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패션 점포내 고객 체험 극대화를 위한 위치·상황기반 맞춤형 쇼핑 추천시스템 개발 및 적용 연구
Maximizing customer shopping experience in fashion retail store through location and context-based recommendation system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학제간융합연구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2S1A5B6034159
선정년도 2012 년
연구기간 1 년 (2012년 09월 01일 ~ 2013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이현화
연구수행기관 인하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안대천(인하대학교)
조영민(인하대학교)
문희강(배재대학교)
김유성(인하대학교)
박대영(인하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LBS와 제품추천시스템을 통합하여 패션점포에 적합한 위치·상황 기반 맞춤형 쇼핑추천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현재 다양한 상품 카테고리와 점포를 대상으로 제품추천서비스가 개발되고 있으며, RFID와 LBS 기술이나 다양한 데이터 마이닝 기법을 통해 보다 소비자 선호에 근접한 제품추천을 하고자 하는 노력이 있어왔다. 그러나, 현재 개발된 제품추천 서비스는 패션제품과 패션점포에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다음과 같은 점을 개선하여 오프라인 대형 패션점포에 적합한 맞춤형 쇼핑추천 서비스를 개발하고자 한다.
    첫째, 패션상품은 소비자의 다양한 구매욕구가 존재하고 타 상품과 비교하여 다양한 상품구색이 필요하며 상품수명주기 및 상품 회전율이 매우 빠르다는 특징으로 인해 추천시스템의 적용이 미비해왔다. 따라서, 본 연구는 패션상품의 이미지 유형분류와 소비자의 패션상품 구매 추구혜택 등의 개념을 도입하여 패션상품 구매상황에 적합한 소비자 선호추정방법(preference estimation)과 선호상품매칭기법(matching the preference with the product items)을 도출하여 상품추천시스템 개발에 적용하고자 한다.
    둘째, 실시간 상품정보제공을 위해 소비자용 상품추천 애플리케이션 개발과 매장관리형 앱의 개발을 동시에 진행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쇼핑서비스를 향상시키는 동시에 매장에서의 상품관리, 상품교육, 재고관리 등의 점포 관리 측면의 개선효과 또한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본 연구는 대형 패션 매장에서 소비자 맞춤형 추천 서비스를 실현하기 위해 필수적인 정확한 실내 측위 기술을 개발하고자 한다. 기본적으로 대형 쇼핑 센터내에 설치된 다양한 전자 제품을 제어하기 위해 UWB(ultra wideband) 무선 기술을 활용하는 상황을 가정하고 실내에 설치된 UWB beacon의 신호 세기와 스마트폰에 장착된 멀티 센서들을 활용하여 소비자의 실내 위치를 정확하게 측위하는 기술을 개발하여 실제 앱 개발에 활용할 계획이다.
    넷째, 기존의 추천 시스템이 대략적인 장소 기반의 실시간 추천 정보를 제공하는 수준이었다면,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맞춤형 제품추천서비스는 패션 리테일러의 고객정보 분석에 근거한 개인화된 제품추천서비스에 고객의 쇼핑상황(context)을 실시간으로 반영한 제품추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장소와 상황의 실시간 맞춤형 서비스를 추구하고자 한다. 구매상황에 대한 판단은 모바일 기기를 활용한 실시간 상호작용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최신의 트렌드를 제안하는 패션점포에서 최신의 테크놀로지와의 결합을 통해 실시간 정보와 상황을 반영한 상품추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며, 이를 통해 점포 내 체험의 고객화를 추구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모바일 실시간 상품추천 시스템의 인터페이스를 기능적, 감성적 측면의 사용성을 평가하고 인터페이스의 사용성 평가가 전반적인 쇼핑체험과 관련하여 상품추천서비스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한다. 이를 통해 IT 사용으로 인해 소비자가 느낄 수 있는 불편함을 최소화하고 보다 사용 가능성이 높은 패션쇼핑정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개발, 적용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본 연구는 패션 소비자의 다양한 구매패턴과 심리유형, 상품이미지 분류기준을 포괄적으로 반영한 패션상품에 특화된 상품추천정보 시스템을 개발하고, 모바일 기기와 위치기반서비스 (location-based service) 기술을 통해 패션점포 내 정보제공의 상황관련성과 상호 작용성을 향상시킴으로써 보다 개인화된 맞춤화 쇼핑정보제공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기대효과로는 아래의 학문적, 산업적, 연구참여 인력의 양성, 새싹사업으로의 연계가능성의 측면을 예상한다.
    (1) 학문적 측면: 첫째, 본 연구는 IT와 패션의 융합의 범위를 확대시키고 그 효과를 체험마케팅 이론을 도입하여 실증적으로 규명할수 있으며, IT와 패션산업에서의 서비스 융합을 통해 유통환경에서 4E (Education, Entertainment, Esthetic Escapist)를 향상시킬수 있다고 본다. 기존의 IT와 패션산업의 융합이 대부분 기술적이거나 기능적인 측면만의 융합인 반면, 본 연구는 소비자 체험에서의 기능적인 면과 감성적인 면, 소비자의 교육적인 측면까지도 포함하여 보다 넓은 의미에서의 체험마케팅을 실증적으로 규명할수 있다고 본다.
    둘째, 본 연구는 패션상품에 적합한 쇼핑추천 서비스를 제안하고 이를 위해 기반요인으로 소비자 심리유형과 상품이미지, 소비자 구매이력 분석기준으로서의 상품선택기준, 그리고 상황요인 등을 통합적으로 적용함으로써 소비자 유형을 분류할 수 있는 패턴을 발견, 제시하고, 실증적으로 검증할수 있다.
    (2) 산업적인 측면: 첫째, 패션 유통업체의 관점에서 소비자에게 서비스의 맞춤화를 구현할 수 있는 실시간 맞춤형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쇼핑추천서비스를 통해서 소비자 니즈 및 반응의 실시간 feedback 반영이 가능하므로 소비자에게 실시간 맞춤형 정보제공이 가능해졌으며, 이를 통해 소비자의 점포 내 쇼핑경험의 고객화가 가능해짐으로써 쇼핑경험의 극대화를 추구하고자 한다.
    둘째, 점포 관리운영의 관점에서도 매장용 애플리케이션 활용을 통해 재고관리, 상품찾기 등의 업무지원이 가능해짐으로써 매장내에서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매장내 판매인력에게는 근무환경개선, 상품교육 등의 기회를 제공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와 후속 새싹형 연구를 통해서 앱 홍보 및 사용전략, 지속적인 관리 및 개발 시스템을 유통업체에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향후 새싹형 연구를 통해서는 다양한 패션 브랜드들로 그 적용범위를 넓혀 다양한 패션 브랜드들과 그들의 표적 소비자들에게 적합한 맞춤형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자 한다. 궁극적으로는 유통업, 패션, IT를 접목하여 패션 유통산업의 서비스 고객화를 극대화함으로써 새로운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을 것이다.
    (3) 연구참여 인력의 양성: 본 연구는 다양한 전공의 교수들이 공동연구원으로 참여하는 융합연구로서 인문사회, 예체능, IT 공대에서의 대학원생, 학부생들에게 학제간 융합연구의 구체적인 사례를 보여줄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 연구보조원으로 참여하는 대학원생, 학부생들은 차세대의 주역으로서 미래에는 보다 활발히 이루어질 타분야와의 교류 및 상호적이며 상승적인 결합을 통해 학문적으로 산업적으로 다양한 가능성의 기회를 여는 기회가 될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의류학, 교육학, 데이터 마이닝, 무선통신 시스템학, 시각디자인학 등의 전공 학생들에게 본 프로젝트를 통한 융합연구의 기회를 제공한다는 것이다.
    (4) 새싹사업으로의 연계가능성: 씨앗형 사업에서 개발된 추천시스템의 정보와 내용을 바탕으로 새싹사업에서는 다양한 리테일러와 다양한 소비자군를 대상으로 한 실시간 맞춤형 추천 시스템을 개발하고 적용할수있다고 본다. 또한 개발된 앱의 비즈니스 모델 구축 가능성을 확인하고 브랜드 및 유통업체를 대상으로 앱 홍보방안 (사용전략) 제공, 브랜드 맞춤형 앱 제공 등의 서비스 제공을 통해 지속적인 관리시스템을 도입하고자 한다.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오프라인 패션점포 내에서 소비자의 실시간 위치정보와 구매상황, 과거 구매이력과 심리유형을 반영한 개인화된 쇼핑추천정보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소비자의 점포 내 체험을 극대화시키고 궁극적으로 전반적인 쇼핑가치와 상품가치를 향상시키고자 한다. 이와 같은 패션 유통산업에서의 IT와 패션의 융합을 통해 글로벌 마켓에 노출된 패션산업의 서비스 경쟁력이 강화될 수 있을 것이며, 제품개발을 통한 고부가가치 창출과 더불어 서비스에서의 고부가가치창출을 이룰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학문적으로는 체험경제 개념과 고객화 개념을 융합하여 소비자의 패션점포 내 체험 고객화 (experience customization) 개념을 제시하고자 한다.
    (1) 시범 시스템 사전 수요도 조사
    소비자 대상 수요도 조사와 유통업체 대상 수요도 조사를 통해 리테일러를 선정한다.
    (2) 소비자 선호추정과 선호상품 매칭: 소비자 심리유형과 상품이미지 분석
    ● 기존의 추천시스템을 사용하는 패션 업체 분석한다.
    ● 소비자 선호 추정 (preference estimation)과 선호상품매칭 (matching the preference with product items)을 기반으로 한 패션상품 추천시스템 분석의 틀을 개발한다.
    ● 패션기업의 상품기획에 기반한 상품 유형(이미지)군 규명 및 소비자의 구매이력에 따른 이미지군 개발한다.
    ● 소비자의 추구혜택을 심리유형으로 선정하여 진행하며 연구진행중 선정된 유통업체에 맞는 소비자의 심리유형과 구매 이력과의 연관성을 분석한다.
    ● 선정된 유통업체의 고객 대상으로 상품평가기준 분석, 다양한 소비자의 심리적 유형에 따른 소비자군의 재편성한다. 소비자의 과거구매이력 분석 기준으로서의 패션상품 선택기준을 규명한다.
    (3) 소비자 구매상황을 반영한 시범 시스템 개발 및 구축
    - 소비자 구매상황의 반영한 위치기반 사용자 맞춤형 쇼핑 추천 시스템의 안드로이드 앱 개발
    (4) 시범 적용
    -목적: 개발될 위치·상황 기반 사용자 맞춤형 쇼핑 추천 시스템을 선정된 패션 쇼핑센
    터에 적용하여 실용성을 검증함과 동시에 사용자 맞춤형 쇼핑 추천을 위한 기준을 정
    비하도록 한다.
    -대상: 선정된 유통업체의 고객을 대상으로 시범 적용한다.하고 이후 추천 시스템을 평가, 개선한다.
    -분석 내용: 스마트폰 앱의 개발 및 목적은 패션 점포내에서의 4E (Education, Entertainment, Esthetic Escape) 제공 및 증진과 궁극적으로는 쇼핑 환경개선과 쇼핑 상품 및 만족도 향상에 목적을 두고 있다 (shopping product and process). 이에 본 연구는 4E를 본연구의 conceptual framework 로 제안하고 개발된 스마트폰의 앱의 사용이 4E 향상 그리고 궁극적으로는 매장내 쇼핑 만족도를 제고시킬 수 있는지의 여부를 규명한다. 또한 새로이 수집된 사용자별 패션 쇼핑 구매 이력 정보를 활용하여 소비자의 쇼핑 성향 분석에 대한 기준 정비와 제품 유형과의 정량적 평가 방법 그리고 이들간의 연관성 분석을 통한 추천 룰을 정비하도록 한다.
  • 한글키워드
  • 쇼핑 추천시스템, 위치기반, 상황기반, 점포, 소비자 맞춤형, 체험마케팅, 서비스
  • 영문키워드
  • shopping recommendation system, location context based, retail store, experience economy, service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오프라인 패션점포 내에서 소비자의 실시간 위치정보와 구매상황, 과거 구매이력과 심리유형을 반영한 개인화된 쇼핑추천정보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소비자의 점포 내 체험을 극대화시키고 궁극적으로 전반적인 쇼핑가치와 상품가치를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현재 개발된 제품추천 서비스는 패션제품과 패션점포에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타 상품과 비교하여 다양한 상품구색이 필요하며 상품수명주기 및 상품 회전율이 매우 빠르다는 패션상품의 특징을 고려하여 다음과 같은 점을 중점적으로 반영하여 상품추천시스템 개발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1) 패션상품의 이미지 유형분류와 소비자의 패션상품 구매 추구혜택 등의 개념을 도입하여 패션상품 구매상황에 적합한 소비자 선호추정방법과 선호상품매칭기법을 도출하였으며, 2) 패션 리테일러의 고객정보 분석에 근거한 개인화된 제품추천서비스에 고객의 쇼핑상황(context)을 실시간으로 반영한 제품추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장소와 상황의 실시간 맞춤형 서비스를 추구하였다. 또한, 3) 패션 매장에서 소비자 맞춤형 추천 서비스를 실현하기 위해 위치측위 기술을 개발하여 사용자 앱에 적용하며, 4) 모바일 실시간 상품추천 시스템의 인터페이스를 기능적, 감성적 측면의 사용성을 평가하고 인터페이스의 사용성 평가가 전반적인 쇼핑체험과 관련하여 상품추천서비스 평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으로 달성하게 위해 본 연구는 총 8단계로 진행되었다. 제 1단계는 소비자 수요도 조사와 리테일러 선정 단계로, 소비자가 맞춤형 추천시스템이라는 서비스에 대한 지각과 추천서비스가 진행되기 위해 필수적인 소비자의 정보제공의도와 협력의도에 대한 조사를 수행하였으며, 리테일러 대상 인터뷰 결과 패션업체의 소비자의 구매이력과 관련한 데이터베이스 구축현황이 매우 미비함을 파악하고 패션현장에서의 IT사용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한 패션 리테일러의 지원으로 맞춤형 위치-상황모바일 추천서비스 제작을 위해서 지센의 상품과 관련한 데이터를 구축하였다. 제 2단계에서는 소비자의 구매이력 정보구축과 심리 및 선호 유형분석을 위한 이전 시즌의 상품이미지 분석을, 제 3단계에서는 데이터 마이닝 기법을 이용한 소비자 선호패턴 분석을 위한 목적으로 세부 항목별 패턴 분석을 통해 의류 분류 기준을 생성하였다. 이후 제 4단계에서는 3단계에서 분류된 소비자의 선호도와 이미지 연계로 맞춤형 위치-상황추천 모바일 서비스에 적용될 상품이미지 분석이 이루어졌으며, 쇼핑추천 시스템의 시각상징체계를 연구한 제 5단계 인터페이스 및 로고 개발, 6단계 위치추정 시스템 개발을 통해 최종적으로 7단계 모바일 의류 추천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사용자의 구매 성향 조사를 기초로 하여 쇼핑상황을 반영한 추천 의류리스트를 어플리케이션에서 보여주고, 그 의류리스트에서 상품을 선택하면 가격, 색상 종류, 제품 설명, 현재 상품과 관련 있는 코디 상품을 볼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Step 1~ Step 7의 단계를 거쳐 개발된 위치, 상황기반 맞춤형 쇼핑 추천시스템 모바일 앱을 실제 매장에 적용하여 시범 테스트하였으며, 소비자의 패션점포 내 고객체험 평가로 4E 및 쇼핑경험 지각을 평가하였다. 4E의 구성요소인 교육, 흥미, 심미성, 탈피의 부분들이 평가되었으며, 전체적인 쇼핑경험에 대한 평가, 추천된 정보에 대한 소비자 지각 정도, 쇼핑상황에 따른 정보제공, 모바일 앱의 개선방향에 대한 소비자의 반응이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실시간 맞춤 상품추천서비스를 개발하여 패션점포 내에서 그 적용효과를 확인함으로써 서비스 고객화를 구현하고 4E의 개념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패션 유통산업에서의 IT와 패션의 융합을 통해 글로벌 마켓에 노출된 패션산업의 서비스 경쟁력이 강화될 수 있을 것이며, 제품개발을 통한 고부가가치 창출과 더불어 서비스에서의 고부가가치창출을 이룰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였다. 또한 기존의 IT와 패션산업의 융합이 대부분 기술적이거나 기능적인 측면만의 융합인 반면, 본 연구는 IT, 인터페이스의 미적인 측면, 소비자 체험에서의 기능적인 면과 감성적인 면, 소비자의 교육적인 측면까지도 포함하여 보다 넓은 의미에서의 체험마케팅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특히 본 연구의 결과는 의류학, IT 공대, 예술, 경영학의 다학제간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한 융합 연구를 진행하여 학제간 융합연구의 구체적인 사례를 제시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쇼핑추천앱은 점포 내 서비스 인력이 제한적인 대형패션 매장, 다양한 브랜드와 상품이 제공되고 있는 편집샵, 매장내 상품의 보유률이 놓은 SPA 패션브랜드에 적용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며, 따라서 개발된 앱과 추천시스템의 문제점 파악하고 이를 반영하여 개선함으로써 상용화의 가능성을 타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후속연구가 진행 될수 있을 것으로 개다한다. 또한 개발된 앱의 비즈니스 모델 구축 가능성을 확인하고 브랜드 및 유통업체를 대상으로 앱 홍보방안 (사용전략) 제공, 브랜드 맞춤형 앱 제공 등의 서비스 제공을 통해 지속적인 관리시스템을 도입할 수 있을 것이다.
  • 영문

  • The project investigated consumers' perceptions of a location- and context-based mobile recommendation system. The system developed in the present research project incorporated consumer location- with contextual information through mobile devices which were provided with information on product recommendations based on consumer preferences and past purchase patterns. As the most of the recommendation systems developed has limitations to apply fashion product and in-store setting, the project seek to develop the mobile recommendation systems incorporating fashion products.

    There were 8 steps to complete the project. Step 1 was a consumer research and retailer selection. Step 2 was an analysis of fashion product image, step 3 was a consumers' preference through data mining process, step 4 was the 2nd product image analysis, step 5 was a development of mobile application and logo, step 6 was a development of location estimation system, step 7 was a development of mobile fashion product recommendation system, and lastly step 8 was an empirical testing and application of mobile application in-store setting.

    The project extend an application of IT to fashion industry beyond functional and technical synergy, by incorporating aesthetics of mobile interface and affective and functional consumer experiences. The project tested location- and context-based recommendation system in retail store, and empirically investigated the concept of 4E and the service customization in-store. The project was an good example of the convergence research involved with various academic fields, such as fashion, engineering, visual art and communication, and business areas. The principal investigator as well as collaborators of the project actively participated in and communicated with one another in every stages of the project which was also a good example for the students who took part in the project as research assistants. The project engender the potential future research possibility in academia as well as business filed.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오프라인 패션점포 내에서 소비자의 실시간 위치정보와 구매상황, 과거 구매이력과 심리유형을 반영한 개인화된 쇼핑추천정보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소비자의 점포 내 체험을 극대화시키고 궁극적으로 전반적인 쇼핑가치와 상품가치를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다음과 같은 점을 중점적으로 반영하여 상품추천시스템 개발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1) 패션상품의 이미지 유형분류와 소비자의 패션상품 구매 추구혜택 등의 개념을 도입하여 패션상품 구매상황에 적합한 소비자 선호추정방법과 선호상품매칭기법을 도출하였으며, 2) 패션 리테일러의 고객정보 분석에 근거한 개인화된 제품추천서비스에 고객의 쇼핑상황(context)을 실시간으로 반영한 제품추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장소와 상황의 실시간 맞춤형 서비스를 추구하였다. 또한, 3) 패션 매장에서 소비자 맞춤형 추천 서비스를 실현하기 위해 위치측위 기술을 개발하여 사용자 앱에 적용하며, 4) 모바일 실시간 상품추천 시스템의 인터페이스를 기능적, 감성적 측면의 사용성을 평가하고 인터페이스의 사용성 평가가 전반적인 쇼핑체험과 관련하여 상품추천서비스 평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으로 달성하게 위해 본 연구는 총 8단계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실시간 맞춤 상품추천서비스를 개발하여 패션점포 내에서 그 적용효과를 확인함으로써 서비스 고객화를 구현하고 4E의 개념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패션 유통산업에서의 IT와 패션의 융합을 통해 글로벌 마켓에 노출된 패션산업의 서비스 경쟁력이 강화될 수 있을 것이며, 제품개발을 통한 고부가가치 창출과 더불어 서비스에서의 고부가가치창출을 이룰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였다. 또한 기존의 IT와 패션산업의 융합이 대부분 기술적이거나 기능적인 측면만의 융합인 반면, 본 연구는 IT, 인터페이스의 미적인 측면, 소비자 체험에서의 기능적인 면과 감성적인 면, 소비자의 교육적인 측면까지도 포함하여 보다 넓은 의미에서의 체험마케팅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특히 본 연구의 결과는 의류학, IT 공대, 예술, 경영학의 다학제간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한 융합 연구를 진행하여 학제간 융합연구의 구체적인 사례를 제시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씨앗형 연구는 특정 리테일러를 선정하여 시범운영하여 실시간 맞춤형 추천서비스를 적용하였다. 본 연구(씨앗형)사업에서는 패션업계 중 한 종류의 유통업체를 대상으로 실시간 맞춤형 쇼핑정보를 개발하였으나, 가격과 상품구성의 측면에서 다양한 목적과 종류의 유통업체가 존재하므로 각 유통업체에 맞는 적합한 기술개발이 필요하다고 보고 씨앗형 사업에서 개발된 추천시스템의 정보와 내용을 바탕으로 새싹사업에서는 다양한 리테일러와 다양한 소비자군을 대상으로 한 실시간 맞춤형 쇼핑 추천 시스템을 개발하고 적용할수 있다고 판단한다. 특히 다양한 패션브랜드의 적용가능하다고 판단되는데, 점포 내 서비스 인력이 제한적인 대형패션 매장, 다양한 브랜드와 상품이 제공되고 있는 편집샵, 매장내 상품의 보유률이 놓은 SPA 패션브랜드에 적용가능성이 보다 높다고 판단된다.
    이에 새싹사업에서는 보다 많은 소비자를 대상으로 적용함으로써 개발된 앱과 추천시스템의 문제점 파악하고 이를 반영하여 개선함으로써 상용화의 가능성을 타진할 수 있다고 본다. 또한 개발된 앱의 비즈니스 모델 구축 가능성을 확인하고 브랜드 및 유통업체를 대상으로 앱 홍보방안 (사용전략) 제공, 브랜드 맞춤형 앱 제공 등의 서비스 제공을 통해 지속적인 관리시스템을 도입할 수 있다고 본다.
    또한, 스마트폰의 디지털 카메라, 마이크 등과 같은 입력 장치와 사용자의 움직임을 파악할 수 있는 멀티 센서 정보를 활용하여 소비자의 감성을 파악하고 이를 활용한 소비자 감성 맞춤형 추천이 가능하도록 기능을 확장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감성 맟춤형 추천 서비스 개발을 통해 전통적 매장환경은 물론 온라인 환경에서 점포를 구성하는 환경자극에 대한 소비자의 감정반응과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는 데 효과적인 모델인로 알려진 PAD 감정모델 (즐거움:pleasure, 환기:arousal, 지배력:dominance) 등 학문적·산업적으로 유용한 연구를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색인어
  • 위치-상황기반 추천시스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체험마케팅, 패션, 리테일 스토어, 소비자 쇼핑경험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