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결과: ▶ 문헌연구를 통해 국내외 치매예방 제도, 서비스 전달체계 등 관련 선행연구 조사 1.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건강보험공단, 통계청 등 연구보고서, 정책 자료, 통계자료 등의 국내외 유관 자료를 검토함
2. OECD, WHO, 해외 연구기관 등의 연구 자 ...
연구 결과: ▶ 문헌연구를 통해 국내외 치매예방 제도, 서비스 전달체계 등 관련 선행연구 조사 1.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건강보험공단, 통계청 등 연구보고서, 정책 자료, 통계자료 등의 국내외 유관 자료를 검토함
2. OECD, WHO, 해외 연구기관 등의 연구 자료를 통해서 치매예방 통합서비스 지원체계 발달 동향, 이론적 배경 및 유사 사례를 수집함 3. 선진국의 치매 노인을 위한 통합적 서비스 제공체계를 분석(싱가포르, 영국, 네덜란드, 미국)하여 우리나라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함
▶ 사례연구: 치매예방 서비스 지원체계 지역 사례 모델 분석
● 용인시 지역 치매예방 통합서비스 분석: 지역 치매 현황 파악, 용인시 치매상담센터 연혁 파악, 용인시 치매상담센터 사업 분석, 치매관련 특화사업(치매행복마을 시범사업) 분석 등을 통한 사례 연구지역의 치매예방사업의 한계점을 지적하고 아젠다를 발굴함
▶ 설문조사: 사례 연구 지역 거주 주민, 서비스 제공자 등 대상 설문조사 실시 1. 치매예방 서비스 이용자 대상 설문조사 실시: 사례연구 지역(수원, 용인)에서 치매예방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용자 및 이용자 가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함. 치매예방사업 전달체계의 문제점으로 치매예방사업 관련 정보 부족, 전달체계 간 협력 및 네트워크 부족을 가장 큰 문제점으로 꼽음. 치매예방 서비스의 개선점으로는 노인요양서비스 등 치매환자에 대한 서비스 확대, 치매 조기개입 체계 기능 강화, 치매환자를 위한 보건복지 서비스 연계 강화의 순으로 시급하다고 응답함. 조사대상자 중 치매예방과 관련하여 교육을 수료한 경우는 7.6%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남. 치매치료의 지연 이유에서 도움을 받기 위해 어디로 가야할지 몰라서에 ‘그렇다’라고 응답한 경우가 68.9%이었으며, 치료비가 많이 들것이라고 생각한 경우도 78%에 해당함. 치매예방과 초기 조기 개입 서비스에 대한 적극적 홍보 및 정보 제공이 필요함
2. 치매예방 서비스 제공자 대상 설문조사 실시: 사례연구 지역(수원, 용인)에서 치매예방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146명이 조사에 참여함. 치매예방사업 전달체계의 문제점으로 전달체계간 협력 및 네트워크 부족, 치매 관련 전문가 부족, 치매예방사업 관련 정보 부족, 일회성 사업 위주의 대처 등의 순으로 문제점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남. 치매예방 서비스 전달체계의 개선점으로는 치매 조기개입 체계 기능 강화, 치매환자를 위한 보건복지 서비스 연계 강화, 노인요양서비스 등 치매환자 서비스 확대의 순으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인식함. 치매조기검진, 치매예방습관, 치매파트너즈 양성, 치매전문병동 운영 등 치매관리기본계획에 대한 서비스 제공자들의 지식이 전반적으로 높지 않게 나타나 서비스 제공자들의 치매관련 국가의 기본계획 내용 숙지 수준이 높지 않은 것으로 확인됨. 서비스 이용자들에게 정보를 제공해야하는 일선 담당자들에 대한 정보 제공 관련 교육이 필요함
▶ 간담회 및 자문회의: 사례 연구 지역 주민, 공공 및 민간 서비스 제공자, 전문가 의견 수렴 1. 사례연구 지역 주민을 초청하여 간담회를 열고 지역주민이 원하는 치매관련 예방서비스에 대한 의견을 수렴함. 언론매체를 통한 홍보 등으로 치매예방의 필요성은 충분히 인식하고 있으나 막연한 두려움과 치매의 치료가 불필요하고 완치가 불가능한 질환이라는 부정적 인식이 높은 편임. 치매가 의심될 때 어떻게, 무엇을 해야 하고, 어디를 가야하는지 알지 못하여 막막하다는 의견이 많았음 2. 사례연구 지역의 치매예방 관련 전문가 및 연구자를 초청하여 자문회의를 개최하여 공공 및 민간 통합서비스에 대한 의견을 수렴함. 시설에서 거주하는 정신장애인이 노인이 되어 치매가 의심되는 경우 기존의 정신병과 인지기능의 저하를 구분하여 진단검사하기 어려워 치매 진단을 받지 못하여 정신요양원에서 계속 수용하고 있음
활용 방안: 본 연구는 연속성과 통합성을 갖춘 지역 기반 서비스 지원체계 구축과 관련된 요인들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를 통해서 보다 효과적인 치매예방 환경 구축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함. 초고령사회 대비 치매예방을 위한 지역사회 통합서비스 지원체계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 및 이론적 근거를 제공함. 치매예방을 위한 사회서비스 및 보건의료서비스의 통합 모델 구축 방안을 제시함. 지역사회 기반 서비스 전달체계의 효과성 및 효율성 제고를 위한 관련 이론 및 제도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