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소셜 큐레이션을 활용한 영화기반 창의・인성 증진 교육 콘텐츠 개발 연구
A study on film-based education content development for promoting crearivity and personality using social curation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학제간융합연구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3S1A5B6043837
선정년도 2013 년
연구기간 1 년 (2013년 09월 01일 ~ 2014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윤정진
연구수행기관 동명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이희승(동명대학교)
이준연(동명대학교)
신승수(동명대학교)
김형재(경성대학교)
엄세진(부산디지털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연구목표

    창의성과 인성은 21세기 미래 교육에서 매우 중요한 역량으로 강조되고 있다. 그 일환으로 2010년 교육과학기술부는 ‘창의․인성 교육 기본 방안’을 수립․발표 하였고, 2011년 창의‧인성교육 확산을 최우선 중점 과제로 추진하였다. 2011년 12월 대구의 중학생 자살사건, 2013년 4월 부산의 어린이집 영아 폭행사건 등이 연속적으로 발생하면서 이와 직·간접적으로 관계된 교사의 인성교육이 초미의 사회적 관심사로 부상되었다. 본 과제는 교육적 역량으로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창의․인성을 증진시키고자 학제 간 모든 연구역량을 집중하도록 한다. 선행 연구 분석 결과, 영화 관련 미디어 교육의 단편적인 활용 사례는 있었지만,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대학의 정규 교육 과정 내 창의‧인성 계발 프로그램을 지속적, 장기적으로 개발‧적용한 경우는 부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예비교사 대상으로 소셜 큐레이션이라는 ICT 기술 활용으로 영화 기반의 창의․인성 증진 교육 콘텐츠를 개발하고자 학제 간 융합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정보통신기술 발달과 함께 도래한 지식정보사회는 급변하는 사회에 대처할 수 있는 지식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교육계가 현재 지향점으로 천명하고 있는 ‘창의성과 인성’을 강조하는 패러다임에서 교육 목표와 내용의 변화를 뒷받침 할 수 있는 교육 방법의 선진화가 뒤따라야 하는데 교육 분야에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Social Network Service)와 같은 ICT기술을 적용한 연구가 지속적, 장기적으로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소셜 큐레이션 서비스 제공 사이트를 분석하여 각각의 특성을 파악하고, 교육에 확대 ·적용할 수 있는 큐레이션 서비스 결과를 분석해서 본 연구에서 개발될 교육 콘텐츠에 가장 적합한 큐레이션 프로토 타입을 구현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예비교사들의 창의․인성 증진에 필요한 바람직한 교사교육 모형을 제시하고,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창의· 인성 교수법인 영화기반 교육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학제 간 연구를 위해 본 연구는 일차적으로 반드시 필요한 영화에 대한 인문예술적인 사유기반과 교육적 비전을 모색하고, 예비교사들의 창의․인성 증진교육에 바람직한 교사교육 모형을 구축한 다음, 영화기반 교육 자료를 수집하고 제작하는 큐레이션 과정을 거쳐, 온라인과 오프라인 교육에 최적의 콘텐츠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학제 간 연구는 문화예술과 교육, 정보통신기술의 통섭적(通涉的) 만남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 성과를 창출하게 될 것이다. 첫째, 기존 교수법과는 차별화된 소셜 큐레이션을 통한 정보 교류 및 활용, 접근의 이점을 보장하고, 영화를 활용한 타학문간의 거시적 융합을 통해 창의․인성 교사교육의 새로운 지평을 열 것이다. 둘째, 본 연구를 통해 예비교사들은 영화 속 가상공간에서의 창의적 발상을 넘어 일상생활과 자신의 전공영역으로 확대 적용해서 창의적 문제발견 및 해결 등이 가능한 인성이 뒷받침된 창의적 교사로 성장할 수 있다. 또한 현재 올바른 가치관 형성과 확고한 자아 정체감 확립이 필요한 대학생의 교양 과목으로 확대, 보급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지속적, 장기적인 연구추진이 요구되는데, 연구 1차년도에는 창의․인성에 대한 기본 개념과 구성요인 설정, 창의․인성 증진 교육 콘텐츠 모형 설정, 창의․인성교사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 실태 및 요구도 조사 실시, 영화 선정과 교육 활동을 고안하고, 이들의 교육적 효과를 검증함과 동시에, 소셜 큐레이션 연동을 위한 기초적 환경을 위한 프로토타입을 구축하고자 한다. 1차년도 결과를 바탕으로 2차년도에는 영화의 다양한 장르, 관련 주제 유형별 교육 콘텐츠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엔진 개발 연구 및 소셜 큐레이션 안정화 작업, 표준화된 창의· 인성 증진 수업매뉴얼을 교육 현장에 제공할 것이다. 이러한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3차년도에는 엔진의 유형성 검사 및 영화기반 교육 콘텐츠의 활용을 위해 교육과 게임의 기능을 가미한 새로운 소셜 큐레이션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까지를 최종 목표로 한다.
  • 기대효과
  • 기대효과

    본 연구는 크게 네 가지 측면에서 기대효과를 기술 할 수 있다. 첫째, 교육학분야에 대한 기여다. 영화기반의 창의․인성 교사교육 콘텐츠를 개발하고 영화와 ICT를 교사교육과 연결하는 학술적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특히 유아교육학 분야에서, 국가수준 교육과정인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에서도 핵심 요소로 강조하고 있는 창의․인성 함양을 위한 선행 과제로서 본 연구는 영화를 활용한 창의․인성 교사교육을 통해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인성 자질을 함양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영화에 기반한 온라인과 오프라인이 결합된 블렌디드 러닝(blended learning), 토론 중심 교사교육을 통해 이론 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반성적 사고로 대학생의 창의․인성을 향상시키는 새로운 교육적 패러다임을 제공할 것이다.
    둘째, 인력양성개발 측면에서의 기여다. 본 연구의 결과물로 영화를 활용한 창의․인성 교사교육 콘텐츠가 개발되면 우선적으로 예비유아교사뿐만 아니라 현장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교사연수 수업용 콘텐츠로 활용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교직을 이수하는 교육학과를 포함하여 다양한 분야를 전공하는 대학생들로 확대되어 교사양성단계에서 학부기초과목이나 교양과목의 질을 높일 수 있는 교육 콘텐츠로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학제 간 융합연구측면에서의 기여다. 본 연구는 교육/ICT/영상의 통섭적 연구로, 아직까지 시발점에 놓여 있는 다양한 분야의 교육학적 관점의 접목을 시도하고 있다. 본 연구가 창의․인성 개발 프로그램의 모델을 제시한다는 기본적인 목적에서 촉발된 것으로 ‘교육’이라는 지점에서 합점을 이루지만 교육학뿐 아니라 아동학, 심리학, 사회학, 영화학, 언론학, 멀티미디어공학 등과도 긴밀한 관계를 맺는다. 이는 아동학, 심리학, 교육학의 공통적인 관심 분야에 대한 사례로서의 의의를 가질 수 있으며, 개발과정에 참여하는 영화/인터넷/스마트폰 등의 멀티미디어 활용은 영화학, 미디어 교육, 멀티미디어공학 분야의 실천적인 적용의 지평을 확대할 수 있는 전기가 될 수 있다. 또한 학습자에게 영화라는 매체를 활용해서 온라인과 오프라인 상에서 산출되는 다양한 교육 콘텐츠를 네 가지 방법의 기존 소셜 큐레이션(스크랩, 교수자 추천, 동영상, 토론방) 중에서 가장 적합한 것을 제공하고, 학습자들끼리 공유하게 함으로써 큐레이션의 편리성과 유용성의 체험을 넘어 기존 소셜 큐레이션의 한계점을 인식하여 큐레이션 프로토타입 개발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이러한 소셜 큐레이션 서비스를 통해 그동안 SNS의 특징이었던 친목과 소통을 넘어서 영화 매체 안에서 창의· 인성 증진을 위한 교육 콘텐츠를 구축하고, 공동의 관심사로 서로 정보를 교환하고 토론하며 수집된 정보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러한 방식은 기존의 콘텐츠를 이용하여 새로운 콘텐츠를 재생산할 수 있어서 콘텐츠가 지속적으로 순환되는 ‘콘텐츠 허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문화 파급효과 측면에서의 기여다. 창의․인성 개발은 한국의 교육이 답습해온 주입식, 일방향적인 학습방법의 한계를 드러내는 어두운 그늘이자 이를 극복하기를 희구하는 사회적 욕망이 결집되는 지점이다. 현재도 창의· 인성교육은 공교육과 사교육의 경계선에서 화두를 이루고 다양한 형태로 이슈화 되고 있다. 영상․ICT가 대중화되어 있고 일상을 구성하는 필수적 도구가 된 현대 청소년 에게 영상․ICT의 다양한 디바이스가 중독적인 요소 대신 자기계발에 활용될 수 있는 하나의 모델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사회문화적 의의도 클 것이다. 뿐만 아니라 자기를 표현하고 참여하는 소집단 학습의 형태를 통해 점차 사회적으로 문제시되는 시민으로서의 윤리에 대한 단상과 실천의 장을 경험하게 하는 효과도 유발될 것으로 기대된다.
  • 연구요약
  • 연구요약

    본 연구에서는 예비교사들의 창의․인성을 증진시키고자 소셜 큐레이션을 활용한 다양한 영화기반의 창의․인성 증진 교육 콘텐츠를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와 동시에, 본 연구는 개발된 교육 콘텐츠를 최적으로 교육 현장에 제공해 줄 수 있는 소셜 큐레이션 서비스에 대한 프로토타입을 개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소셜 큐레이션을 활용한 1) 교육 콘텐츠 개발 연구, 2) 교육 콘텐츠 활용의 교육적 효과 연구, 3) 소셜 큐레이션 프로토타입 개발 연구로 요약될 수 있다. 먼저 1) 교육 콘텐츠 개발 연구로 교육 콘텐츠 기본방향 설정(창의·인성 기본개념 정립, 창의·인성 구성요인 설정, 영화 활용 창의·인성 증진 프로그램 모형 구축, 창의·인성 교육프로그램 인식실태 및 요구 조사 실시), 영화선정(영화 선정 평가 기준 설정, 콘텐츠 활용된 영화선정), 교육 콘텐츠 개발(선정된 영화에 근거, 큐레이션 서비스를 형태별로 분류, 각 서비스별로 수업에 적합한 사이트 선정, 사이트별 지원기능 분석, 프로토타입 설계) 순으로 진행하고, 최종적으로 관련 전문가들에게 교육 콘텐츠에 대한 타당성을 구한다. 둘째, 2)교육 콘텐츠의 교육적 효과 연구로 P시에 위치한 K, D대학교의 교직을 이수하고 있는 예비교사 80명을 대상으로 효과검증 실험이 실시될 예정이다. 영화기반 창의․인성 교육 콘텐츠 활동의 효과검증은 2014년 1학기 3월부터 6월까지 16주 전공 수업시간에 적용할 것이다. 창의․인성 증진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2014년 3월 초에 예비교사의 창의성과 인성에 대한 사전검사를 실시할 것이다. 창의․인성 증진 교육 콘텐츠 활동은 온라인과 오프라인 블렌디드 러닝 수업방식으로 16주 실시할 예정이며, 매 수업마다 교수자 가이드라인과 지침서가 제공되며, 현장전문가가 수업을 실시할 예정이다. 16주 영화 기반 교육 콘텐츠 현장적용이 종료되는 2014년 6월 중순에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을 대상으로 사후효과검증를 실시할 것이다.
    셋째, 통상적으로 소셜 큐레이션 서비스는 한 가지 콘텐츠만을 대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데, 본 연구의 3)소셜 큐레이션 프로토타입 개발에서의 플랫폼은 수업에 필요한 여러 콘텐츠 즉, 이미지 큐레이션, 영상공유 큐레이션, 교수자 추천 서비스, 저널형 큐레이션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이를 최적으로 교육현장에 제공해주는 시스템을 학습자에게 제공해주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기존의 소셜 큐레이션 사이트를 분석하고 각각의 특성을 파악해서, 직접 수업에 참여하는 학습자 간의 수업 참여 유형을 파악하고 설계함으로써 창의· 인성을 촉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프로토타입으로 설계되는 진화된 큐레이션을 위한 기술적 절차로는 정보를 효과적으로 수집(search & discover). 필터링(filter & group, 분류(publish & archive), 조직화(share & reuse)하는 일련의 4가지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를 통하여 학습자가 곧 교수자가 될 수 있는 학습자 중심의 새로운 가치 생태계 구축과 창의성과 인성 증진을 위한 교육기반의 큐레이션 서비스가 제공될 것이다. 위와 같은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해 EC2, python, 프레임워크, 실시간 추천기술, 데이터 베이스 기술을 사용하여 카테고리별로 수집된 콘텐츠를 편집하고, 이들을 큐레이션하여 학습자들끼리 공유하도록 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1. 연구개요

    씨앗형 연구인 ‘소셜 큐레이션을 활용한 영화기반 창의·인성 증진 교육 콘텐츠 개발 연구’(2013. 09 - 2014. 08)는 이 시대의 교육적 역량으로 그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창의·인성 증진을 위해 학제간 융합 연구로 수행되었다.
    선행 연구를 분석해 본 결과, 미디어 교육이라는 틀 내에서 영화를 단편적으로 활용한 사례는 있었지만, 대학의 정규 교육과정에서 창의·인성 증진을 위한 교육 콘텐츠에 적용한 경우는 부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창의성과 인성을 고루 갖춘 미래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무엇보다 창의·인성 증진 교육의 기본 틀을 통한 예비교사교육이 선행되어야 함에 주목하였다. 따라서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소셜 큐레이션이라는 ICT 기술을 활용하여 영화에 기반한 창의· 인성 증진 교육 콘텐츠를 개발하고자 하였고, 이를 위해 교육학, 공학, 영상학 분야가 융합된 학제간 연구가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구체적인 연구의 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 교수법과는 차별화된 소셜 큐레이션을 통한 정보 교류 및 활용을 해봄으로써 영화를 활용한 타학문간의 거시적 융합을 통해 창의․인성 교사 교육의 새로운 지평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둘째, 본 연구를 통해 예비교사들은 영화 속 가상공간에서의 창의적 발상을 넘어 일상생활과 자신의 전공영역 내에서 창의적 문제발견 및 해결 등이 가능한 인성을 갖춘 창의적 교사로 성장할 수 있게 하였다. 셋째, 본 연구결과에 기반하여 향후 올바른 가치관 형성과 확고한 자아정체감 확립이 필요한 다양한 전공을 가진 대학생의 교양 과목으로 확대·보급 하고자 한다.

    2. 연구내용 및 성과

    본 연구 수행을 위해 교육, 영상, IT 전문가로 구성된 학제간 융합 연구진이 영화를 기반으로 한 교육모형을 설정하고, 영화의 교육적 요소를 탐색함과 동시에 영화 기반 창의·인성 증진 교육을 위한 소셜 큐레이션 서비스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후 창의·인성 증진의 교육적 효과를 검증하였으며, 큐레이션 서비스의 교육적 활용 가능성에 대해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내용, 범위 및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콘텐츠의 기본 방향을 제시하였다. 둘째, 창의·인성 증진 교육의 구성 요인을 설정하였다. 셋째, 영화매체의 교육 콘텐츠로서의 개발과 인식조사를 실시하였다. 넷째, 창의·인성 증진 교육 콘텐츠 개발을 위한 영화를 선정하였다. 다섯째, 수업적용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여섯째, ‘영화와 창의성’ 수업적용에서의 큐레이션 서비스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 목표에 따른 연구성과로는 논문발표 4건, 학술발표 2건을 비롯하여, 인력양성 실적, 지식확산 성과, 언론활동, 창의·인성 관련 교과목 운영을 통한 수상 실적 등의 다양한 채널로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3. 연구결과 활용계획

    씨앗형 연구에서 유아교육학 분야에 영화기반의 소셜 큐레이션 교육 콘텐츠를 적용하여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인성 증진에 유의한 성과를 확인한 바, 향후 새싹형 연구에서는 교육대상을 다양한 전공의 대학생으로 확대하고 본 모델을 창의·인성 관련 교양교과목에도 적용해보고자 한다. 또한 영화뿐만 아니라 애니메이션, 다큐멘터리, 광고, 웹툰 등의 영상물 활용하여 교육콘텐츠의 범주를 넓히고, 교육에 최적화된 큐레이션 웹 서비스와 스마트폰 서비스를 구축할 계획이다.
  • 영문
  • 1. Research overview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contents to promote creativity and humanity based on social curation-based movies', seed-type research (September 2013 - August 2014), has been conducted in an interdisciplinary study for promoting creativity and humanity whose importance is growing in the educational capabilities of our time.
    While there have been cases that use movies in a fragmentary level in the frame of media education after analyzing previous studies, there have not been a case that applies it to an educational content to promote creativity and humanity in the regular curriculum of universities. This study focused on the fact that we need to train teacher-to-be through the basic frame of the creativity and humanity education to nurture talents equipped with creativity and humanity. That is why the author tried to develop movie-based educational contents to enhance creativity and humanity using ICT technology called social curation for pre-kindergarten teachers, and carried out interdisciplinary study combined with pedagogy, engineering, and image.
    The detailed goal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uthor tries to combine different studies in a macroscopic way using movies by exchanging and utilizing information through social curation which is differentiated to conventional teaching method so as to suggest a new prospect of teaching teachers for creativity and humanity. Second, through this study, the author aims for teachers to grow into creative teachers equipped with the character that can creatively detect and solve problems in the major areas as well as in the everyday life. Third, the author aims to use the results of this study for the cultural studies of university students from different majors who need to establish solid ego identity and to form right values.

    2. Details and performances of the study

    To carry out this study, researchers of interdisciplinary team made up of professionals in education, video, and IT set an educational model based on movies, explored educational elements of movies, and analyzed social curation services for the education to promote creativity and humanity based on movies. After that, we verified the educational effects of the education and confirmed the potential to educationally use curation services.
    Details on the contents, range, and method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e suggested the basic directions of educational contents. Second, we set the elements comprising the education to promote creativity and humanity. Third, we surveyed the perceptions on the development of movies as an educational content. Fourth, we selected movies to be developed into the educational contents to promote creativity and humanity. Fifth, we studied cases that can be applied in classes. Lastly, we analyzed curation services in the class called 'movies and creativity'.
    There are a number of research outcomes in accordance with the above objectives; 4 cases of papers, 2 academic presentations, human resources, spread of knowledge, media activities, awards by running courses related to creativity and humanity which are the channels used to draw research results.

    3. Plans to use the research results
    As we have been able to confirm the results effective to promote creativity and humanity of pre-kindergarten teachers applying social curation educational contents based on movies in the field of pedagogy, we plan to expand the subjects into university students on our future seed-type studies and to apply this model into liberal arts related to creativity and humanity. In addition to movies, we plan to use other videos such as animation, documentaries, advertisements, and web-toon to expand the range of educational contents and establish curation web services and smart phone services optimized for education.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1. 연구개요

    씨앗형 연구인 ‘소셜 큐레이션을 활용한 영화기반 창의·인성 증진 교육 콘텐츠 개발 연구’(2013. 09 - 2014. 08)는 이 시대의 교육적 역량으로 그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창의·인성 증진을 위해 학제간 융합 연구로 수행되었다.
    선행 연구를 분석해 본 결과, 미디어 교육이라는 틀 내에서 영화를 단편적으로 활용한 사례는 있었지만, 대학의 정규 교육과정에서 창의·인성 증진을 위한 교육 콘텐츠에 적용한 경우는 부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창의성과 인성을 고루 갖춘 미래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무엇보다 창의·인성 증진 교육의 기본 틀을 통한 예비교사교육이 선행되어야 함에 주목하였다. 따라서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소셜 큐레이션이라는 ICT 기술을 활용하여 영화에 기반한 창의· 인성 증진 교육 콘텐츠를 개발하고자 하였고, 이를 위해 교육학, 공학, 영상학 분야가 융합된 학제간 연구가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구체적인 연구의 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 교수법과는 차별화된 소셜 큐레이션을 통한 정보 교류 및 활용을 해봄으로써 영화를 활용한 타학문간의 거시적 융합을 통해 창의․인성 교사 교육의 새로운 지평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둘째, 본 연구를 통해 예비교사들은 영화 속 가상공간에서의 창의적 발상을 넘어 일상생활과 자신의 전공영역 내에서 창의적 문제발견 및 해결 등이 가능한 인성을 갖춘 창의적 교사로 성장할 수 있게 하였다. 셋째, 본 연구결과에 기반하여 향후 올바른 가치관 형성과 확고한 자아정체감 확립이 필요한 다양한 전공을 가진 대학생의 교양 과목으로 확대·보급 하고자 한다.

    2. 연구내용 및 성과

    본 연구 수행을 위해 교육, 영상, IT 전문가로 구성된 학제간 융합 연구진이 영화를 기반으로 한 교육모형을 설정하고, 영화의 교육적 요소를 탐색함과 동시에 영화 기반 창의·인성 증진 교육을 위한 소셜 큐레이션 서비스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후 창의·인성 증진의 교육적 효과를 검증하였으며, 큐레이션 서비스의 교육적 활용 가능성에 대해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내용, 범위 및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콘텐츠의 기본 방향을 제시하였다. 둘째, 창의·인성 증진 교육의 구성 요인을 설정하였다. 셋째, 영화매체의 교육 콘텐츠로서의 개발과 인식조사를 실시하였다. 넷째, 창의·인성 증진 교육 콘텐츠 개발을 위한 영화를 선정하였다. 다섯째, 수업적용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여섯째, ‘영화와 창의성’ 수업적용에서의 큐레이션 서비스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 목표에 따른 연구성과로는 논문발표 4건, 학술발표 2건을 비롯하여, 인력양성 실적, 지식확산 성과, 언론활동, 창의·인성 관련 교과목 운영을 통한 수상 실적 등의 다양한 채널로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씨앗형 연구에서 유아교육학 분야에 영화기반의 소셜 큐레이션 교육 콘텐츠를 적용하여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인성 증진에 유의한 성과를 확인한 바, 향후 새싹형 연구에서는 교육대상을 다양한 전공의 대학생으로 확대하고 본 모델을 창의·인성 관련 교양교과목에도 적용해보고자 한다. 또한 영화뿐만 아니라 애니메이션, 다큐멘터리, 광고, 웹툰 등의 영상물 활용하여 교육콘텐츠의 범주를 넓히고, 교육에 최적화된 큐레이션 웹 서비스와 스마트폰 서비스를 구축할 계획이다.
  • 색인어
  • 소셜 큐레이션, 영화, 창의성, 창의인성, 인성, 교육, 예비유아교사, ICT, 교육학, 공학, 융합, 창의적 교육모형, 교육적 효과, 큐레이션 서비스, 교육콘텐츠 개발, 사례연구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