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한국형 인재양성 모델 및 전략의 세계적 확산과 공유(국·영문 출간)
Diffusing and Sharing the Korean Models and Strategies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Research Book Series: Published in Korean and English)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인문사회연구분야 토대기초연구지원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5S1A5B4A01037135
선정년도 2015 년
연구기간 3 년 (2015년 09월 01일 ~ 2018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이명석
연구수행기관 성균관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박성민(성균관대학교)
유희정(성균관대학교)
조민효(성균관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전후 반세기 동안 한국은 압축적인 경제·사회발전을 이루고, 자유민주주의를 실현하며 세계 10대 경제 강국의 반열에 오르게 되었다. ‘한강의 기적’이라 불리는 경제발전은 사람에 대한 투자가 바탕이 됐으며, 한국은 인적자원개발의 힘이 세상을 바꿀 수 있다는 신념을 보여준 국가이다. 전쟁의 폐허와 빈곤의 악순환 속에 원조를 받던 최빈국에서 공여국으로 탈바꿈한 한국의 성공사례는 많은 개발도상국들의 희망이 되고 있다. 이러한 한국의 경제성장을 견인한 요인에는 정치 리더십, 강인한 국민성, 풍부한 노동력, 수출주도 경제정책 등이 있겠지만, 그 중 우수한 인적 자원을 빼놓을 수 없을 것이다. 특히, 국민의 높은 교육열에 힘입어 고등교육을 받은 우수한 인적자원이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에 충분히 공급되었고, 정부 또한 산업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기능 인력을 양성하고, 경제발전을 기획하고 선도할 공무원의 교육훈련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한국은 국가인적자원개발(NHRD)에 대한 개념적인 논의나 정책 실행과정에서 어떤 나라보다도 앞서가는 국가라고 할 수 있다. 1960년대 이후 인적·물적 자원 중심의 경제개발시대에는 교육기회 확대 등을 통한 양질의 인력공급이 경제성장의 견인차 역할을 했다. 특히 개방화·다양화 및 자율화를 신장시키는 방향으로 교육개혁이 이루어져 왔으며, 현재 21세기 지식강국을 실현하기 위한 OECD 국가수준의 교육여건 개선 등 공교육 내실화 및 대학경쟁력 제고, 범정부 차원의 인적자원개발 체제 구축을 중점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해외 NHRD 전문가들은 실제로 한국의 NHRD 사례연구에 주목을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국제적 관심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그동안 진행되어온 한국의 NHRD에 대한 국내학자들의 학문적 관심과 이론화 노력은 상대적으로 미흡한 수준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과거의 한국형 인적자원개발(인재양성) 모델 및 전략에 대해 학문적 체계성과 종합성 관점에서 분석·평가하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한국형 인재양성 모델 및 전략을 모색할 시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난 반세기 동안 한국의 인재양성이 어떠한 환경적 요인들을 통해 변화·발전해 왔는지 살펴봄과 동시에 인재개발과 국가발전과의 정합성을 종단적이고 통합적이며 학문적 객관성의 관점에서 경제발전 단계별 그리고 공공 및 민간 영역별로 체계적인 분석을 하고자 한다. 이를 토대로 한국형 인재양성의 모델과 전략을 체계적으로 분석해서 총서화하는 작업은 그 자체로서도 중요성이 클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정치·경제·사회·문화 발전의 원동력이 되었던 인적 자원을 심층적으로 분석한다는 점에서 매우 의미 있다고 하겠다. 또한 본 총서화 작업은 인적자원개발 및 관리 분야의 전문가 및 학자들에게 중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연구 활동을 자극할 것이다. 특히, 한국의 발전과정을 모범사례로 삼고 벤치마킹하면서 정부역량 강화를 다각적으로 도모하고 있는 개발도상국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더 나아가 과거의 인재양성에 대한 실제를 분석함으로써 한국형 인재양성 모형과 전략을 도출하여 공유·확산하는 차원에서 나아가 앞으로 21세기 한국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필요한 인재양성 모형과 전략을 제안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한국형 인재양성 모델 및 전략의 세계적 확산과 공유’ 연구는 최근 대두하고 있는 NHRD에 대한 통합적 자료를 제공함으로서 한국형 인재양성 모델의 확산과 공유를 도모하는 사회적 기여를 이끌어 냄과 동시에 연구 및 교육 부분에 있어서도 그 기대효과를 가진다. 본 연구의 사회적 기여도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형 인재양성 모델의 통합적 제시는 한국의 인적자원개발 정책자료 산출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될 것이다. 둘째,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한국형 인재양성 모델 및 전략을 바탕으로 한 개인적 차원에서의 창의성과 인성을 배양하는 교육으로 인적 자원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것이다. 셋째, 제시된 모델을 바탕으로 인적자원개발의 기회를 확대하고, 시장실패가 작용한 부분에 대한 정부의 지원과, 취약계층의 직무교육에 대한 정책을 촉진함으로써 국가 내 화합을 이루어 낼 수 있고, 균형 있는 국가 발전을 이룰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넷째, 한국형 인재양성 모델을 개도국에 전수함으로써 개도국 국가발전의 새로운 희망과 비전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학술적 차원에서 본 연구의 기대효과는, 첫째 한국형 국가인적자원개발 모델 연구의 장을 열게 될 것이다. 둘째, 현실에 기반을 둔 한국형 인재개발 모델 연구의 특성을 극대화한 산학 공동연구를 촉진할 수 있다. 셋째, 이러한 연구기반의 확대는 한국형 인재양성 모델 연구의 양적·질적 확대로 이어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연구에서는 한국형 인재양성 모델의 함의와 성과를 개도국에 전수함으로써 한국형 인재양성 모델 연구의 국제적 확산을 촉진할 것이다. 한국형 인재양성 모델은 세계적으로도 주목할 만한 성장을 경험하고 있음에도 연구의 국제적 확산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한국형 인재양성 모델에 관한 국·영문서 발간과 이를 활용한 다양한 연구들은 한국의 인재양성 모델 사례를 국내·외로 소개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한국형 인재양성 모델 및 전략’ 연구는 현재 국내 행정학, 정책학, 경제학, 경영학, 인재개발학, 교육학, 사회학 분야에서 중요하게 논의되는 과제이다. 인재양성의 중요성이 부각됨에 따라 인재를 양성하는 것 역시 인적자원개발 분야의 학문의 지속적 발전을 위해 필수적 부분으로 떠오르고 있다. 한국형 인재양성 모델 관련 교육 분야는 앞서 언급한 것처럼 사회과학 분야 전반을 통섭할 뿐 아니라 연구자, 교육훈련 담당자, 교육 정책 전문가 등 학계 및 실무 인재양성 사업에서도 그 중요성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 정리될 총서는 인적자원개발의 연구 및 교육을 위한 교재 마련의 필요성에 부합하고, 국가인적자원개발 이론과 정책 및 제도의 실제를 소개하며, 관련 분야 학자 및 연구자 그리고 정책입안자 등을 위해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국가인적자원개발(NHRD) 시각에서 과거 50년 간 국가 인력양성 정책과 실행 사례들을 종단적이고 다면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내용은 첫째, 산업화 이후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공공부문 및 민간부문의 한국형 인재양성 모델을 시계열적으로 비교·분석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21세기의 국가인적자원개발은 과거의 전략에 대한 반성을 바탕으로 인적 자원 중심의 새로운 국가경쟁력 제고 전략이 필요한 시점이다. 국민의 기초학력 수준, 소질·적성에 맞는 교육 보장, 세계적 수준의 고급인력 양성, 평생학습체제를 기반으로 하는 인적자원개발 및 지식 인프라 구축이 정부의 핵심기능으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외부환경에 따른(경제적·정치적·사회적·기술적·글로벌 환경) 한국형 인재양성 모델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를 조명하여 공무원의 역량제고 및 국가주도형 민간인재 양성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둘째, 한국형 인재양성 모델의 효과성 및 효율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평가는 인적자원개발의 책무성을 담보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활동이며, 인적자원개발 활동의 마무리이면서 동시에 첫걸음이다. 교육의 과정과 결과에 대한 정보를 확보함으로써 더 효과적으로 프로그램을 설계·개발하고 개선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제고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한국형 인재양성 모델이 실질적인 가치를 창출하고 국가발전에 기여하는 전략적 활동임을 증명하기 위해서 평가 모형을 가지고 과거 한국의 인재양성 정책과 실행의 효과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셋째, 한국형 인재양성 모델의 교훈과 시사점을 개발도상국이 활용할 수 있도록 연구자는 개발도상국이 지니고 있는 제도, 문화, 역사적 맥락을 고려하고 집권형‧분권형‧시장형‧변환형으로 분류한 기존 연구모형들을 토대로 한국형 발전적 인력양성 모델을 보완·개발함과 동시에 인력양성 효과성 평가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종합하면, 1차년도에는 공공부문을 둘러싸고 있는 외부환경을 중심으로 공공부문의 개인, 조직, 시장, 국가 차원의 시기별(도입기, 발전‧개선기, 성숙‧확산기, 공유기) 인력양성 정책과 실행을 분석하고 각 차원의 효과성 분석을 실시한다. 2차년도에는 동일한 분석모형과 방식을 적용하되 그 대상을 공공부문이 아닌 민간부문, 특히 경제발전에 중추적인 역할을 했던 산업인력과 과학기술인력 등의 인재양성을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3차년도에는 1차년도와 2차년도에 분석된 한국형 NHRD 모델과 효과성 평가 결과를 토대로, 국가발전전략 정합성 제고 차원에서 개도국의 특수한 경제·정치·사회·기술·글로벌 환경 등을 고려한 적실성 높은 인재양성 모델을 개발하고, 실무적 차원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국가주도형 인적자원개발 실행 매뉴얼 북을 제작하여, 관련 개도국 및 국제기구 등과 공유한다. 또한 1차년도와 2차년도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보다 바람직한 미래 한국 인재양성 모델을 제안함과 동시에, 인재양성 국가 정책의 효과성을 평가할 수 있는 모델을 제안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총서는 한국의 인적자원개발의 모델 및 전략을 탐색하고, 세계적으로 확산 및 공유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발간되었다. 본 연구는 지난 반세기 동안 한국의 인재양성이 어떠한 환경적 요인들을 통해 변화·발전해 왔는지를 검토하였으며 경제발전 단계별로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의 한국 인재양성의 변화상을 살펴보았다. 또한 한국의 역대 인재양성 정책의 개인차원, 조직차원, 국가차원에서의 기여점을 분석하였다. 총 3권으로 발간된 본 총서는 각각 다음과 같은 내용을 다루었다.
    제1권에서는 공공부문의 교육환경, 교육훈련기관, 교육훈련프로그램, 교육훈련 효과성이 박정희 정부부터 이명박 정부까지 정부별로 구분하여 분석되었다. 구체적으로 공공부문의 교육훈련 환경에서는 정치적 환경, 경제적 환경, 사회·문화적 환경, 법·제도적 환경, 기술·글로벌 환경으로 나누어 공공부문의 교육환경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환경적 요인들이 검토되었다. 교육훈련 기관에서는 중앙인재양성기관인 중앙공무원교육원(現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을 중심으로 교육훈련규정 및 체제와 기관의 조직구조, 예산, 인력이 분석되었다. 공무원 교육훈련프로그램에서는 정부별로 공직가치교육과 직무교육으로 구분하여 공공부문의 교육훈련프로그램의 변화와 성과가 분석되었다.
    제2권에서는 민간부문의 인재양성으로 연구의 범위를 한정하였고, 민간부문의 인재양성을 산업 부문, 과학기술 부문, 공기업 부문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각 부문에 대한 분석 결과는 인재양성의 환경, 기관, 프로그램으로 구분되어 정부별로 제시되었다.
    제3권은 본 연구 결과의 세계적 확산과 공유를 위해 총서 제1권과 제2권의 주요내용을 압축적으로 제시한 영문 총서로, 한국형 인재양성 모델의 교훈과 시사점을 개발도상국들이 국가발전을 위해 충분히 활용하게 할 목적으로 발간되었다.
  • 영문
  • This document is published with the aim of exploring the model and strategy of human resources development in Korea, and spreading and sharing it globally. This study reviewd how Korea's human resources development has changed and developed over the past half century and analyzed the changes in the Korean human resources development in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by stages of economic development. It also analyzed the individual, organizational, and national contributions of Korea's past human resources development policies. The series, published in a total of three volumes, addressed each of the following:
    In the first volume, the educational environment, education and training institutions,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and education and training effectiveness of the public sector were analyzed by the government from the Park Jung-hee government to the Lee Myung-bak government. Specifically, the education and training environment of the public sector was divided into political,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s, legal and institutional environments, and technical and global environments to examine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that could affect the educational environment of the public sector. In education and training institutions, the organization structure, budget, and manpower of education and training regulations and institutions were analyzed, centering on the Central Institute of Public Education (formerly the National Institute of Public Officials Redevelopment). In the public service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changes and achievements were analyzed in the public sector's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divided by government into public office value education and job education.
    The second volume limited the scope of research to the cultivation of talents in the private sector, and analyzed the cultivation of talent in the private sector by dividing it into industry, science and technology, and public enterprises. The analysis results for each sector were presented by the government, divided by the environment, institution, and program of human resources development.
    The third volume is an English version that comprehensively presents the major contents of the first and second volumes for spreading and sharing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globally, with the aim of making full use of the lessons and implications of the Korean model for human resources development in developing countrie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총서는 한국의 인적자원개발(인재양성)의 모델 및 전략을 탐색하고, 세계적으로 확산 및 공유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발간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지난 반세기 동안 한국의 인재양성이 어떠한 환경적 요인들을 통해 변화·발전해 왔는지를 검토하였으며 경제발전 단계별로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의 한국 인재양성의 변화상을 살펴보았다. 또한 한국의 역대 인재양성 정책의 개인차원, 조직차원, 국가차원에서의 기여점들을 분석하였다. 총 3권으로 발간된 본 총서에서는 각각 다음과 같은 내용을 다루었다. 제1권에서는 공공부문의 교육환경, 교육훈련기관, 교육훈련프로그램, 교육훈련 효과성이 박정희 정부부터 이명박 정부까지 정부별로 구분하여 분석되었다. 제2권에서는 민간부문의 인재양성으로 연구의 범위를 한정하였고, 민간부문의 인재양성을 산업 부문, 과학기술 부문, 공기업 부문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제3권은 본 연구 결과의 세계적 확산과 공유를 위해 총서 제1권과 제2권의 주요내용을 압축적으로 제시한 영문 총서로, 한국형 인재양성 모델의 교훈과 시사점을 개발도상국들이 국가발전을 위해 충분히 활용하게 할 목적으로 발간되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총서는 총 3권으로 발간되며 학문적, 교육적, 사회적으로 다음과 같은 기여 및 활용이 기대된다.

    1. 학문적 기여 및 활용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을 아우르는 한국형 국가인적자원개발 모델 연구를 국제적 수준에서 촉진
    -현실에 기반을 둔 한국형 인재개발 모델 연구의 특성을 극대화한 산학 공동연구 촉진
    -연구기반의 확대를 통한 한국형 인재양성 모델 연구의 양적·질적 확대에 기여

    2. 교육적 기여 및 활용
    -인적자원개발 분야의 실무전문가와 연구후속세대 양성에 기여
    -인적자원개발에 관한 양적·질적 연구를 통해 연구 후속세대 양성 및 연구 분야 확산에 기여
    -한국형 인재양성 모델 및 전략의 확산과 공유를 통해 인적자원개발 연구에 관심 있는 대학원생, 교수, 연구자들에게 양질의 자료 제공

    3. 사회적 기여 및 활용
    -한국형 인재양성 모델을 객관적으로 이해하고 통합적 정책을 개발할 수 있는 기초자료 제공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모델을 기반으로 하여 지식기반사업이 필요로 하는 인재육성 정책개발에 기여
    -인적자원개발의 기회를 확대하고, 시장실패가 작용한 부분에 대한 정부의 지원과, 취약계층의 직무교육에 대한 정책을 촉진함으로써 균형 있는 국가 발전에 기여
    -한국형 인재양성 모델을 개도국에 전수함으로써 개도국 국가발전의 새로운 희망과 비전 제시
  • 색인어
  • 한국형 인재양성 모델, 인적자원개발, 국가인적자원개발, 전략적 인적자원개발, 공무원 교육훈련, 산업 인재양성, 과학기술 인재양성, 공기업 인재양성, 중앙공무원교육원,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 한국산업인력공단, 한국직업능력개발원,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국가과학기술인력개발원, 한국전력공사, 한국도로공사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