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도시안전과 도시 사회경제적 메타볼리즘 : 시공간 도시안전-메타볼리즘 분석모델 개발 및 적용
Urban Safety and Urban Socioeconomic Metabolism : Spatiotemporal Analysis Model and Application of an Urban Safety and Metabolism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학제간융합연구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4S1A5B6038061
선정년도 2014 년
연구기간 1 년 (2014년 11월 01일 ~ 2015년 10월 31일)
연구책임자 반영운
연구수행기관 충북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이주호(선문대학교)
허태영(충북대학교)
배민기(충북발전연구원)
이재은(충북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현대의 도시는 그 진화・성장・발전의 과정에서 쉴 새 없이 변화하는 속성을 가지고 있는 동태적 유기체이지만(Colby, 1993), 우리나라의 도시성장은 복합성을 갖고 있는 도시 요소들의 관계성을 무시한 채 단편적인 객체의 연속물로 도시를 보려고 한 문제점이 있음
    이와 관련하여 도시를 체계 이론적으로 이해하려는 관점에서 도시를 생물의 신진 대사과정과 마찬가지로 외부로부터 자원과 에너지의 흡수를 통해 자신의 활력을 유지하고 외부로 폐기물을 배출한다고 보는 Urban Metabolism 개념(도시신진대사론)이 있음(황희연 외, 2002).
    그러나 국외 연구들은 주로 메타볼리즘을 분석하고 평가하는 연구에 머물러 있으며, 메타볼리즘 분석에 있어 도시성장단계별/토지이용별 특성 반영이 미흡함. 또한 도시의 내부적 거버넌스 및 정치/경제/사회/환경 등 종합적 요소와 관련된 다학제간 융합연구의 한계가 있음. 도시의 External Driver(regualation, regime, action plan)들이 어떤 영향을 주고 이들과 메타볼리즘이 도시 안전에 대한 영향을 규명하는 연구도 부족한 실정이며, 도시 메타볼리즘과 관련된 시뮬레이션 및 네트워크 분석 등 연구가 미흡함
    우리나라는 도시계획 패러다임이 성장위주의 도시정책에서 도시재생의 흐름으로 변화하고 있는 상황에서, 여전히 일방향의 Linear한 단편적 객체물로 도시를 인식하고 실제 도시 개발활동은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양적 인프라 확충, 도로 확자 등에 집중되고 있어 도시의 유기체적 특성을 반영하지 못해 다양한 도시문제를 초래하고 있는 실정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를 유기체로 받아들이는 Urban Metabolism 개념 및 관련방법론을 도입하여 도시의 성장단계별/토지이용별 Metabolic한 영향요인들과 그들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 도시와 도시 안전문제 간의 영향관계를 분석하며, 도시의 External Driver(regulation, regime, action plan)의 영향관계 분석, 도시의 정치/경제/사회/환경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종합적인 분석 및 도시 메타볼리즘과 관련된 시뮬레이션 및 네트워크 분석 등을 통해 다가오는 저성장‧고령화 시기의 우리나라 도시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기반을 구축할 수 있음
    도시는 진화・성장・발전의 과정에서 쉴새없이 변화하는 속성을 가지고 있는 동태적 유기체이며, 이러한 유기체적 관점에서 외부로부터 자원‧에너지를 유입하여 내부활동에 이용하고, 그 부산물로 폐기물을 배출하는 순환적 특성이 있음. 또한 도시는 경제, 사회, 환경의 다양하게 차별화되고 개별화된 수많은 부분들의 종합체의 특성을 갖고 있음
    따라서 도시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하여 이들 도시의 유기체적 특성, 순환성, 종합성이 총체적으로 고려되어야 함
    또한, 도시의 안전문제는 토지이용별(공간위계별), 도시성장시기별(시계열별) 특성에 따라 그 양상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이들 Spatiotemporal characteristic 등을 도시의 메타볼릭한 영향요인 규명에 반영하고, 이들을 융합한 총체적인 도시계획 의사결정지원 시스템 및 모델 구축이 가능함
    본 연구는 시공간 도시안전-메타볼리즘 분석모델의 개발 및 적용을 하고자 함.
  • 기대효과
  • 본 연구를 통해 도시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하여 이들 도시의 유기체적 특성, 순환성, 종합성이 총체적으로 고려한 Internal/External Drivers에 대한 영향을 규명하고, 순환적 특성의 관점에서 Input-Output의 사용/재사용으로 구성된 물질순환체계 구축으로 자원보존 및 자연순환과 인간의 생활양식의 조화를 도모할 수 있음. 또한 종합적인 관점에서 도시의 정치/경제/사회/환경 등 종합적 요소와 관련된 다학제간의 종합분석이 가능함. 그리고 도시의 안전문제는 토지이용별(공간위계별), 도시성장시기별(시계열별) 특성에 따라 그 양상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이들 Spatiotemporal characteristic 등을 도시의 메타볼릭한 영향요인 규명에 반영하고, 이들을 융합한 총체적인 도시계획 의사결정지원 시스템 및 모델 구축이 가능함
    본 연구의 파급효과로는 연구 결과물이 생태도시계획 및 의사결정시스템으로 활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공간위계별 경제사회 환경적 요소가 계량화된 평가모델을 통한 생태적 도시계획에 활용할 수 있으며, 저성장·인구감소 등으로 변화하는 도시계획 패러다임을 반영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도시계획 의사결정시스템으로 활용할 수 있음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크게 세 단계로 구분됨. 1차년도인 사회문제 해결모델개발 기획연구는 Urban Socioeconomic Metabolism과 도시안전에 대한 주요 개념 정의, 연구의 공간적·시간적·내용적 범위 설정, 도시 확장시기 도시성장 단계별 Urban Socioeconomic Metabolism과 도시안전의 Spatiotemporal 분석모델 개발 및 적용, 도시 확장시기의 도시계획체계 및 Urban Socioeconomic Metalism 고찰, Urban Socioeconomic Metabolism과 도시안전의 Metabolic Impact 및 Impact Mechanism 분석, Urban Socioeconomic Metabolism과 도시안전의 네트워크를 분석하고자 함. 이를 통해 분석모델이 개발 됨
    2·3차년도인 사회문제 해결모델을 통한 대안 도출연구는 저성장(인구감소) 시대와 초고령사회에 따른 도시계획 시나리오 생성, Urban Socioeconomic Metabolism과 도시안전 모델 시뮬레이션, Urban Socioeconomic Metabolism과 도시안전의 관계 시각화 및 정규화 과정을 거침
    장기과제인 사회문제 해결형 의사결정시스템 활성화연구는 저성장(인구감소) 시대, 초고령사회 대비 Urban Socioeconomic Metabolism 기반 도시계획 체계 및 의사결정지원시스템으로 구성됨
    1차년도 세부 연구주제는 도시 확장시기 도시성장 단계별 Urban Socioeconomic Metabolism과 도시안전의 Spatiotemporal 분석모델개발 및 적용임.
    본 연구는 도시 확장시기 도시성장 단계별 Urban Socioeconomic Metabolism과 도시안전의 Spatiotemporal 분석모델을 개발 및 적용하고자 함. 이를 위해 주요개념 정의 및 연구의 범위를 설정한 후 1) Urban Socioeconomic Metabolism, 2) 도시안전, 3) Urban Socioeconomic Metabolism-도시안전의 관계를 분석함
    대주제에 따른 소주제별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음
    소주제1 : 도시 확장시기의 도시계획체계 및 Urban Socioeconomic Metalism
    ○ 프로세스 설정 : 연구의 진행단계를 설정하며, 본 연구에서는 프로세스 분석과 개념모델 개발로 크게 분류하여 진행함
    ○ 도시계획의 체계 변화에 대한 공간별 시기별 유형화 : 선행연구 및 도시관련 계획, 도시의 연혁, 관련 법·제도 등을 검토하여 도시성장단계와 토지용도에 따른 공간별, 시기별로 구분함
    ○ 지표 구축 : 선행연구 및 사례조사를 통해 Urban Socioeconomic Metabolism과 도시안전의 지표를 도출함. Urban Socioeconomic Metabolism은 경제-사회적 시스템과 환경시스템으로 나누어 지표를 도출하였으며, 이 두 개의 시스템에 영향을 미치는 외부요인에 대한 지표를 추가로 선정함
    ○ 최종 지표 선정 : 수집된 지표는 FGI(Focus Group Meeting) 또는 전문가 델파이 설문을 통해 연구의 목적에 부합하는지에 대한 적합성을 평가하여 최종 선정을 함
    ○ Urban Metabolism의 framework 분석기법은 material flow, emergy(energy flow), ecological footprint analysis 등이 있음
    ○ Urban metabolism simulation 기법으로는 Ecological dynamics, Ecological network analysis, Input-output analysis, process analysis 등이 있음

    소주제2 : Urban Socioeconomic Metabolism과 도시안전의 Metabolic Impact 및 Impact Mechanism
    ○ Urban Socioeconomic Metabolism와 도시안전의 지표별 관계 분석 : 본 연구는 Urban Socioeconomic Mechanism과 도시안전을 구성하는 지표별영향관계를 분석하고자 함.
    - Urban Socioeconomic Metabolism : 경제사회시스템과 환경시스템의 영향관계를 분석하며, 각각의 외부요인을 함께 고려함
    - 도시안전 : 재해, 건강, 범죄 등과 같은 도시에서 발생하는 안전과 관련된 지표별 관계를 분석함
    - Urban Socioeconomic Metabolism – 도시안전 : Urban Socioeconomic Metabolism의 경제사회시스템과 환경시스템, 도시안전의 재해, 건강, 범죄 등의 지표간 관계를 분석함
    ○ Urban safety는 건강, 범죄, 환경, 재해 뿐 아니라 안전사고(인재)를 분석하고 이를 통합하여 평가할 수 있음
    ○ 분석기법으로는 Metabolic Impact Analysis, 구조방정식, 다중회귀분석, Ecological Network Analysis, Input-Output Analysis 등이 있음

    소주제3 : Urban Socioeconomic Metabolism과 도시안전의 네트워크 분석
    ○ Urban Socioeconomic Metabolism과 도시안전의 네트워크 분석 : Urban Socioeconomic Metabolism과 도시안전과의 관계(①각 부문을 구성하는 지표간의 Impact, ②지표 간의 Impact Mechanism) 에 대해 분석함
    네트워크분석은 1) Urban Socioeconomic Metabolism을 경제사회시스템과 환경시스템 및 외부요인과의 관계를 분석하며, 2) Urban Socioeconomic Metabolism과 도시안전을 구성하는 지표를 분석함
    ○ 분석기법으로는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과 베이지안 시뮬레이션이 있음
    ○ 그 외의 기법으로는 SNA(Social Network Analysis)와 ENA(Ecological Network Analysis) 등이 있음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도시를 하나의 유기체적 관점, 즉 메타볼리즘(metabolism)의 측면에서 지속가능한 개발의 관점에서 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활용하여 도시의 안전성을 평가하는 시도의 필요성에 의해 본 연구에서는 도시에서 발생하는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도시의 메타볼리즘에 대한 연구기획 및 모델 개발(프레임워크)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진행방법은 1) 도시 메타볼리즘과 도시 안전에 대한 선행연구를 통해 도시 지속가능한 메타볼리즘 구축에 대한 절차를 도출하고, 2) 이를 토대로 도시 지속가능한 메타볼리즘과 도시 안전에 대한 프레임워크를 도출하였다. 구체적으로, 기존 도시 메타볼리즘과 도시 안전에 대한 문헌 연구를 통해 각각의 개념을 정립하였다. 또한, 프레임워크 개발을 위해 필요한 분석절차를 고찰하였고, 이를 통해 구축한 프레임워크 별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 기획 및 모델 개발 별 연구 계획 내용으로 구분하여 다음과 같은 내용을 결과물로 내었다. 첫째, 연구 기획단계에서는, 도시 메타볼리즘과 도시 안전의 개념 정의를 실시하고 도시 안전성 평가를 위한 프레임워크 구축을 연구의 범위로 설정하였다. 둘째, 모델 개발단계에서는, 도시의 안전성 평가를 위한 원칙을 설정한 후 이를 바탕으로 평가 순서를 도출하였고, 도시의 메타볼리즘과 안전에 대한 각각의 지표(구성요소)를 도출하였으며, 지속가능한 개발과 순환형 메타볼리즘의 관점에서 도시 안전과의 관계를 고찰하였고, 마지막으로 지속가능한 도시 메타볼리즘을 활용한 도시의 안전성 평가 프레임워크를 구축하였다.
    본 연구에서 정리된 다양한 도시 안전과 도시 메타볼리즘과 관련된 연구는 향후 도시 안전을 통합적인 시각으로 바라볼 수 있는 매우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도시처럼 시공간적인 요소가 복잡하게 얽혀있는 장소의 특징에 걸맞게 도시 안전 현황을 이용하여 도시의 문제를 역으로 해석할 수 있는 가장 기초적인 자료 생산이 가능할 것이며, 이를 통해 기후변화로 인한 자연재해, 테러, 건강 문제 등을 공간적인 요소로 풀이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영문
  • Out of necessity to examine current status of cities from the perspective of an organism or metabolic aspect and from sustainable development and, by using it, to assess the safety of the cities, this study aimed to suggest research plan and model development (framework) on metabolism of sustainable cities as a tool to assess safety of the cities.
    Method of study process was 1) to draw out the procedure for the construction of metabolism of sustainable city though preceding studies on urban metabolism and urban safety and, based on this, 2) to draw out framework regarding metabolism of sustainable city and urban safety. Specifically, study established respective concepts on urban metabolism and urban safety through literature review on them. In addition, the study also explored analysis procedure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framework and, through this, drew out constituting factors by constructed framework.
    This study produced following results by classifying it into study plan and research plan by model development; first, in the study plan stage, this study defined the concepts of urban metabolism and urban safety and established 'construction of framework to assess urban safety' as the scope of the research. Second, in the model development stage, study drew out assessment order after establishing principles to assess safety of cities, drew out respective indices (constituting factors) for urban metabolism and safety,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sustainable development and urban safety in the perspective of cyclic metabolism and, lastly, established framework to assess the safety of the cities by utilizing sustainable urban metabolism.
    Various researches regarding urban safety and urban metabolism in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a very valuable basic material to view urban safety from an integrated perspective in the future. In addition, this study makes it possible to produce basic materials to interpret problems of the cities in reverse way by using the status of urban safety in ways to fit the characteristics of the city location where temporal and spatial factors are complexly entangled and, through this, this study can be used as data to solve natural disasters from climate change, terror and health problems with spatial factor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도시를 하나의 유기체적 관점, 즉 메타볼리즘(metabolism)의 측면에서 지속가능한 개발의 관점에서 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활용하여 도시의 안전성을 평가하는 시도의 필요성에 의해 본 연구에서는 도시에서 발생하는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도시의 메타볼리즘에 대한 연구기획 및 모델 개발(프레임워크)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진행방법은 1) 도시 메타볼리즘과 도시 안전에 대한 선행연구를 통해 도시 지속가능한 메타볼리즘 구축에 대한 절차를 도출하고, 2) 이를 토대로 도시 지속가능한 메타볼리즘과 도시 안전에 대한 프레임워크를 도출하였다. 구체적으로, 기존 도시 메타볼리즘과 도시 안전에 대한 문헌 연구를 통해 각각의 개념을 정립하였다. 또한, 프레임워크 개발을 위해 필요한 분석절차를 고찰하였고, 이를 통해 구축한 프레임워크 별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 기획 및 모델 개발 별 연구 계획 내용으로 구분하여 다음과 같은 내용을 결과물로 내었다. 첫째, 연구 기획단계에서는, 도시 메타볼리즘과 도시 안전의 개념 정의를 실시하고 도시 안전성 평가를 위한 프레임워크 구축을 연구의 범위로 설정하였다. 둘째, 모델 개발단계에서는, 도시의 안전성 평가를 위한 원칙을 설정한 후 이를 바탕으로 평가 순서를 도출하였고, 도시의 메타볼리즘과 안전에 대한 각각의 지표(구성요소)를 도출하였으며, 지속가능한 개발과 순환형 메타볼리즘의 관점에서 도시 안전과의 관계를 고찰하였고, 마지막으로 지속가능한 도시 메타볼리즘을 활용한 도시의 안전성 평가 프레임워크를 구축하였다.
    본 연구에서 정리된 다양한 도시 안전과 도시 메타볼리즘과 관련된 연구는 향후 도시 안전을 통합적인 시각으로 바라볼 수 있는 매우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도시처럼 시공간적인 요소가 복잡하게 얽혀있는 장소의 특징에 걸맞게 도시 안전 현황을 이용하여 도시의 문제를 역으로 해석할 수 있는 가장 기초적인 자료 생산이 가능할 것이며, 이를 통해 기후변화로 인한 자연재해, 테러, 건강 문제 등을 공간적인 요소로 풀이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에서 정리된 다양한 도시 안전과 도시 메타볼리즘과 관련된 연구는 향후 도시 안전을 통합적인 시각으로 바라볼 수 있는 매우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도시처럼 시공간적인 요소가 복잡하게 얽혀있는 장소의 특징에 걸맞게 도시 안전 현황을 이용하여 도시의 문제를 역으로 해석할 수 있는 가장 기초적인 자료 생산이 가능할 것이며, 이를 통해 기후변화로 인한 자연재해, 테러, 건강 문제 등을 공간적인 요소로 풀이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도시 메타볼리즘, 도시 안전, 지속가능한 개발, 프레임워크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