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차별 중점연구내용]
<1차년도>
○ 척도 타당성 연구 및 측정/평가 도구 프로토타입 개발
- 노인의 인지, 정신, 신체, 관계, 삶의 의미 영역을 통합한 평가척도의 타당성 연구
- 통합적 노인건강 평가시스템 설계 및 서비스 플랫폼 프로토타입 구축
<2차년도>
○ 통합적 ...
[연차별 중점연구내용]
<1차년도>
○ 척도 타당성 연구 및 측정/평가 도구 프로토타입 개발
- 노인의 인지, 정신, 신체, 관계, 삶의 의미 영역을 통합한 평가척도의 타당성 연구
- 통합적 노인건강 평가시스템 설계 및 서비스 플랫폼 프로토타입 구축
<2차년도>
○ 통합적 노인건강 평가시스템 개발
- 노인의 인지, 정신, 신체, 관계, 삶의 의미 영역을 통합한 평가척도 간 연관성 연구(wave 1)
- 통합적 노인건강 측정 평가를 위한 S/W 측정평가 시스템(I-BUS) 개발
<3차년도>
○ 노인건강 평가시스템(I-BUS)을 통한 노인건강 척도 표준화 및 실용성 검증
- 노인건강 평가척도 간 연관성 연구(wave 2)
- 노인건강 척도 표준화 및 개인별 맞춤형 평가
- I-BUS 평가시스템 확장 및 플랫폼 고도화를 통한 실용성 검증
- 통합적 노인건강 진단, 평가, 처방을 핵심내용으로 다루는 교과목 개발
<4차년도>
○ 노인건강 평가시스템(I-BUS) 상용화 연구
- 노인건강 평가척도 간 연관성 연구(wave 1, 2, 3)
- I-BUS 사용 매뉴얼 및 개인 프로그램 매뉴얼 제작
- I-BUS 사용성 평가 및 시범 서비스
- 노인건강 전문가 양성 방안 구상(예: 자격증 제도)
<5차년도>
○ I-BUS 활용방안 및 사업화 연구
- I-BUS 평가시스템 및 개입 프로그램에 대한 현장 적용사례 분석, 활용방안 연구
- I-BUS 평가시스템 실증서비스 및 상용화
- 노인건강 관련 연구소, 협회, 학회 구성 추진
[연구방법]
○ 평가 영역: 신체적, 정신적, 인지적, 관계적, 삶의 의미 등 5개 영역.
○ 평가 방법: 자기보고식 주관적 평가척도, 평정자에 의한 객관적 신체능력 평가척도, 측정장치(EEG, ECG, 맥파)에 의한 객관적 평가척도로 구성.
○ 측정 절차: 1차년도에 각 평가영역에 대한 파일롯(pilot) 분석(150명)을 토대로 평가척도를 개발 확정, 메인 데이터(main data)는 1일 3명 측정기준으로 1차년도 200명(Wave 1), 2차년도 600명(Wave 2), 3차년도 600명(Wave 3), 총 1,400명을 누적하여 표준화 연구에 반영, 1명 측정시간(설문지, 뇌파 및 결과 설명 등)은 최소 2시간 소요.
- 완성된 표준화 평가시스템(I-BUS)을 이용하여 전국 노인관련시설 이용자를 대상으로 실증 데이터를 4~5차년도 700명 측정(Wave 4), 표본은 노인의 남녀 구성비를 고려.
○ 연구대상: 1~2차년도(파일롯, Wave 1, 2)는 광주광역시 ‘빛고을 노인건강타운’과 ‘고령친화종합체험관’ 이용 노인 대상, 3차년도(Wave 3)에는 전국 노인관련 4대 체험관(광주 고령친화종합체험관, 성남 고령친화종합체험관, 대구 시니어체험관, 부산 고령친화산업지원센터) 이용자를 표본에 포함시킬 계획임.
○ 측정도구 및 평가척도: 표준화 전 1~3차년도(Wave 1, 2, 3) 동일, 4~5차년도(Wave 4)는 표준화된 평가시스템(I-BUS)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측정 및 평가할 수 있음.
- 주관적 평정척도: 일반적 인구사회학적 정보를 묻는 질문과 신체적 건강상태, 우울 정도, 배우자, 가족, 친구, 사회적 관계, 삶의 의미 등 측정/평가를 목표로 함.
- 객관적 신체능력 평가척도: 낙상위험도, 근력, 균형력 등 측정/평가를 목표로 함.
- 뇌파에 의한 평가척도: 고유리듬피크에 의한 인지기능, 좌ㆍ우뇌 비대칭, 집중력, 기억력, 반응속도, 정신부하도, 우울 등.
- 심전도에 의한 평가척도: HRV 분석으로 자율신경계 균형, 스트레스 조절력 등의 평가.
[활용방안]
1.학문적 기여도
○ 노인의 인지적, 정신적 주관적 평가도구와 더불어 뇌기능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뇌파(EEG), 인체 스트레스 정도를 파악할 수 있는 심박변이도(HRV)와 같은 전기신경생리학적 평가 도구 그리고 신체적 행동평가 도구를 융합한 통합적 노인건강 평가 방법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예방적 노인건강관련 분야의 융합적 연구 활성화에 기여.
○ ICT 기술과 뇌과학 기술을 융합한 연구는 신규 연구분야 개척 및 응용기술 개발에 기여.
2. 사회적 기여도
○ 지역사회에서 노인들이 여가활동을 위해 주로 활용하는 노인건강타운과 같은 노인 복지시설에 대한 평가시스템 보급을 통하여 해당 지역단위 시설의 활용성 제고에 기여.
○ 고령사회의 노인 건강에 대한 통합적(인지적, 정신적, 신체적, 관계적, 삶의 의미적) 평가시스템을 통하여 좀 더 과학적이고 편리한 접근을 유도하고, 자기관리를 통한 사회적 기회비용 절감에 기여.
3. 인력양성 및 교육과의 연계 활용 방안
○ 학문후속세대들이 노인복지학, 신경의학, 체육학, 뇌과학, 정보통신공학, 통계학 등이 융합된 연구에 참여하여 다학제적 접근의 중요성과 실제적인 운영전략 등을 체험함으로써 실천적 지식의 습득과 교육에 기여.
○ 고령사회를 맞이하여 노년층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이에 필요한 전문적 지식 및 기술에 대한 노하우를 습득함으로써 통합적 노인건강 전문인력 및 지도자 양성에 기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