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인공물의 진화
Evolution of Artifacts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학제간융합연구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4S1A5B6037845
선정년도 2014 년
연구기간 1 년 (2014년 09월 01일 ~ 2015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김홍기
연구수행기관 서울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홍유석(서울대학교)
온병원(군산대학교)
장대익(서울대학교)
윤주현(서울대학교)
주시형(전남대학교)
이정동(서울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 본 연구는 기존의 생물 진화 및 인공물 진화와 관련한 다양한 학술 분야의 관점, 방법론 및 연구 결과를 비판적으로 종합하여, 인공물 진화 연구에 대한 과학적인 이론적 토대를 구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다양한 학술 분야에서 인공물 진화와 관련한 연구가 수행되었으나, 인공물 진화에 대해 학술 분야들 간에 서로 상이한 개념적, 방법론적 접근방식을 취함에 따라, 상이한 연구 분야에서의 성과에 대한 상호 비교 및 비판적 검토를 저해하여, 오랜 기간 동안의 방대한 연구에도 불구하고, 지식의 축적을 통한 인공물 진화 연구의 발전이 지체되고 있음

    ▪ 본 연구팀은 인공물 진화의 논리 및 패턴을 규명하기 위해, 인공물 진화에 대한 철학적 기반, 개념적 모형, 진화계통도 작성 방법론 및 미래 예측 프레임워크를 구축하는 사전연구를 수행하였음

    ▪ 이에 본 연구는 (A) 인공물 진화에 대한 사전연구의 성과를 통합, 체계화하고, 관련 선행연구를 비판적으로 종합하여 인공물 진화의 (B1) 이론적 구성 요소들에 대한 포괄적인 개념적, 기능적 측면의 정의 및 접근 방법론을 구축하고, (B2) 핵심 연구 문제를 설정하며, (B3) 다양한 연구 가설을 구축함으로써 인공물 진화 연구에 대한 과학적인 이론적 토대를 구축하고자 함

    ▪ 아울러 본 연구는 향후 새싹형 과제 수행을 위해 (C1) 인공물 진화에 대한 중장기 융합연구 계획을 수립하고, (C2) 관련 연구자 네트워크를 확대하고자 함

    ▪ 세부 연구목표는 다음과 같음
    (A) 인공물 진화 사전연구 통합 및 체계화
    아래와 같은 사전연구 세부연구 성과의 통합 및 체계화
    ․ 인공물 진화의 원인 규명
    ․ 인공물 진화의 정형화된 패턴 규명
    ․ 인공물 진화 분석 방법론 구축
    ․ 인공물 진화의 미래 예측 (사례 연구)
    (B) 인공물 진화 연구의 이론적 토대 구축
    B-1 이론적 구성 요소 구축
    B-2 핵심 연구 문제 설정
    B-3 연구 가설 구축
    (C) 중장기 연구 수행 기반 구축
    C-1 중장기 연구계획 수립
    C-2 관련 연구자 네트워크 확대
  • 기대효과
  • □ 학술적, 교육적 기대효과
    ○ 본 연구는 인공물에 대해 (1) 진화의 동인 및 메커니즘에 대한 이론을 제시하고, (2) 진화계통의 개념을 정립하며, (3) 합리적인 분석방법론 및 실증적 사례를 제시함으로써 학문적 미개척 영역을 개척함
    ○ 인공물 진화에 대한 이론적, 개념적, 방법론적 토대를 구축함으로써, 인간의 상상력이 사물로 구현되는 방식, 나아가 이러한 상상력과 인공물이 전수, 전파, 변형되는 과정에 대한 체계적 이해를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함
    ○ 본 과제는 인공물 진화의 개념 설정부터 분석방법론 정립, 결과해석에 이르기까지 모든 단계에서 다양한 전공분야의 지식을 결합해야만 하는 전형적인 융합과제로, 연구조원들의 직간접적 과제 참여를 통한 차세대 융합형 연구인력 양성 및 향후 융합 교과목 설계, 공동연구원들간 교차강의 운영을 통한 융합교육 기반을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함

    □ 사회적 기대효과
    ○ 본 연구는 인공물 진화에 대한 체계적 이론 및 방법론을 구축하여 기술적 진보의 궤적, 속도, 사회적 니즈 등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적응할 수 있는 진화적 기업 전략 및 정부 정책 수립의 기반을 제공함으로써, 기업 및 국가의 경쟁력 제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함
  • 연구요약
  • □ 목표
    본 연구는 기존의 생물 진화 및 인공물 진화와 관련한 다양한 학술 분야의 관점, 방법론 및 연구 결과를 비판적으로 종합하여, 인공물 진화 연구에 대한 과학적인 이론적 토대를 구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연구내용
    (A) 사전연구 세부연구의 종적, 횡적 통합 및 체계화
    ▪ 사전연구 성과의 종적, 횡적 통합 강화하여 체계적 인공물 진화 모형의 원형(原型) 구축 시도
    - 종적 통합: [인공물 진화의 원인]-[분석 방법론]-[인공물 진화 패턴]-[미래 예측]의 단계들 간의 논리적, 실증적 일관성 강화
    - 횡적 통합: [분석 방법론] 내 다양한 방법론(디자인 트렌드 맵, 트렌드 어낼리틱스, 행위자 기반 모형 등)을 통합적으로 개념화 하는 방법론적 틀 구축,[인공물 진화 패턴] 내 다양한 분석 결과에 대한 통합적 해석 시도 등

    (B) 인공물 진화 연구의 이론적 토대 구축
    B1) 이론적 구성 요소 구축
    ▪ 인공물 진화 연구를 구성하는 필수적인 개념적 구성 요소 구축
    ▪ 개념적 구성 요소에 대응하는 물리적 구성 요소 및 방법론 구축

    B2) 핵심 연구 문제 설정
    ▪ 인공물 진화에 대한 선행 연구를 비판적으로 검토한 문헌을 바탕으로, 아직 해결되지 않은 주요 연구 문제 풀(Pool)을 구축, 이론적 완비성의 제고를 위해 풀어야 할 핵심적 문제를 파악, 인공물 진화에 연구의 이론적 토대를 공고히 하기 위한 핵심 연구 문제 설정
    ▪ 문제 해결을 위한 관련 선행연구 탐색 및 향후 연구 방안 계획

    B3) 연구 가설 구축
    ▪ 선행 연구 검토를 통해 연구 가설 풀(Pool)을 구축하고, 다양한 실증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메타분석을 수행, 각 가설에 대한 검증 결과 유형을 구분하고, 발전적 가설을 설계
    ▪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인공물 진화에 대한 정형화된 사실(stylized facts)을 구축

    (C) 중장기 연구 수행 기반 구축
    C1) 중장기 연구계획 수립
    ▪ 중장기적 측면에서 인공물 진화 연구의 최종적, 단계적 목표 및 범위를 도출, 인공물 진화에 대한 실행 가능한 단계적 연구계획 수립

    C2) 관련 연구자 네트워크 확대
    ▪ 인공물 진화 연구진의 양적 확대 및 학술적 다양성 강화

    □ 추진전략
    ○ 인공물 진화 이론의 종적․횡적 통합을 강화하고, 공고한 이론적 토대를 구축하기 위해 연구 진행과정에서 변화하는 연구내용에 맞추어 공동연구원의 전문성을 기반으로 세부 연구주제별 연구그룹의 구성을 유연하게 조정하며 연구를 추진
    ○ 본 연구에 대한 다양한 새로운 비판적, 건설적 아이디어 청취를 위해 외부 전문가 자문을 적극 활용하며, 공개워크샵을 개최하여, 단계별 연구 성과를 대내외적으로 공유하고 토론하며, 연구 네트워크를 확대 구축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인공물의 변천에 대한 진화적 접근은 오래전부터 시도되었으나, 기 정립된 생물 진화 연구와 달리, 인공물의 진화에 관한 일반화 할 수 있는 이론, 개념적 구성요소 및 실증적 분석방법론이 아직 체계적으로 정립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생물 진화 및 인공물 진화와 관련한 다양한 학술 분야의 관점, 방법론 및 연구 결과를 비판적으로 종합하여, 인공물 진화 연구에 대한 이론적 토대를 구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인공물에 대한 진화론적 연구들에 대한 리뷰를 통해 생물과 유사하게 인공물도 ‘진화’한다고 할 수 있는지에 대한 검토를 통해, 진화생물학에서 하나의 큰 학문적 조류로 부상한 이보디보에서 제시되고 있는 진화가능성의 개념을 바탕으로 인공물의 진화와 생물의 진화 모두에서 모듈성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즉 진화를 촉진하는 방향으로 변화한다는 점이 공통적으로 중요함을 파악하였고, 인공물의 복제자가 가져야할 대표적 특성으로 복제가능성, 적응가능성, 맥락성의 개념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인공물 진화와 생물 진화의 공통점 및 차이점 분석을 통해 생물과 인공물의 정체성을 공히 기능의 관점에서 파악할 수 있는 점을 발견하였고, 맥락종속성, 규범성, 창발성 측면에서의 생물과 인공물의 기능 개념의 차이를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인공물 진화에 대한 개념적, 이론적 연구를 바탕으로, 거시적 트랜드, 인공물의 구조, 인공물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 인공물을 구성하는 지식, 인공물을 생산하는 기업의 루틴과 같은 다양한 측면에서 인공물의 진화를 실증적으로 연구하기 위해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주요한 자료 및 방법론들을 파악하고, 실증분석을 통해 다양한 방법론의 인공물 진화 연구에의 적용 가능성을 평가 하였다.
    본 연구는 인공물의 진화 메커니즘에 대한 이론적 기반을 구축하고, 실증적 연구에 활용가능한 분석방법론 및 기초적 실증 분석 결과를 제시함으로써 최근까지도 학문적 미개척 영역으로 남아 있는 인공물 진화 연구 분야를 개척한 것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으며, 사회적으로는 기업의 연구개발, 신제품 개발 및 경쟁전략, 정부 혁신정책 및 산업정책 수립의 이론적, 학술적 근거를 제공하여, 기업 및 국가의 경쟁력 제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establishing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foundation of artifact evolution by synthesizing previous research various fields.
    With critical review on the literature of artifact and biological organism evolution, we identified artifacts, like biological organisms, are increasingly accelerating evolution by increasing their modularity. We suggested three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artifact replicator as replicability, adaptability and contextuality. In addition, we found that the true identity of both artifact and biological organism can be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its function, but the concept of artifact function is different from that of biological organism in terms of contextuality, normativity and emergence.
    Based on the conceptual and theoretical research, this study evaluated the possibility of applying various methods and data on the empirical research on artifact evolution, such as trend analysis(DEPST), architectural framework, big data analysis, patent citation analysis and agent-based modeling. Our empirical results provided evidences of strength and limitations of using various methods on empirical research of artifact evolution.
    We believe our research may contribute competiveness of firms and governments by providing theoretical foundation of evolutionary strategy building.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기존의 생물 진화 및 인공물 진화와 관련한 다양한 학술 분야의 관점, 방법론 및 연구 결과를 비판적으로 종합하여, 인공물 진화 연구에 대한 이론적 토대를 구축하였다.
    인공물에 대한 진화론적 연구들에 대한 리뷰를 통해 생물과 유사하게 인공물도 모듈성이 증가하는 방향, 즉 진화를 촉진하는 방향으로 변화한다는 점을 파악하였고, 인공물의 복제자가 가져야할 대표적 특성으로 복제가능성, 적응가능성, 맥락성의 개념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또한, 생물과 인공물의 정체성을 기능의 관점에서 파악하였고, 맥락종속성, 규범성, 창발성 측면에서의 생물과 인공물의 기능 개념의 차이를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인공물 진화에 대한 개념적, 이론적 연구를 바탕으로, 트렌드 분석, 아키텍처 프레임워크, 빅데이터 분석, 특허분석, 행위자기반 모형과 같은 다양한 측면에서 인공물의 진화를 실증적으로 연구하기 위해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주요한 방법론들을 파악하고, 실증분석을 통해 다양한 방법론의 인공물 진화 연구에의 적용 가능성을 평가 하였다.
    본 연구는 인공물의 진화 메커니즘에 대한 이론적 기반을 구축하고, 실증적 연구에 활용가능한 분석방법론 및 기초적 실증 분석 결과를 제시함으로써 최근까지도 학문적 미개척 영역으로 남아 있는 인공물 진화 연구 분야를 개척한 것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으며, 사회적으로는 기업의 연구개발, 신제품 개발 및 경쟁전략, 정부 혁신정책 및 산업정책 수립의 이론적, 학술적 근거를 제공하여, 기업 및 국가의 경쟁력 제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인공물의 진화 메커니즘에 대한 이론적 기반을 구축하고, 실증적 연구에 활용가능한 분석방법론 및 기초적 실증 분석 결과를 제시함으로써 최근까지도 학문적 미개척 영역으로 남아 있는 인공물 진화 연구 분야를 개척한 것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지속적인 후속연구를 통해 인간의 상상력이 사물로 구현되는 방식, 나아가 인공물이 전수, 전파, 변형되는 과정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를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 구축한 인공물 진화에 대한 체계적 이론 및 방법론은 기술적 진보의 궤적, 사회적 니즈 등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적응할 수 있는 진화적인 기업 전략 및 정부 정책 수립의 기반을 제공하여, 향후에는 사회적으로는 기업의 연구개발, 신제품 개발 및 경쟁전략, 정부 혁신정책 및 산업정책 수립에 다양하게 활용되어 기업 및 국가의 경쟁력 제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 기대된다.
  • 색인어
  • 인공물, 진화, 인공물의 진화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