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연구대상
본 연구는 오늘날 화면용 또는 출판용 본문 및 제목으로 활용되는 디지털 네모틀 돋움체를 위한 이탤릭 활자스타일, 즉 산세리프의 오블리크체 개발을 연구의 범위로 한정한다.
이에 국내 대표 글꼴 개발회사에서 개발된 윤디자인연구소의 윤고딕 110 시 ...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오늘날 화면용 또는 출판용 본문 및 제목으로 활용되는 디지털 네모틀 돋움체를 위한 이탤릭 활자스타일, 즉 산세리프의 오블리크체 개발을 연구의 범위로 한정한다.
이에 국내 대표 글꼴 개발회사에서 개발된 윤디자인연구소의 윤고딕 110 시리즈(110, 120, 130, 140, 150, 160)를 본 연구의 실험 대상 글꼴로 선정한다.
비교 분석대상 서구 알파벳 활자체로는 라이노타입사에서 개발된 유니버스, 프루티거, 헬베티카 활자가족의 오블리크체로 한정한다.
선정된 대표 한글과 라틴 알파벳은 디지털 시대에서 요구되는 글자꼴의 전제조건, 즉 발전된 디지털 기술에 의한 제작 방법과 함께 화면상에서 단순한 줄기의 높은 가독성현상으로 보다 쉽고 빠른 정보 전달을 충족한다. 특히 윤고딕 활자가족의 경우 획의 굵기에 있어서 유니버스 패밀리와 같이 숫자 체계를 통해 개발된 활자가족으로 본 연구 대상 활자체로 의미가 크다.
제시한 한글 및 라틴 알파벳 실험 분석 대상 선정 대표 글꼴회사 및 활자가족 선정기준은 다음과 같다.
한글은, 80년대 이후 초창기부터 글자꼴 개발에 참여하여 오늘날 활발한 개발과 활용을 보인 개발사의 디지털 돋움체로 이미 선행연구 <한글 디지털 돋움체 조형요소의 변화와 타이포그래피 특징에 관한 연구>의 실험과 분석을 통해 보기 좋은 한글 타이포그래피 구현 가능성이 제시된 글자꼴이다.
라틴 알파벳은, 사진식자시대로부터 디지털시대에 이르기까지 세계 대표 활자개발사의 활자가족으로 최초 오블리크체를 구성한 유니버스체를 비롯, 가장 대표적인 산세리프 활자체들이다.
2) 연구 방법
본 연구의 방법으로는 먼저 한글 활자가족 및 이탤릭 활자체의 기초배경으로서 서구 알파벳의 활자가족의 역사와 그 사례를 통해 이탤릭체의 기원과 오블리크 활자스타일의 특징을 파악한다. 이어 한글의 구조 및 조형적 특성의 고찰아래 대표 선정 한글 디지털 돋움체 활자가족을 실험재료로 사용하여 기술적으로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유도된 한글 돋움체의 기초조형요소, 즉 줄기, 자음과 모음에서의 기울기의 변형을 통한 획의 굵기와 활자 공간 비례, 시각보정 부분 등을 실험 분석 검토한다. 특히 일반적으로 소프트웨어를 통한 기계적인 방식에 의한 기울기(12도)의 이탤릭체 생성은 라틴 알파벳의 특성을 고려한 기울기로 한글에 적용했을 때 타당한 글자 왜곡 형태인지 분석과 함께 문제점을 파악한다. 또한 가독성과 판독성의 관련아래 기울기의 변형을 통한 글자의 구성, 글자사이, 글줄사이, 낱말사이 등 주요 타이포그래피의 변화 특징을 분석한다.
아울러 오블리크 스타일로서의 완성도가 충분한지 대표 라틴 알파벳과의 혼합조판을 통해 다양한 측면에서 비교 분석을 이룬다. 분석 검토된 기준을 바탕으로 실험제작과 함께 타이포그래피 표현에서 강조와 대조의 적절한 활용가능성을 제시한다.
한글 돋움체 오블리크체 실험제작에 있어서는 완성형 한글 2,350자 중에서 사용 빈도수가 가장 많은 글자 100자를 기본으로 우선 선정하여 디자인의 기본 실험을 유도한다. 사용 활자개발 프로그램으로는 폰토그라퍼 Fontographer, 폰트랩(스튜디오) FontLab(Studio), 폰트 크리에이터 Font Creator, 아도브 일러스트 Adobe Illustrator, 인디자인 InDesign 등의 개발 전용 툴 또는 활자 기울기의 변화가 기술적으로 가능한 프로그램을 활용한다.
3) 연구의 구성
본 연구의 구성은 먼저 서론으로 연구의 필요성과 문제제기가 논의되고 이어 본 연구의 목적이 서술된다. 제 2장에서는 활자체의 용어 정리와 함께 서구 알파벳 활자가족의 역사적 기원과 함께 이탤릭체의 변천과정을 고찰한다. 이와 함께 스크립트 특성의 이탤릭 스타일과 산세리프의 오블리크 스타일에서 기울기 및 획의 굵기와 활자 공간의 비례 등 그 특징을 파악한다.
제 3장에서는 스위스의 그래픽 디자인 스타일의 대표 산세리프체인 유니버스, 프루티거, 헬베티카 활자가족의 오블리크 활자스타일의 사례 분석을 통해 이탤릭 스타일로서의 라틴 알파벳의 기울기 기준과 그 체계적 특징 등을 고찰 분석한다.
제 4장에서는 한글의 구조 및 조형적 특성 고찰아래 선정된 한글 디지털 돋움체를 바탕 하여 기울기가 적용된 줄기, 자음과 모음 그리고 글자의 구성을 통한 기초조형요소의 변화와 타이포그래피 특징을 실험 분석한다. 필요한 최소의 단어에서부터 문장을 통한 한글 조판, 그리고 한글과 라틴 알파벳의 혼합조판을 통한 테스트 실험 비교를 통해 야기되는 문제점과 함께 분석 검토된 데이터를 요약 정리한다.
제 5장에서는 기울기와 형태 변형을 통한 이탤릭 활자스타일로서 한글 오블리크체의 실험작업 제시와 실험 분석을 통한 데이터의 기준 및 체계적인 요약, 그리고 제언으로 결론을 맺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