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팀은 1단계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하여 다음과 같은 융합연구 방향을 설정하였다. 첫째, “아름다움의 통합적 이해 모형 구축” 목표로 아름다움의 과학에 대한 심화된 연구를 통해 학문적 기여를 하도록 한다. 둘째, 1단계 미적평가에 대한 연구 결과와 후속 심화 연 ...
본 연구팀은 1단계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하여 다음과 같은 융합연구 방향을 설정하였다. 첫째, “아름다움의 통합적 이해 모형 구축” 목표로 아름다움의 과학에 대한 심화된 연구를 통해 학문적 기여를 하도록 한다. 둘째, 1단계 미적평가에 대한 연구 결과와 후속 심화 연구를 통해 미적 경험 모형을 정교화하고 ICT 산업 경쟁력 제고에 기여할 심미성 중심의 사용자 경험(UX, User Experience)의 평가방법론을 실용화한다.
본 연구팀이 2단계에서 수행할 연구 내용 및 상호지원 체계는 연구자의 전문분야별로 다음과 같다.
1) 미학 : 미적 상대성 기반의 감상모형 개발
감상모형의 UX 평가 모델지표 활용가능성 타진
감상모형에 기반한 심미적 파라미터를 창조적 디자인 생성시스템에 제공
2) 심리학 : 사용자 경험(UX)의 심미성평가를 위한 친숙성, 대칭성, 복잡성의 개관적 지표 개발
사용자 경험의 심미성 평가 지표의 산업현장 적용
3) 신경과학 :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미적 경험의 신경영상학적 연구
자폐 미술치료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미적 경험 모형의 적용
청소년의 미적체험 활성화 패턴 분석 및 사회적/도덕적 체험영역과의 상관 분석
전두엽 발달과 미적판단 간의 관계를 통한 청소년기 미술교육 계획 수립 기반 제공
4) 물리학 : scale-space 기반 복잡도 분석 및 아름다움 리듬 생성 알고리즘 개발
복잡도와 미적평가의 관계에 대한 상관성 탐구, 창의적 작곡지원 도구 개발
5) 계산학 : 창조적 변환생성 디자인 시스템 개발
미래 디자인 창작의 파라다임 변화 기여
본 연구팀의 연구계획을 연차별로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차년도에서는 미적 평가 모형 개발을 위한 미적 감상과정 모형의 정교화, 심미성에 영향을 미치는 2차 속성에 대한 측정지표 개발, 자폐스펙트럼 장애의 미적경험에 대한 신경미학적 연구, scale-space 기반의 복잡도 분석, 창조적 디자인 생성시스템 개발을 하고자 하며, 2차년도에서는 감성모형 기반의 UX 지표 개발 및 창조적 디자인 생성시스템 지원, 2차 속성이 심미성에 미치는 가중치 산정 연구, 청소년의 미적 체험에 대한 신경미학적 연구, 아름다운 음악의 자동리듬 생성 알고리즘 개발, 창조적 디자인 생성시스템을 고도화하는 연구를 하고자 한다.
본 연구결과는 인문 사회학 분야, 이공계 분야 의학 분야 및 예술 분야의 다양한 연구자들이 모여 학문특성별로 아름다움에 대한 연구를 진행 및 분석하였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 본 연구결과의 기여 및 활용 방안은 첫째, 본 연구는 아름다움에 대한 기반연구와 실용화 지원을 위한 학문적 토대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미적경험 연구결과는 자폐 미술치료 개발에 활용가능하고, 청소년의 미적체험 활성화 패턴 분석은 청소년기 미술교육 계획 수립에 활용될 수 있어, 사회안전망 강화 등 사회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심미성 중심의 사용자 경험(UX) 평가방법론은 기존의 사용성 및 효용성 기반의 평가방법론에서 제공하지 못한 다른 차원의 평가를 할 수 있도록 하여, ICT 분야를 비롯해 많은 산업분야의 제품 및 서비스 경쟁력 제고에 상당 부분 기여할 것이다. 넷째,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각종 강의 및 심포지움을 개최하고, 아름다움 연구결과와 관련된 저술활동을 계속할 것이다. 아름다움에 높은 관심을 갖고 있는 일반인들을 위해 과학적 연구를 통해 입증된 본 팀의 연구내용들을 토대로 일반인들에게 가장 잘 알리고 홍보할 수 있는 저서를 출판하여 본 연구의 또 다른 결과를 도출해낼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