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팀은 연구의 결과물을 학술성과 대중성을 고루 갖춘 편저(edited volume)의 형태로 출간할 예정이다. 이는 국내에서는 첫 번째로 신경과학과 법률의 상호관계를 분석한 의미있는 저서가 될 것이며, 법학자, 사회과학자, 과학기술학자, 뇌과학자 등 학자들과 판사 ...
본 연구팀은 연구의 결과물을 학술성과 대중성을 고루 갖춘 편저(edited volume)의 형태로 출간할 예정이다. 이는 국내에서는 첫 번째로 신경과학과 법률의 상호관계를 분석한 의미있는 저서가 될 것이며, 법학자, 사회과학자, 과학기술학자, 뇌과학자 등 학자들과 판사, 검사, 변호사, 교정기관 등 형사사법 관련 실무가 및 국회의원 기타 입법관련자와 같은 전문가들은 물론, 자연과학이나 뇌과학에 관심이 있는 일반 대중들 사이에서 폭넓은 독자층을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무엇보다 본 연구는 외국의 연구를 소개하는 단계에 머물지 않고, 우리나라의 실정에 맞는 다양한 논의를 발전시켜서 한국의 법체계에 현실적으로 도움이 되는 결론을 이끌어 낼 것이기 때문에, 위와 같은 독자들을 통하여 이론적으로는 물론 실무적으로도 한국사회의 뇌과학과 사법(司法)의 수준을 한 단계 끌어 올릴 수 있으리라고 기대된다.
본 연구는 또한 교육적으로도 의미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물은 우선 법학전문대학원이나 법과대학에서 법률가를 지망하는 학생들을 위한 교재나 부교재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고, 아울러 과학기술과 사회의 관계를 다루는 교과목, 예컨대 “과학과 사회”와 같은 과목을 위해서도 유용한 교재가 될 수 있다.
본 연구에 합류하는 연구보조원은 법학, 심리학, 과학학을 전공하는 박사과정 학생들로 이루어져있는데, 이들은 본 연구에서 다루는 주제를 박사 논문으로 발전시키며 동시에 연구자들과 함께 본 연구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나타나는 세부 주제에 대한 공동 연구를 수행해서 이에 대한 학술 논문을 출판할 수 있다. 더욱이 이러한 초학제적이고 통합적인 협동 연구를 함께 한 경험은 학문후속세대인 이들이 나중에 젊은 연구자로 성장했을 때 다른 분야와 더 효율적인 소통과 협동을 이루게 할 수 있는 밑거름을 제공한다. 이 연구에 참여하는 연구보조원들은 지식만이 아니라, 태도와 방법을 배우는 소중한 기회를 가질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팀은 연구팀이 수행하는 세미나와 발표회 등을 학내에 공개해서, 관심있는 분야의 학자들이나 대학원생의 참여를 유도하고, 본 연구팀에 포함되지는 못했지만 이 주제에 관심이 있을만한 서울대 교수들의 명단을 작성해서 이들에게 연구팀의 세미나 일정과 발표회 등에 대해서 공지를 하고 전자메일로 초청장을 보낼 계획이다. 또한, 본 연구팀은 블로그를 제작해서 ‘뇌-마음-법 연구’에 대한 뉴스와 학술행사에 대한 정보 등을 업데이트(update)하고, 연구 팀에서 이루어진 다양한 논의도 정리해서 소개할 계획이다. 연구자들은 연구의 전문성, 융합성, 그리고 개방성이 모순된다고 생각하지 않으며, 이번 ‘뇌-마음-법 연구‘에 이 세 가지 성격을 동시에 구현하려고 노력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