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핵심목표는 삶의 마지막 단계인 죽음을 철학적․인문학적 측면, 사회 과학적 측면, 보건의료 측면에서 이해하고 이를 융합하여 죽음의 사회적 수용을 위한 융합교육모델 개발 및 그와 관련된 인력양성을 통해 사회적 비용의 절감과 행복한 죽음의 수용을 위한 죽 ...
이 연구의 핵심목표는 삶의 마지막 단계인 죽음을 철학적․인문학적 측면, 사회 과학적 측면, 보건의료 측면에서 이해하고 이를 융합하여 죽음의 사회적 수용을 위한 융합교육모델 개발 및 그와 관련된 인력양성을 통해 사회적 비용의 절감과 행복한 죽음의 수용을 위한 죽음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다.
철학 및 인문학적 측면에서 죽음의 사회적 수용을 위한 죽음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우선 철학적, 심리학적, 종교적, 인문학적 죽음의 이해 및 태도를 분석하고, 의료영역 실증적 연구를 시행하여, 인문과 의료가 결합된 죽음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할 것이다.
사회과학적 측면에서 생산적이고 전향적인 사고와 태도를 갖도록 하기 위해 문헌 고찰 및 설문조사를 하여 죽음의 사회적 비용 및 죽음에 대한 갈등 최소화를 바탕으로 한 융합교육 모델을 만들 것이다. 뿐만 아니라 문화단체나 대학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지원으로 성인교육을 실행하여 한 세대만이 아닌 전 세대를 통한 단계별 죽음교육을 실시 할 것이다. 보건학적 측면에서 국내외 죽음교육의 현황 파악 및 국가적 차원에서 시행하고 있는 정규교육과정 및 평생교육에서의 죽음교육의 현황을 분석하여 죽음 수용양성의 변화 및 스트레스 완화 및 품위 있는 죽음 교육을 실시하여 한국형 죽음교육모델 개발할 것이다. 이를 통하여 죽음에 대한 이상과 현실의 차이를 줄이고 민간과 공공의 노력이 행복한 웰다잉으로 나타나 우리사회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죽음의 사회적 수용을 위한 죽음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연구방법 및 내용은 통합적인 분석을 통해 철학 및 인문학적 접근, 사회과학적 접근, 보건의료 접근이 필요하다. 우선, 철학 및 인문학적 접근에서는 죽음에 대한 철학적, 종교적, 문화적, 역사적 분석을 시행한다. 사회과학적 접근에서는 죽음에 대한 태도 분석을 시행하고 보건의료접근에서는 죽음의 종류 및 특성에 대한 분석을 문헌고찰 및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한다. 수집한 결과를 토대로 분과회의를 시행하여 대상별 분석한다. 분석 대상을 회의 및 워크숍을 통해 통합적 차원의 죽음에 대한 교육을 의료적, 인문학적, 종교적 접근 및 교양강좌 개설, 예방 및 대처 등의 보건 교육을 수행하여 중간보고의 결과에 대한 전문가 의견 수렴을 통해 최종적으로 죽음의 사회적 수용을 위한 죽음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도달 할 수 있도록 한다.
인문학 영역에서의 죽음에 대한 연구는 크게 3단계로 이루어질 것이다. 먼저 문헌조사 방법을 통해 ‘죽음’을 둘러싼 종교적, 철학적, 사회적, 문화적 관점을 이해하고 분석하여 자료화할 것이다. 다음으로는 죽음에 대한 인식, 태도 및 스트레스의 정도를 면담, 설문, 통계 등의 실증적 조사 방법을 통해 분석한 뒤 죽음 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로 구축할 것이다. 즉 죽음에 관한 실증적 조사는 연령별, 직업별, 죽음에 대한 경험 유무 등을 중심으로 이루어질 것이다. 마지막 단계에서는 문헌조사를 통해 정립한 죽음에 관한 이해와 가치평가, 태도 분석 등을 토대로 각 대상별로 이루어진 실증적 조사 결과를 종합하여 ‘죽음 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개발할 것이다.
죽음에 대한 보건의료적 측면은 다양한 이해관계가 얽혀있다. 따라서 이를 문헌고찰 및 설문조사를 통해 그 관계를 파악하여 죽음에 대한 연구 방안을 실행하도록 한다. 그 구체적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우선, 국내 현황파악이 필요하다. 국내 현황 파악은 웰다잉 프로그램의 실시현황, 프로그램 내용 등이 실시되고 있는지 알아보아야 한다. 이는 죽음에 대한 태도, 교육경험, 교육 요구도 등을 생애주기별 접근, 환자‧가족‧의료진 등 대상별 접근을 통해 죽음교육에 대한 요구도 조사를 시행한다. 이는 의료진이 보는 죽음에 대한 관점, 간호사가 보는 죽음에 대한 관점, 환자가 보는 죽음에 대한 관점, 지역주민이 보는 죽음에 대한 관점이 각각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차이점에 따라 죽음 교육 내용의 강조점을 달리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죽음 교육은 국내 죽음교육 현황조사를 교육주관기관, 대상자, 교육프로그램 분석 등의 세부적으로 분류하여 실행한다. 죽음에 대한 가족 및 주변인에 대한 사후관리프로그램의 현황 또한 파악해야 한다. 이는 국내 현황의 파악하는 실정에서 나아가 보다 나은 연구를 위해 미국, 독일 등 제도권 의료 내에서 실시되고 있는 교육프로그램의 내용분석을 통한 선진외국의 실태를 알아보고 국내에 실정에 적합한 웰다잉 프로그램의 개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서 외국의 죽음교육 현황분석을 위해서 국가적 차원에서 시행하고 있는 정규교육과정 및 평생교육에서의 죽음교육의 현황분석 등을 분석하여 이에 적합한 한국형 죽음교육모델 개발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