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세 가지 단계로 진행될 예정이다. ■초기(씨앗형:1년) : 커뮤니케이션 테크놀로지와 도시 지역 근린 커뮤니티의 가능성 모색단계. 본 연구가 시행되는 첫 1년은 씨앗형단계로서, 본 연구에서 제기하는 네트워크 미디어와 도시 지역 커뮤니티 간의 ...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세 가지 단계로 진행될 예정이다. ■초기(씨앗형:1년) : 커뮤니케이션 테크놀로지와 도시 지역 근린 커뮤니티의 가능성 모색단계. 본 연구가 시행되는 첫 1년은 씨앗형단계로서, 본 연구에서 제기하는 네트워크 미디어와 도시 지역 커뮤니티 간의 관계가 서울 내에서 어떤 방식으로 전개되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다양한 질적, 양적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작업에 초점을 둘 것이다. 즉 커뮤니티 현황에 대한 인식, 문제 개발, 이론 개발, 데이터 분석 등의 작업이 이루어질 것이다. 다학제적 팀 간에 팀웍을 다짐으로서 명목상이 아닌 실질적인 융합 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는 틀을 다질 것이다. 특히 본 연구팀이 씨앗형 단계에서 노력할 것은 모든 연구 과정에 전 연구팀이 함께 (역할을 달리하며) 참여할 것이라는 점이다. 이 단계에서는 다양한 연구 방법이 동원되어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들이 수집될 것이다. 세부연구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네트워크 미디어 이용과 지역 소속감, 집합적 효능감, 지역 커뮤니티 활동 참여 등 ICT 이용의 지역 효과 (Neighborhood Effects)에 대한 기초자료들을 광범위하게 확보하고 이에 대한 검토를 시행한다. 둘째, SNS와 같은 ICT내의 지역 커뮤니티를 측정하기 위한 지역 기반 커뮤니티 탐지 방법을 개발하고, ICT 이용을 통한 지역 커뮤니티 활성화 측면에서 기존 온라인 커뮤니티 분석을 실시할 예정이다. ■중기(새싹1기: 3년): 커뮤니케이션 테크놀로지를 통한 사회통합적 지역커뮤니티 프로그램 개발 단계에서는 이전 단계에서 파악하고 검토한 내용을 바탕으로 지역 커뮤니티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른 관련 분야 (예를 들어 사회학, 행정학, 사회복지학, 보건학, 서비스 디자인, 소프트웨어 공학 등)의 연구진을 확보하여 연구의 규모를 확장시켜 나갈 것이다. 특히 이 단계에서는 스마트폰 앱, GIS/GPS 이용한 매핑, 새로운 개념의 도시형 블로그와 카페, 지역 스토리를 수집, 공유하는 커뮤니티 스토리 아카이빙, 아파트 내에 활용가능한 다양한 커뮤니티 형성/유지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등을 (소형 단계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개발할 것이다. 즉 이론주도적인 (theory-based) 프로그램을 개발하게 될 것이다. 이렇게 개발된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서울 내 몇몇 지역에서 pilot test를 시험적으로 실시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프로그램에 대한 수정 과정을 거칠 것이다. 프로그램 개발 과정에서는 다음의 사항들에 주안점을 두면서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프로그램의 차별성을 강화시킬 것이다. 1) 기술적 가능성은 물론 각 지역의 특성을 반영하고 소형단계에서 축적된 연구 결과를 반영한 이론 주도적 프로그램 2) 주민, 모임/단체, 지역 미디어 등 지역 내 주요한 커뮤니티 스토리텔러들의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프로그램 3) 세대간, 사회경제적 지위간, 인종간 (이주민) 격차를 줄일 수 있는 프로그램 4) 각 지역 커뮤니티에 대한 소속감을 고양시키고 지역 커뮤니티 간의 교량적 관계도 확장시키는 프로그램 5) 지속가능하고 적용성 높은 프로그램 ■중기(새싹2기: 2년): 커뮤니케이션 테크놀로지를 통한 사회통합적 지역 커뮤니티 프로그램 시행 및 평가 대형 단계에서는 중형 단계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을 실제로 서울시 지역 내 일부 커뮤니티에 본격적으로 시행해 볼 계획이다. 이 단계에서 더 많은 관련 분야 연구진들뿐만 아니라, 마을 커뮤니티 사업과 관련한 서울시 단위, 구 단위 지자체 공무원들, 서울시 산하 연구기관 (예를들어 서울연구원)의 연구원들, 시민단체, 각 마을커뮤니티의 운영진들과의 산학-연구 네트워킹 체제를 구축할 것이다. 이러한 네트워킹을 바탕으로 해서 서울시 내 몇 개 지역을 선정하여, 중형단계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을 실시한다. 대형 단계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이다. 프로그램 평가를 위해서 randomized controlled trial 설계 등의 방법을 통해 체계적으로 인과관계를 밝히려는 노력을 기울일 것이다. 평가 작업을 위해서는 참여자들에 대한 심층 인터뷰, 참여 관찰, 체계적 현장 관찰, 지역 매핑, 온라인 카페 내용 분석, SNS 내용 분석 등의 방법이 총체적으로 사용될 것이다. 또한 대형 단계에서는 국제적 공조 체제를 제도화하여 본 연구팀의 연구 결과가 국제적 인지도를 공고히 하고, 우리 연구진이 도시 커뮤니케이션 분야에 있어서 선도적인 위치를 차지하도록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