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네트워크 미디어와 도시 지역 근린 커뮤니티 : 서울 지역에 대한 융합적 연구
Networked Media and Urban Local Community: A Multidisciplinary Communication Research on Seoul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학제간융합연구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4S1A5B6038143
선정년도 2014 년
연구기간 1 년 (2014년 09월 01일 ~ 2015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김용찬
연구수행기관 연세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김우주(연세대학교)
박남기(연세대학교)
차미영(한국과학기술원)
김유정(연세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이 연구는 (1) 네트워크 미디어 테크놀로지의 발전 속에서 서울 지역 내 도시 커뮤니티가 어떤 변화를 겪고 있는지를 다학제적 이론과 다면적 방법을 통해 파악하고, (2) 네트워크 미디어를 활용하여 서울 내 도시 커뮤니티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실질적 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구체적인 아젠다(agenda) 개발을 목표로 하는 사전 기획 연구의 성격을 띤다. 구체적으로 이번 사전 연구에서 시도하는 네트워크 미디어와 도시 지역 근린 커뮤니티에 대한 기초 자료 확보 및 관련 데이터 분석 알고리즘 개발은, 대도시 내 근린 지역 커뮤니티와 그 커뮤니티들의 네트워크라는 맥락 속에서 한국 사회의 지역 다양성 및 사회통합의 실현과 이를 위한 네트워크 미디어의 효과적인 활용 방안 도출이라는 연구진의 중장기적 연구목표를 향한 첫 학문적 시도에 해당한다. 다양한 학문적 배경의 융합적 학제 간 연구팀의 구성을 통해 본 연구는 다수준 분석, 사회연결망 분석, GIS 공간 분석, SNS (social network services) 텍스트 감성 분석 등 다양한 방법론을 활용하여 개인, 사회연결망, 지역 단체와 모임, 도시 공간 환경, 미디어, 텍스트 등이 어우러지는 도시 공간 내의 커뮤니케이션 생태계를 총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이론 및 방법론적으로 혁신적 접근 방법을 개발하는 것을 궁극적 목표로 삼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론적, 방법론적 혁신을 통해 서울 지역뿐 아니라, 국내 다른 도시 지역, 그리고 외국 타 도시에도 적용할 수 있는 연구틀을 구축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 방향은 다음과 같은 영역들로 정리할 수 있다. ● 서울 거주자들이 자신의 거주 지역 내에서 네트워크 미디어를 기반으로 참여하는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방식의 현황을 보여주는 기초 자료 확보 및 분석. ● 네트워크 미디어를 통한 도시 지역 내 커뮤니케이션이 근린 커뮤니티 활성화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기초자료 확보 및 검토. ● 서울의 각 근린 지역 커뮤니티의 지역적 특성이 구성원들의 네트워크 미디어 이용 방식 (특히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에 미치는 영향력 파악을 위한 데이터 분석 방법 개발. ● 네트워크 미디어 상의 커뮤니티 스토리텔링 (커뮤니티 주체들이 커뮤니티의 삶에 대해 다양한 매체, 다양한 형식을 통해 이야기하는 것)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추적, 수집할 수 있는 방법 개발. ● 이러한 연구 방향에서 다양한 학제적(커뮤니케이션학, 도시공학, 컴퓨터공학 등), 이론적, 방법론적 배경을 갖고 모인 본 융합 연구팀은 중장기적인 연구 틀의 구축 및 연구 아젠다 개발이라는 목표 하에, 이번 씨앗형(기획 연구) 단계에서 다음에 대한 기초 연구를 실시할 예정이다. ● 서울 지역 주민들의 네트워크 미디어 이용이 지역 소속감, 지역 커뮤니티 활동, 집합적 효능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 네트워크 미디어 이용을 통한 지역 커뮤니티 활성화 측면에서 지역적 편차가 어떻게 나타나고, 그러한 편차를 만드는 요인은 무엇인가? ● 서울 내에서 지역을 기반으로 하는 온라인 커뮤니티의 현황은 어떤 상태이고, 그러한 지역 기반 온라인 커뮤니티가 오프라인의 지역 마을 커뮤니티 활성화와 어떤 영향을 주고받는가? ● SNS 상에서 지역 스토리텔링(지역을 언급하는 담화들)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와 관련한 지역적 편차는 어떠한가? ● 네트워크 미디어를 활용한 지역의 대안 미디어 가능성은 어떤 것들이 있는가? 본 연구에서는 기초 현황 파악과 중장기 연구 틀 및 데이터분석방법의 구축을 위해 기초 자료(2차 데이터 포함)의 확보 및 데이터 분석을 위한 알고리즘 개발에 초점을 맞추게 될 것이다. 이는 일단 현재 하루가 다르게 변모하는 서울이라는 도시 커뮤니티 속에서 네트워크 미디어 활용 효과와 지역 기반 커뮤니티를 탐지할 수 있는 방법론에 대한 시론적 연구라는 의미를 갖는다. 나아가 본 연구에서 중장기적으로 기획하는 설문조사, 심층인터뷰와 케이스 스터디, 체계적 참여 관찰 (systematic field observation), SNS 의미 분석, 사회연결망 분석, 질적 GIS 분석, 설문조사 응답 결과의 질적 자료와 지역별 통계치의 양적 자료를 매칭하는 다층 모형(multilevel modeling), 개별 응답자 및 지역의 공간인지 경향과 ICT 이용 패턴을 유형화하기 위한 군집분석(cluster analysis) 및 잠재계층분석(latent class analysis) 등의 기초 작업이 될 것이다. 이러한 방법론적 통합을 통해서 본 연구는 네트워크 미디어와 도시 커뮤니티의 문제에 접근하는 이론과 방법론에 있어 창의적 혁신을 꾀할 것이다.
  • 기대효과
  • 본 연구는 도시공동체가 실제로 우리 주위에 있으며, 도시공동체를 통한 구성원들의 자발적인 참여와 상호작용이 서울시민들이 서로 이웃이라는 유대감과 친근감을 향상시키는 방법의 일환이 될 수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한 광범위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고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것에 1차적인 목표로 두고 있다. 즉 네트워크 미디어와 도시공동체가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의 문제를 커뮤니케이션학, 도시공학, 컴퓨터 공학의 연구자들이 새로운 융합적 연구 관점에서 접근하여 동 분야의 학문적 지식축적에 기여할 수 있는 아젠다의 도출을 목표로 한다. 도시커뮤니티 속에서의 네트워크 미디어의 활용과 이를 통한 사회 통합 방안 도출이라는 장기적 연구 목표에 비추어볼 때, 서울이라는 도시에 대한 커뮤니케이션학적 연구를 통해 서울시민들이 어떠한 형태로 ICT를 활용하고 있으며, ICT가 이들의 생활에 어떠한 사회적, 심리적, 공동체적 효과를 미치는지에 대한 현황을 살펴보고 이를 보여주는 데이터 분석 알고리즘의 개발이 우선적으로 요청된다고 보았고 이번 씨앗형 연구의 기본 구상이라고 할 수 있다. 서울은 다양한 사회경제적 계층이 서로 다른 환경과 맥락 속에서 생활하고 있는 거대도시로 성장하여 공동체 생활을 이해하고 공동체의 발전을 위한 방안들을 제시하는데 적합한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이에 '서울'이라는 지역에 대한 다차원적이며 학제적 연구를 통해 도출되는 아젠다와 연구결과들은 지난 20여 년 동안 커뮤니케이션 연구의 한 축을 이루어왔던 공동체와 시민생활, 그리고 이를 연결하는 매개수단으로서의 네트워크 미디어의 역할에 대한 연구흐름과 맥락을 같이 하는 한편,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공동체가 소통하고 활성화되기 위해서 어떤 전략적 접근이 필요한지에 대한 함의를 제공할 것이다. 또한 도시공학적 측면에 있어서도 인터넷을 비롯한 ICT가 도시형성, 정보인프라 구축, 도시공동체 형성에 이바지하는 역할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본 연구는 도시공동체를 중심으로 서울이 지역적으로 유기적 연결과 유대가 가능할 수 있음을 조명함으로써, 학문적 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향후 서울이 도시로서의 기능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방안을 학문적인 측면에서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정책적, 실천적 방안들을 도출하는 기틀을 제공할 것이다. 컴퓨터 공학의 측면에서는 이 연구를 통해 수집한 도시공동체 관련 데이터를 공학적인 측면에서 분석함으로써, 사회과학적인 해석과 더불어 이를 경험적으로 증명하는 과정을 통해 컴퓨터 공학이 사회과학과 접목, 융합될 수 있는 가능성과 실제사례를 보여줄 것이다. 또한 정책적인 측면에서, 서울시 행정부가 탑-다운 방식의 정책관여로는 도시공동체의 목표와 구성원들의 복지향상, 웰빙을 효율적으로 도모하기 힘들며, 도시공동체의 자율적인 참여와 운영을 바탕으로 서울시가 측면에서 지원, 장려하는 것이 장기적으로 도시공동체의 활성화에 더욱 효과적이라는 것을 보여줄 것이다. 연구결과를 통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교육적 효과 역시 기대할 수 있다. ‘도시 커뮤니케이션’에 관련된 커리큘럼 개발을 위해 교육 프로그램을 개설하거나, 학내 교육대학원에 관련 수업을 개설해 팀티칭으로 진행하는 방안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성공적인 지역공동체의 견학, 사례연구 등을 통해 대학과 지역공동체간의 연계와 컨설팅 또한 가능할 것이다. 이와 함께, 연구결과가 중고등교원 대상으로 한 재교육과정에 포함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연구결과의 영향으로 다양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도시 커뮤니케이션 분야의 차세대 사회과학자를 육성하는데도 기여할 수 있다. 현대 사회의 변화의 핵심에는 도시화와 뉴미디어가 자리잡고 있다. 따라서 이 둘을 연결하는 사회과학적 이론과 방법론을 전공하는 차세대 사회과학자의 육성은 매우 시급하고 중요한 과제이다. 본 연구는 박사과정생과 석사과정생을 매년 4명씩 참여시켜 학문적 트레이닝과 스스로의 연구아젠다 개발을 통해 학문적 인력을 양성하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는 사회과학자의 육성이 대학 내에서 뿐 만 아니라 실제 현장에서 얻은 경험과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이론과 실제가 접목되는데 기여할 것이다.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세 가지 단계로 진행될 예정이다. ■초기(씨앗형:1년) : 커뮤니케이션 테크놀로지와 도시 지역 근린 커뮤니티의 가능성 모색단계. 본 연구가 시행되는 첫 1년은 씨앗형단계로서, 본 연구에서 제기하는 네트워크 미디어와 도시 지역 커뮤니티 간의 관계가 서울 내에서 어떤 방식으로 전개되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다양한 질적, 양적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작업에 초점을 둘 것이다. 즉 커뮤니티 현황에 대한 인식, 문제 개발, 이론 개발, 데이터 분석 등의 작업이 이루어질 것이다. 다학제적 팀 간에 팀웍을 다짐으로서 명목상이 아닌 실질적인 융합 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는 틀을 다질 것이다. 특히 본 연구팀이 씨앗형 단계에서 노력할 것은 모든 연구 과정에 전 연구팀이 함께 (역할을 달리하며) 참여할 것이라는 점이다. 이 단계에서는 다양한 연구 방법이 동원되어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들이 수집될 것이다. 세부연구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네트워크 미디어 이용과 지역 소속감, 집합적 효능감, 지역 커뮤니티 활동 참여 등 ICT 이용의 지역 효과 (Neighborhood Effects)에 대한 기초자료들을 광범위하게 확보하고 이에 대한 검토를 시행한다. 둘째, SNS와 같은 ICT내의 지역 커뮤니티를 측정하기 위한 지역 기반 커뮤니티 탐지 방법을 개발하고, ICT 이용을 통한 지역 커뮤니티 활성화 측면에서 기존 온라인 커뮤니티 분석을 실시할 예정이다. ■중기(새싹1기: 3년): 커뮤니케이션 테크놀로지를 통한 사회통합적 지역커뮤니티 프로그램 개발 단계에서는 이전 단계에서 파악하고 검토한 내용을 바탕으로 지역 커뮤니티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른 관련 분야 (예를 들어 사회학, 행정학, 사회복지학, 보건학, 서비스 디자인, 소프트웨어 공학 등)의 연구진을 확보하여 연구의 규모를 확장시켜 나갈 것이다. 특히 이 단계에서는 스마트폰 앱, GIS/GPS 이용한 매핑, 새로운 개념의 도시형 블로그와 카페, 지역 스토리를 수집, 공유하는 커뮤니티 스토리 아카이빙, 아파트 내에 활용가능한 다양한 커뮤니티 형성/유지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등을 (소형 단계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개발할 것이다. 즉 이론주도적인 (theory-based) 프로그램을 개발하게 될 것이다. 이렇게 개발된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서울 내 몇몇 지역에서 pilot test를 시험적으로 실시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프로그램에 대한 수정 과정을 거칠 것이다. 프로그램 개발 과정에서는 다음의 사항들에 주안점을 두면서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프로그램의 차별성을 강화시킬 것이다. 1) 기술적 가능성은 물론 각 지역의 특성을 반영하고 소형단계에서 축적된 연구 결과를 반영한 이론 주도적 프로그램 2) 주민, 모임/단체, 지역 미디어 등 지역 내 주요한 커뮤니티 스토리텔러들의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프로그램 3) 세대간, 사회경제적 지위간, 인종간 (이주민) 격차를 줄일 수 있는 프로그램 4) 각 지역 커뮤니티에 대한 소속감을 고양시키고 지역 커뮤니티 간의 교량적 관계도 확장시키는 프로그램 5) 지속가능하고 적용성 높은 프로그램 ■중기(새싹2기: 2년): 커뮤니케이션 테크놀로지를 통한 사회통합적 지역 커뮤니티 프로그램 시행 및 평가 대형 단계에서는 중형 단계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을 실제로 서울시 지역 내 일부 커뮤니티에 본격적으로 시행해 볼 계획이다. 이 단계에서 더 많은 관련 분야 연구진들뿐만 아니라, 마을 커뮤니티 사업과 관련한 서울시 단위, 구 단위 지자체 공무원들, 서울시 산하 연구기관 (예를들어 서울연구원)의 연구원들, 시민단체, 각 마을커뮤니티의 운영진들과의 산학-연구 네트워킹 체제를 구축할 것이다. 이러한 네트워킹을 바탕으로 해서 서울시 내 몇 개 지역을 선정하여, 중형단계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을 실시한다. 대형 단계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이다. 프로그램 평가를 위해서 randomized controlled trial 설계 등의 방법을 통해 체계적으로 인과관계를 밝히려는 노력을 기울일 것이다. 평가 작업을 위해서는 참여자들에 대한 심층 인터뷰, 참여 관찰, 체계적 현장 관찰, 지역 매핑, 온라인 카페 내용 분석, SNS 내용 분석 등의 방법이 총체적으로 사용될 것이다. 또한 대형 단계에서는 국제적 공조 체제를 제도화하여 본 연구팀의 연구 결과가 국제적 인지도를 공고히 하고, 우리 연구진이 도시 커뮤니케이션 분야에 있어서 선도적인 위치를 차지하도록 할 것이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씨앗-새싹1기-새싹2기의 3단계 장기 연구를 통해, 대도시 내 근린 지역 커뮤니티라는 맥락 속에서 한국 사회의 지역 다양성 및 사회통합을 실현하고, 이를 위한 네트워크 미디어 혹은 ICT의 효과적인 활용 방안을 도출하겠다는 중장기적 연구목표를 갖고 있다. 씨앗(기획, 연구) 단계에서는, “커뮤니케이션 테크놀로지와 도시 지역 근린 커뮤니티의 가능성 모색”을 단기 목표로 삼았다. 다시 말해 다양한 학문적 배경의 융합적 학제 간 연구팀의 구성을 통해 (1) 네트워크 미디어 테크놀로지의 발전 속에서 서울 지역 내 도시 커뮤니티가 어떤 변화를 겪고 있는지 그 현황을 다학제적 이론과 다면적 방법을 통해 파악하고, (2) 이렇게 파악한 예비조사의 결과를 바탕으로 네트워크 미디어를 활용하여 서울 내 도시 커뮤니티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실질적 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구체적인 아젠다(agenda) 개발을 목표로 했다. 이에 대해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세부 연구 주제를 도출하고 연구를 수행했다. 1) 네트워크 미디어 이용과 지역 소속감, 집합적 효능감, 지역 공동체 활동 참여 : 심층인터뷰, FGI, 서베이 조사 등을 통해 지역 관련한 네트워크 미디어 이용 현황을 살펴보았으며, 이 네트워크 미디어 사용과 지역 관련 커뮤니케이션 및 활동, 효능감이나 소속감 등과 어떤 연관이 있는지 살펴봤다. 또한 특정 지역(신촌)의 FGI를 바탕으로 지역 관련 네트워크 미디어의 사용에 어떤 조건이 필요한지를 살펴봤다. 2) ICT 이용의 지역 효과(Neighborhood Effects): 서베이를 통해 지역과 관련한 네트워크 미디어 사용 현황과 의도를 살펴보고 이에 대한 지역적인 차이를 분석해보았다. 또한 지역의 어떤 특성들이 네트워크 미디어 사용과 실제 지역 참여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지 멀티레벨 분석을 통해 알아봤다. 3) ICT 이용을 통한 지역 공동체 활성화 측면에서 기존 온라인 공동체 분석: 페이스북, 트위터 등의 온라인 그룹과 해시태그를 분석해 지역 공동체의 현황을 살펴보고 향후 어떤 알고리즘으로 추가분석을 해 나갈지에 대해 조사했다. 4) SNS상에서의 지역 공동체에 대한 갈등/불안 요소 파악을 위한 담론 및 전파 분석: 온라인상 지역 공동체 담론을 분석하기 위한 알고리즘 등을 파악하고, 닫힌 SNS를 추가 분석할 필요를 느껴 이를 분석하는 과정을 만들어보았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build a foundation for multi-year and interdisciplinary research about how to us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for facilitating urban local communities. In this initial step, we have focused on (1) building an effective interdisciplinary team of the scholars from various fields including communication, computer science, and data science; (2) collective data for pilot studies; and (3) developing specific research agenda for next steps. In this process, we have come up with the following four research agendas for our future studies. 1) Studies to understand and design localize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for facilitating neighborhood belonging, collective efficacy, and community participation in urban places. 2) Studies about neighborhood effects on localized uses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3) Studies about online communities that have links to geographical, place-based communities. 4) Studies developing methods to collect online discourses about places and understanding their social implication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씨앗-새싹1기-새싹2기의 3단계 장기 연구를 통해, 대도시 내 근린 지역 커뮤니티라는 맥락 속에서 한국 사회의 지역 다양성 및 사회통합을 실현하고, 이를 위한 네트워크 미디어 혹은 ICT의 효과적인 활용 방안을 도출하겠다는 중장기적 연구목표를 갖고 있다. 씨앗 단계에서는, “커뮤니케이션 테크놀로지와 도시 지역 근린 커뮤니티의 가능성 모색”을 단기 목표로 삼고 (1) 네트워크 미디어 테크놀로지의 발전 속에서 서울 지역 내 도시 커뮤니티가 어떤 변화를 겪고 있는지 그 현황을 다학제적 이론과 다면적 방법을 통해 파악하고, (2) 이렇게 파악한 예비조사의 결과를 바탕으로 네트워크 미디어를 활용하여 서울 내 도시 커뮤니티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실질적 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구체적인 아젠다(agenda) 개발을 목표로 했다. 이에 대해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세부 연구 주제를 도출하고 연구를 수행했다: 1) 네트워크 미디어 이용과 지역 소속감, 집합적 효능감, 지역 공동체 활동 참여 2) ICT 이용의 지역 효과(Neighborhood Effects) 3) ICT 이용을 통한 지역 공동체 활성화 측면에서 기존 온라인 공동체 분석 4) SNS상에서의 지역 공동체에 대한 갈등/불안 요소 파악을 위한 담론 및 전파 분석. 앞의 각 주제에 대한 분석결과를 제시하고 후속 단계에서 진행할 연구 아젠다를 제시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우선 서울이라는 도시에 대한 커뮤니케이션학적 연구를 통해 서울시민들이(특히 지역공동체 주민들이) 어떠한 형태로 네트워크 미디어를 활용하고 있으며, 네트워크 미디어가 이들의 생활에 어떠한 사회적, 심리적, 공동체적 효과를 미치는지를 살펴봤다. 서울은 다양한 사회경제적 계층이 다양한 지역에서 생활하고 있는 거대도시로써 공동체 생활을 이해하고 공동체의 발전을 위한 방안들을 제시하는데 적합한 환경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들은 지난 20여 년 동안 커뮤니케이션 연구의 한 축을 이루어왔던 공동체와 시민생활, 그리고 이를 연결하는 매개수단으로서의 네트워크 미디어의 역할에 대한 연구흐름과 맥락을 같이 하는 한편,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공동체가 소통하고 활성화되기 위해서 어떤 전략적 접근이 필요한지 다양한 시각에서 풍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이 연구의 결과는 교욱프로그램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 먼저 대학원을 대상으로 ‘도시 커뮤니케이션’에 관련된 커리큘럼의 개발을 통해 연구결과들을 활용할 수 있다. 나아가 인접 학문 분야에 교육 프로그램을 개설하거나, 학내 교육대학원에 다문화 관련 수업을 개설해 팀티칭으로 진행하는 방안도 가능하다. 또한 성공적인 지역공동체의 견학, 사례연구 등을 통해 대학과 지역공동체간의 연계와 컨설팅 또한 가능할 것이다. 이와 함께, 연구결과가 중고등교원 대상으로 한 재교육과정에 포함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연구결과의 영향으로 다양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며, 실제로 연구팀 김용찬 교수가 2015년 1학기에 도시커뮤니케이션과 수업을 학부에서 개설하여, 지역 공동체 견학과 사례연구를 겸비해 수업한 결과 좋은 반응을 얻기도 했다. 또한 이 연구는 도시 커뮤니케이션 분야의 차세대 사회과학자를 육성하는데도 기여할 것이다. 현대 사회의 변화의 핵심에는 도시화와 뉴미디어가 자리잡고 있다. 따라서 이 둘을 연결하는 사회과학적 이론과 방법론을 전공하는 차세대 사회과학자의 육성은 매우 시급하고 중요한 과제이다. 본 연구에는 실제로 박사과정생과 석사과정생이 다수 참여해 학문적 트레이닝과 스스로의 연구 아젠다를 개발했다. 또한 이 연구 참여를 통해 학생들은 실제 현장에서 얻은 경험과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이론과 실제를 접목한 교육을 받음으로써 균형 잡힌 사회과학자가 되는 첫 걸음을 디딜 수 있었다. 실제로 본 연구의 결과에서 도출한 연구주제는 참여 학생들의 학위논문으로 작업 중이기도 하다. 현재 지오태깅이 지역 커뮤니티 내에서의 의사소통과 참여에 어떻게 쓰이고 있는지 그 현황을 살펴보고 시사점을 제시하는 내용으로 석사과정 학생의 학위 논문이 진행 중이다, 또한 본 연구의 기초 결과와 SNS 데이터 수집 알고리즘을 활용해, 거주 지역과 관련한 다양한 SNS 상의 담론의 내용을 분석하여, 이러한 담론들이 일종의 ‘커뮤니케이션 인프라’로써 사람들의 지역 관련한 커뮤니케이션과 지역에 대한 관심, 지역과 관련한 참여활동 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는 내용의 박사과정 학위 논문이 진행 중이다.
  • 색인어
  • 네트워크 미디어, ICT, 도시 커뮤니티, 서울, 지역 효과, 근린 효과, 지역 공동체, 소셜네트워크,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