렇다면 오늘날 생명윤리적 문제들은 왜 철학을 필요로 하는가? 라는 물음을 고민하였다. 근래의 생명공학은 복제와 유전공학과 관련된 논제에서 철학자들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생명윤리학자들도 한편으로는 전통적인 생명사상과 생명철학의 담론을 포함시켜야 하며, 다른 한편으로는 철학자들 스스로 현대과학과 문명의 발달에서 인간과 인간 사회에 제기되는 문제들을 고찰한다는 맥락에서 생명윤리의 문제들과 ㅊㄹ학의 융합적 숙고는 더욱 요청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하에 연구자는 인간에 대한 환원주의적 한계와 오류를 극복하고 통합적이고 전체적인 관점에서 인간을 조망할 수 있는 생명형이상학적 이론을 바탕으로 할 때 생명윤리적 난제들의 해결 가능성을 찾을 수 있다고 판단한다. 왜냐하면 생명형이상학의 의미는 인간의 존재를 다만 생물학적 지식에 근거해 이해하려는 근대의 맹목적이며 일면적인 생물학주의를 넘어서 존재론적 사유 지평을 제시하는 과정에서 찾아지기 때문일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슈타인의 단일-존재로서의 몸철학과 생명형이상학을 바탕으로 오늘날 현대사회의 한 시각인 환원주의적 몸 담론을 비판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영혼이 없는 심리학' 내지는 '사유하지 않는 과학'의 일면성을 극복하고 동시에 현대 생명과학에 의해 밝혀진 학적 결과와 지식을 도외시하지 않으면서 그 지식이 지니는 존재론적 의미와 생명의 의미를 총체적으로 해명하는 철학과 생명학을 정립하고자 하였다. 이 과정에서 제시되는 슈타인의 단일-존재로서의 몸철학과 생명형이상학은 하나의 의미있는 패러다임이라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 영문
  • It is safe to say that one of the topics which have caused great speculation on spiritual traditions throughout the history of western philosophy is the human body. The aim of this paper is to go beyond the common perspectives concerned with spiritual traditions to suggest the possibilities of a new philosophical discourse on the human body. This philosophical discussion offers a method of rehabilitating the centrality of a body which has been neglected and overlooked. This paper uses body development theory as its foundation. It suggests that explanations for a body go beyond the basic philosophical questions in order to analyze western philosophical traditions as a whole from a more reflective approach.
    If this is the case, then why focus on Stein's body philosophy as a singular being? Stein's body philosophy as a singular being makes it possible to rehabilitate the human body by equally acknowledging both the physical and the spiritual aspects of the body. Oftentimes the spirit and spiritual aspect are disregarded or neglected. Because of this equal acknowledgement, it is possible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explaining vitality as a lifeless concept, which can occur when understanding vitality as the whole body of physical situations. Therefore, on one hand, Stein's body philosophy as a singular being has the benefit of promoting body rehabilitation by emphasizing the human body. On the other hand, Stein's body philosophy suggests a new paradigm, which through the metaphysics of life, can overcome the limitations which might arise by actually overemphasizing the body. If so, what do Stein's body philosophy as a singular being and the metaphysics of life based on its theory mean in contemporary society? The question will end up being answered both in a positive way and a negative way through philosophical discourses on the human body. The negative viewpoint of philosophical discourses on the human body will be the reason that the metaphysics of life should be considered. The origin of life and existence itself immanently imply the existence of human beings, accepting both formations and differences while discussing substance, life and souls on the whole. That is the reason for questioning the metaphysics of life which can integrate the 'immanent' creative functions of the sensible, transcendental and spiritual aspects of life by trying to figure out the totality and meaning of it as the original cores of human beings as living creatures. The introspection of the vitality enables people to overcome one aspect of 'psychology without souls' or 'science without thinking.' It also allows people to set up a philosophy for the understanding of human beings and the study of life. This implies understanding of the metaphysics of understanding human beings. In other words, that is the understanding of the metaphysics of life. In conclusion, what is necessary for understanding human beings in the right way is not to ignore scientific results and knowledge which are revealed by contemporary life science. Rather, it is necessary to explain the ontological meaning of the knowledge and the meaning of life as a whole. That is why it is safe to say that Stein's body philosophy as a singular being and the metaphysical foundations of life are one and the same meaningful paradigm.
    Today, ethical issues are why the philosophy of life do you need? The question : this letter, questioning the set off. Modern biotech is a philosopher's role in cloning and genetic engineering and other related topics and to emphasize. And of course, also a moral philosopher on the other hand the discussion of traditional life of thought and life philosophy, shall be included on the other hand, philosophers themselves of modern science and civilizationIn human beings and human development issues posed by the society that examining the bioethical issues in the context of philosophy and convergence becomes even more careful in request. In this context, a writer is a reductionist frontier and on human error, integrated and holistic perspective and overcome human life can take a view to the metaphysicalBased on the theory finds it can find a possible resolution of ethical questions when life. Metaphysics is the meaning of human life, because Modern's blind and trying to understand biological knowledge based on the existence of biological front page attention beyond the (Biologism)Because they can be grown in the process that presents a existential reason for the horizon. To this end, the writer Stein of the existence - a single body as a life philosophy and metaphysics of today's modern society on the basis of a reductionist argument about body, the same time criticizing. And ‘The science that does not appropriate’ ‘Psychology who has no soul’ or overcoming of one aspect of modern life sciences at the same time, identified by the academic results and knowledgeWhile not neglecting the existential implications of a knowledge, and the meaning of life as a whole, and attempts to build up a science, philosophy and explaining life. Stein being presented in the process of a single body as the existence philosophy and metaphysics paradigm must be the only meaningful debate is one of lif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오늘날 생명윤리적 문제들은 왜 철학을 필요로 하는가? 라는 물음을 제기하며 본 글을 출발하였다. 근래의 생명공학은 복제와 유전공학과 관련된 논제에서 철학자들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생명윤리학자들도 한편으로는 전통적인 생명사상과 생명철학의 담론을 포함시켜야 하며, 다른 한편으로는 철학자들 스스로 현대과학과 문명의 발달에서 인간과 인간 사회에 제기하는 문제들을 고찰한다는 맥락에서 생명윤리의 문제들과 철학의 융합적 숙고는 더욱 요청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필자는 인간에 대한 환원주의적 한계와 오류를 극복하고 통합적이고 전체적인 관점에서 인간을 조망할 수 있는 생명형이상학적 이론을 바탕으로 할 때 생명윤리적 난제들의 해결 가능성을 찾을 수 있다고 판단한다. 왜냐하면 생명형이상학의 의미는 인간의 존재를 다만 생물학적 지식에 근거해 이해하려는 근대의 맹목적이며 일면적인 생물학주의(biologism)를 넘어서 존재론적 사유 지평을 제시하는 과정에서 찾아지기 때문일 것이다. 이를 위해 필자는 슈타인의 단일-존재로서의 몸철학과 생명형이상학을 바탕으로 오늘날 현대사회의 한 시각인 환원주의적 몸 담론을 비판한다. 그리고 ‘영혼이 없는 심리학’ 내지는 ‘사유하지 않는 과학’의 일면성을 극복하고 동시에 현대 생명과학에 의해 밝혀진 학적 결과와 지식을 도외시하지 않으면서 그 지식이 지니는 존재론적 의미와 생명의 의미를 총체적으로 해명하는 철학과 생명학을 정립하고자 한다. 이 과정에서 제시되는 슈타인의 단일-존재로서의 몸철학과 생명의 형이상학적 논의는 하나의 의미 있는 패러다임 일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연구자는 본 연구의 결과를 얻기 위해 1. 우선 학술발표회는 2014년 10월 10일 18:00 시 가톨릭대 성의교정 성의회관 <가톨릭생명윤리연구소>에서 「해체된 몸 : 몸의 환원주의적 시각 비판」으로 발표회를 가졌다. 이 발표회를 통하여 철학과 생명학을 연구하는 연구자들의 학제간 연구를 시도하면서 동시에 보여지는 몸, 경험되는 몸을 넘어 인간의 몸이 지니는 의미를 되새기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 발표회에서 여러 고견을 듣게 되었으며, 이를 토대로 <한국생명윤리학회> 학회지 『생명윤리』제 15권 제 2호(통권 제 30호) : 37-52쪽, 2014년 12월에 「에디트 슈타인의 단일-존재로서의 몸철학과 생명형이상학을 통한 몸의 환원주의적 시각 비판」이라는 논문을 게재하였다. 2. 연구계획서에서 밝혔던 『세계와 인간』(Welt und Person, Herder 1962)의 「영혼의 성」(“Die Seelenburg”, 39-68쪽)을 번역하였다. 이 글에서 슈타인은 테레시아의 영혼의 성과 자신이 생각하는 영혼의 성(Burg)을 통하여 존재자의 단계 구조에서 인간 존재의 고유성을 도출하고, 우리가 인간(Mensch)이라고 부르는 육체적-생명적-정신적인 형성물의 중심(als der Mitte)으로서 영혼의 특징이 있다는 이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그것은, 다시 말해서 영혼의 정확한 형상을 얻는다는 것은(ein treffendes Bild der Seele zu geben) 불가능하다는 판단 하에, 우리가 의지하고 있는 경험의 토대는 위대한 신비주의가의 기도생활이라는 확신을 갖게 되었다는 내용이다. 이 글을 통하여 연구자는 슈타인의 철학적인간학의 인간관 뿐 아니라 신학적인간학의 인간관을 접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논의는 결국 슈타인의 신비주의적 사상을 엿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첫째, 아직까지 연구의 공백 지대로 남았던, 특히 본 연구자가 중점적으로 연구하고 있는 철학자 에디트 슈타인 이론에 대한 본격적 연구를 촉발하는 국내 학계의 신호탄이 될 것이다. 둘째, 본 연구는 현대사회에서 제기되는 몸에 대한 철학적 담론의 의미를 밝히고 그 속에서 생명형이상학의 필요성을 제시하는 본래의 목적을 충실히 수행함으로써 인문학 연구자들과 생명과학 내지는 생명공학 연구자들 사이에 학제 간 대화의 토대 내지는 융합학문간의 가교 역할이 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인문학과 철학을 연구하는 학자들의 문제의식을 인문학의 경계 밖으로 확장시키는 계기를 마련할 것이고 또한 생명학이나 생명학 전공자들에게는 ‘영혼이 없는 심리학’ 내지는 ‘사유하지 않는 과학’에 대한 보다 근본적인 성찰의 기회와 그들이 인문학과 철학 연구의 필요성을 다시 한 번 인식할 수 있는 지적 자극을 제공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가 현대철학 연구의 다변화 뿐 아니라, 생명공학과 생명학 그리고 생명윤리 연구에도 직, 간접적으로 기여하게 되리라는 점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촉발되는 슈타인의 철학이론들에 대한 구체적 관심이 그녀의 전집을 번역하려는 요구와 수요를 늘리게 될 수 있다고 기대하고 있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물들은 철학 전문 연구자들에게 학술적 기여를 할 뿐 아니라 대학 혹은 대학원의 열의 있는 학생들에게도 인간의 의미와 생명윤리 그리고 인간 존엄성에 대한 심화학습의 훌륭한 참고 문헌이 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대학의 인간학과 현대윤리, 그리고 생명윤리와의 융합학문 담당 교수들은 본 연구의 결과물을 참고문헌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생명공학이나 생명과학, 의과학과 같은 자연과학의 담당교수들과 학생들도 본 연구의 연구 결과물을 참고문헌으로 채택할 수 있을 것이며, 그런 한에서 이들에게 어떤 방식으로든 기여할 것이라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물이 철학의 지평 확장을 마련하는 계기가 될 수 있을 뿐 아니라 더 나아가서는 철학적 신학 내지는 신학과의 연관성, 현대 생명과학이론을 연구하는 철학자들과의 연관성을 마련해 주는 토대가 되리라 판단된다. 그리고 이러한 철학과 신학과의 연결, 그리고 철학과 생명과학과의 연결은 오늘날 학계의 한 흐름인 학제간 연구와 융합복합학문 연구의 토대가 되리라 판단한다.
  • 색인어
  • 에디트 슈타인, 생명형이상학, 단일성, 단일 존재로서의 몸, 생명성, 몸의 복권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