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세계유산 스마트투어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분석, 협업연구 및 스마트 투어 프레임워크 설계의 도출을 연구목표로 하고 요구분석, 협업연구, 설계, 프로토타입 구현, 평가의 프로세스에 따라 진행된다.
요구분석의 주요 내용으로는 세계유산에 대한 ...
본 연구는 “세계유산 스마트투어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분석, 협업연구 및 스마트 투어 프레임워크 설계의 도출을 연구목표로 하고 요구분석, 협업연구, 설계, 프로토타입 구현, 평가의 프로세스에 따라 진행된다.
요구분석의 주요 내용으로는 세계유산에 대한 역사, 과학, 지리적 측면의 성과를 분석하고 교육적으로 활용가능한 학습주제를 발굴한다. 이와 함께 IT기술 인프라, 플랫폼 구성, 클라이언트 사이드 요구분석을 실행하며, 보다 구체적 성과물 도출을 위해 현장조사, 교사/학생/학부모 인터뷰, 전문가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행한다. 즉, 세계유산의 융합교육의 수행가치와 조건, 상세 요구를 분석하되, IT 전문가들이 역사, 지리, 과학 등 문화유산의 지식 도메인 전문가들과 함께 공동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학습적 내용의 요구 분석과 함께 기술적 요구 명세도 도출하도록 한다.
협업연구의 주요 내용으로는 세계유산의 융합교육주제 발굴, 학습주제별∙활동내용별 최적의 적용가능 정보통신 기술의 현재 기술 수준과 체험학습 현장에서의 활용도 등의 매트릭스를 작성한다.
프레임워크 설계의 주요 내용으로는 사용될 모바일 단말기 사양, 응용 프로그램 개발 환경, 컨텐츠 및 단위기능 등에 대한 전체 틀을 작성하고 세계유산 스마트투어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연차별 계획을 수립한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 전문가 그룹 인터뷰, 교사/학생/학부모 인터뷰, 현장조사, 웹사이트 및 App분석 등의 방법을 활용하여 이루어진다. 문헌 연구의 대상은 출간 도서, 보고서, 논문, 학회지 등을 대상으로 하며, 국내 세계유산에 관련된 문헌, 우리나라 세계유산의 학습주제 발굴과 관련된 문헌, 교수학습방법론 및 사례연구에 대한 문헌, 현장학습에 ICT기술을 적용한 사례 관련 문헌 등으로 구분하여 세계문화유산과 관련된 학습내용과 ICT기술사용 현황을 분석한다.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을 통해 세계유산과 관련하여 학교현장에서 어떠한 학습주제가 다뤄지고 있는가를 추출한다. 전문가 그룹 인터뷰를 통해 세계유산 학습주제를 추가로 추출할 수 있으며 세계유산 현장학습에 적용될 기술적용 방식에 대한 전문가의 견해를 듣는다. 교사, 학생, 학부모는 본 연구에서 목표로 하는 세계유산 스마트투어 프로그램의 실수요자가 될 예정이다. 따라서 수요자 입장에서 본 프로그램에서 구현되기를 원하는 기능 등에 대한 수요분석은 필수적인데 교사에게는 교육과정 및 활동, 학생에게는 학습내용 및 활동에 대한 요구사항, 학부모에게는 현장체험학습에 대한 현실적 요구사항을 수렴할 수 있다. 현장조사를 통해 교육과정 및 각종 문헌 분석을 통해 도출된 주제와 활동이 현장에서 적정하게 이뤄질 수 있는 지 확인하고 IT기술의 융합여부를 확인하고 보완사항을 도출한다. 웹사이트 및 App분석을 통해 현장체험학습 관련 IT기술을 적용한 사례와 민간분야, 관광분야 등에서 개발된 기술의 현황분석 및 교육적 적용가능성을 분석한다. 이와 함께 가상현실(virtual reality), 증강현실(augmented/mixed reality), 텐저블 미디어 (tangible media) 등 최신 기술을 이용한 문화 유산 분야 기술 동향과 적용 방안 등을 데모와 사이트 등을 통해 조사 분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