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과거의 자연과 사회 환경변화가 개인과 사회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를 분석하고 이와 함께 미래의 기후 변화에 대한 과학적 예측을 통해 현재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올바른 대처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목표는 이러한 기후변화의 시 ...
본 연구는 과거의 자연과 사회 환경변화가 개인과 사회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를 분석하고 이와 함께 미래의 기후 변화에 대한 과학적 예측을 통해 현재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올바른 대처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목표는 이러한 기후변화의 시점에 국가의 정책이 한 방향으로만 치중하여 적절한 대안정책도 마련하지 못하는 상황을 피하고자 한다. 즉 예상과 다른 방향으로의 기후변화로 인한 사회적 위험을 피하고 지구가 온난화 되든 한랭화 되든 과학적으로 올바른 기후변화 방향을 예견하고 각 경우에 합당한 대응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지난 2,000년간의 역사 기록을 통해 기후 온난기 및 한랭기를 각 시기별, 지역별로 고찰하는 것은 이런 점에서 우리에게 제시하는 바가 클 것이다.
연구요약
2001년 IPCC는 메사추세스 대학 이학박사인 마이클 만 박사가 1998년 내세운 ‘하키스틱’ 그래프 를 통해 지구 온난화가 가속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이 그래프는 과거의 많은 온난기와 한랭기 사실들을 삭제한 일방적인 그래프였다. 실제로 기원전 750년부터 기원전 ...
2001년 IPCC는 메사추세스 대학 이학박사인 마이클 만 박사가 1998년 내세운 ‘하키스틱’ 그래프 를 통해 지구 온난화가 가속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이 그래프는 과거의 많은 온난기와 한랭기 사실들을 삭제한 일방적인 그래프였다. 실제로 기원전 750년부터 기원전 200년경에는 한랭기, 기원전 200년경부터 기원후 600년까지는 로마 온난기, 500년대에서 8세기까지의 한랭기, 중세시대의 온난기, 1300년대부터 1850년대까지의 소빙하기가 있었다는 역사적 사실이 모두 누락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팀은 각 지역별 시대별로 자연환경과 사회변화의 역사적 기록을 체계적으로 정리할 것이다. 지구 온난화 현상은 경제적으로 매우 막대한 영향을 끼칠 수 있기 때문에 정치적으로 독립된 문제는 아니다. 따라서 경제적으로도 이득과 손해를 보는 영향력 있는 그룹들이 산업계 전반에서 서로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연구와 결과들을 내 놓고 있다. 또한 탄소세와 탄소배출권 거래제를 두고 실질적인 지구온난화 방지와 상관없이 정치적, 경제적 목적을 위해 과학적 판단을 넘어서는 문제가 될 수도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팀은 태양과 지구 고층대기를 연구하는 과학자들과 동서양의 역사를 연구하는 사학자들 그리고 정책을 연구하는 경제학자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인적 구성은 현 기후변화에 대한 예측과 정책이 지구온난화 한 방향에만 맞추어져 있는 상황에서 벗어나 다양한 접근방식을 취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이를 통해 현재 자연과 사회 환경의 변화를 바르게 예측하고 그에 합당한 대처방안을 찾아내고자 한다. 역사학자들을 중심으로 기후사적 변화를 분석하고 과학자들이 관련 자연환경 변화상황을 이론화하며, 그 지식을 바탕으로 미래의 경제 정책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야말로 인문학과 자연과학 간 융합연구의 대표적 사례가 될 것이다.
기후 온난화 문제는 이산화탄소에 의한 온실효과라는 가설에 근거를 두면서 가까운 미래에 전 세계 국가들의 정치와 경제 체제를 결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이 가설에 대한 검증을 위해 (1)현재 온도가 IPCC가 예상한대로 증가하고 있는가 (2)현재 온도가 ...
기후 온난화 문제는 이산화탄소에 의한 온실효과라는 가설에 근거를 두면서 가까운 미래에 전 세계 국가들의 정치와 경제 체제를 결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이 가설에 대한 검증을 위해 (1)현재 온도가 IPCC가 예상한대로 증가하고 있는가 (2)현재 온도가 역사적인 기록에 비추어 보았을 때 과거의 온도 변화 영역을 넘어선 전무한 사건인가 (3)지구 온난화들 둘러싼 플랜 B를 어떻게 구상해야 하는가를 연구했다. 구체적으로 과학 연구팀은 이산화탄소 온실효과 보다 도시화 열섬 효과에 초점을 맞추었다. 도시화가 심하게 진행된 서울 관측소(광화문)의 연평균 온도는 지난 100여 년 동안 3도 가까이 증가한 것에 비해 시골지역인 추풍령은 지난 60년 동안 매우 미미한 온도 증가만을 보인다. 이를 자연적인 온도 증가분은 최대가 추풍령의 온도증가분 수준이고 그 외의 지역별 온도 증가분은 도시화 열섬 효과로 해석하는 것은 합리적이다. 실제 연구에서 연평균 온도변화가 시골 지역에서는 크게 오르지 않은 반면, 도시 지역에서는 극심하게 올랐음을 확인했다. 또한 전지구 평균온도가 1998년 이후 추가 상승 하지 않고 있다는 점과 한반도의 경우 많은 온도 상승이 지역별 도시화 열섬 효과에 의한 것이라는 점도 확인했다. 그리고 최근 4년간의 유럽과 북미의 혹독한 겨울 추위 때문에 이산화탄소 온실효과로 인한 온난화 가설이 신뢰성을 잃어가고 있으며 열악한 국제 경제상황으로 인해 교토의정서가 갱신되지 않을 가능성에 대해서도 조사했다. 역사 연구팀은 최근의 연구 성과를 다시 확인했으며 더 나아가 세계의 여러 지역을 통합해서 보아야 한다고 판단했다. 이를 위해 우선 기후사 자료들로 나이테, 포도수확일자, 그리스도승천제, 빙하의 진출과 후퇴, 꽃가루의 중요성을 확인했다. 구체적인 사례 연구를 위해 이탈리아 베두타 화가들의 그림을 사료로 삼아 베네치아의 해수면 상승이 바다의 열팽창보다 토지의 침하에 더 큰 원인이 있음을 증명했다. 마지막으로 소빙기 동안 조선을 살찌웠던 청어가 사라지는 역사적 과정을 살펴보았다. 경제 연구팀은 온난화 대책의 문제점을 지적한 후 우리나라로서는 당분간 현재의 온난화 대책에 소극적으로 대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가설을 세웠다. 환경기술이 현재보다 더욱 발전해야 하는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지만 현재의 준비 상태에서 탄소배출의 급격한 감축과 재생에너지로의 급격한 전환은 산업 활동 위축, 선진국 추격 정체라는 막대한 비용을 치르게 할 위험이 있다. 또한 신재생에너지 사업에 진출하여 보조금을 챙기는 대기업에게 이득을 몰아줄 가능성도 있다. 만약 한랭화 된다면 에너지는 지금보다 더 많이 필요하게 될 것이고 신재생에너지로 그 필요를 충당하기는 불가능하다. 화석에너지의 역할을 급속히 줄이려는 현재의 정책은 재고해야 한다. 동아시아 전체 차원에서는 선진국들이 ‘자발성’을 내세우며 탄소배출을 급격하게 줄일 것을 강요하는 것에 대해 비판적인 자세를 견지해야 한다고 판단했다. 아직까지 산업화가 시급하므로 탄소배출을 더 줄일 수는 없다.
영문
The Anthropogenic Global Warming (AGW) hypothesis assuming the greenhouse effect due to CO2 produced by the industrial activities is a very crucial issue since it may determine the directions of international affairs in politics and business on the gl ...
The Anthropogenic Global Warming (AGW) hypothesis assuming the greenhouse effect due to CO2 produced by the industrial activities is a very crucial issue since it may determine the directions of international affairs in politics and business on the globe. Thus, we have to test the AGW hypothesis before following the policies given by leading countries of the US and the EU advocating the AGW hypothesis. Therefore, we studied three aspects of the AGW issue: (1) Is the global temperature still increasing as the IPCC predicted (2) Is the current warming climate really unprecedented in history (3) What should be the Plan B of our society in case of the AGW hypothesis fails in the near future
연구결과보고서
초록
기후 온난화 문제는 이산화탄소에 의한 온실효과라는 가설에 근거를 두면서 가까운 미래에 전 세계 국가들의 정치와 경제 체제를 결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이 가설에 대한 검증을 위해 (1)현재 온도가 IPCC가 예상한대로 증가하고 있는가 (2)현재 온도가 ...
기후 온난화 문제는 이산화탄소에 의한 온실효과라는 가설에 근거를 두면서 가까운 미래에 전 세계 국가들의 정치와 경제 체제를 결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이 가설에 대한 검증을 위해 (1)현재 온도가 IPCC가 예상한대로 증가하고 있는가 (2)현재 온도가 역사적인 기록에 비추어 보았을 때 과거의 온도 변화 영역을 넘어선 전무한 사건인가 (3)지구 온난화들 둘러싼 플랜 B를 어떻게 구상해야 하는가를 연구했다.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과학 연구팀은 이산화탄소 온실효과 보다 도시화 열섬 효과에 초점을 맞추었다. 도시화가 심하게 진행된 서울 관측소(광화문)의 연평균 온도는 지난 100여 년 동안 3도 가까이 증가한 것에 비해 시골지역인 추풍령은 지난 60년 동안 매우 미미한 온도 증가만을 보인다. 이 ...
과학 연구팀은 이산화탄소 온실효과 보다 도시화 열섬 효과에 초점을 맞추었다. 도시화가 심하게 진행된 서울 관측소(광화문)의 연평균 온도는 지난 100여 년 동안 3도 가까이 증가한 것에 비해 시골지역인 추풍령은 지난 60년 동안 매우 미미한 온도 증가만을 보인다. 이를 자연적인 온도 증가분은 최대가 추풍령의 온도증가분 수준이고 그 외의 지역별 온도 증가분은 도시화 열섬 효과로 해석하는 것은 합리적이다. 최근 4년간의 유럽과 북미의 혹독한 겨울 추위 때문에 이산화탄소 온실효과로 인한 온난화 가설이 신뢰성을 잃어가고 있으며 열악한 국제 경제상황으로 인해 교토의정서가 갱신되지 않을 가능성에 대해서도 조사했다. 이런 사회 상황을 고려함으로써 과학 연구팀은 다소 일방적이라 할 수 있는 지구 온난화 가설을 다양한 각도에서 보고자 노력했다.
역사 연구팀은 최근의 연구 성과를 다시 확인했으며 더 나아가 세계의 여러 지역을 통합해서 보아야 한다고 판단했다. 17세기의 소빙기에 몰려 있는 역사 연구를 14세기로 확장했다. 이탈리아 베두타 화가들의 그림을 사료로 삼아 베네치아의 해수면 상승이 바다의 열팽창보다 토지의 침하에 더 큰 원인이 있음을 증명했다. 마지막으로 소빙기 동안 조선을 살찌웠던 청어가 사라지는 역사적 과정을 살펴보았다.
경제 연구팀은 온난화 대책의 문제점을 지적한 후 우리나라로서는 당분간 현재의 온난화 대책에 소극적으로 대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가설을 세웠다. 환경기술이 현재보다 더욱 발전해야 하는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지만 현재의 준비 상태에서 탄소배출의 급격한 감축과 재생에너지로의 급격한 전환은 산업 활동 위축, 선진국 추격 정체라는 막대한 비용을 치르게 할 위험이 있다. 선진국들이 ‘자발성’을 내세우며 탄소배출을 급격하게 줄일 것을 강요하는 것에 대해 비판적인 자세를 견지해야 한다고 판단했다. 우리 나라 입장에서는 아직까지 산업화가 시급하므로 탄소배출을 더 줄일 수는 없으므로 화석에너지의 역할을 급속히 줄이려는 현재의 정책은 재고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