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가상체험공간 구현 및 인터랙티브 교육콘텐츠 저작기술 개발을 통한 우리 전통춤의 현대적 경쟁력 강화 연구
A Study on the Competitiveness Reinforcement of the Korean Traditional Dance with the Development of VR based Interactive Korean Traditional Dance ExperienZone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학제간융합연구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6S1A5B6914029
선정년도 2016 년
연구기간 1 년 (2016년 09월 01일 ~ 2017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김운미
연구수행기관 한양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연구목표
    본 연구는 총체적 민족예술의 원형을 내포하고 있는 무형유산 중 하나인 우리 전통춤의 창조적 계승과 학술적‧교육적‧산업적 가치를 재발견하기 위하여 예술‧인문‧공학‧경영의 융합연구를 통해 전통춤 가상체험공간 구현 및 인터랙티브 교육콘텐츠 저작기술을 개발하고, 현대적 가치를 반영한 경쟁력 있는 전통문화 예술 콘텐츠로서 비즈니스 전략모델을 제시하는 것을 최종 목표로 한다.

    세부목표
    ‣ 전통춤의 수용자 및 가치전달체계 대한 연구: 전통춤의 현대적 역할 및 가치 정립
    ‣ 전통춤 가상체험공간 (가칭: KTDE-Interactive Korean Traditional Dance ExperienZone) 기술 개발
    ‣ 전통춤 교육 콘텐츠 및 인터랙티브 기술개발
    ‣ 전통춤 콘텐츠의 교육적 효과 검증을 위한 문화UX 측정지표 개발 및 표준화
    ‣ 전통춤 가상체험공간 비즈니스 전략모델 연구
  • 기대효과
  • 학문적 측면
    원형보존 및 지원정책 위주의 연구에 치중해왔던 우리 전통문화예술에 대한 기존의 관점을 탈피하여 대중들이 직접 전통문화를 체험하고 향유할 수 있는 인터랙티브 중심 콘텐츠로의 전환에 관한 연구를 통해 우리 전통문화 및 전통춤에대한 현대적 가치를 이론적으로 재정립한다. 무용, 공학, 교육, 인문, 경영 분야를 연계한 융합적 연구를 통해 전통춤의 현대적 가치를 적극 반영한 전통춤 콘텐츠를 개발하고 나아가서 미래형 융복합 신문화산업의 핵심 아이템으로 부각시키는 활용방안을 마련한다.

    기술적 측면
    우리 전통문화예술 체험을 위한 가상 전통춤체험공간 및 교육콘텐츠 저작기술을 개발을 통해 문화예술 콘텐츠의 사업화에 대한 새로운 활력을 모색할 수 있다. 또한 전통춤 콘텐츠의 교육적 효과 검증을 위한 문화UX 측정지표 개발 및 표준화 기반구축은 전통문화 산업의 비즈니스 모델 활성화에 기여하고 문화예술 연관 콘텐츠 업계와의 선순환 기반을 마련할 것이다. 개발단계에서부터 예술, 인문학, 공학, 경영학과의 밀접한 융합연구를 통해 우리 전통춤의 DNA라 할 수 있는 ‘신명’적 요소와 국내외 향유자들의 니즈를 반영한 최적의 전통문화예술 콘텐츠는 선진 융합 콘텐츠로서 향후 국악, 전통놀이 등으로 확대 적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향후 새싹형 과제로서 ‘관객 참여형 전통춤 문화체험 키오스크(Kiosk) 상품화’ 연구의 토대를 마련할 수 있다.

    교육적 측면
    첨단 CT기술과 결합한 전통문화예술 콘텐츠는 외국인 관광객들은 물론, 전통문화예술에 대한 관심을 갖고는 있었지만 시간적, 물리적 거리 혹은 경제적 비용의 제약으로 인하여 스스로 체험에 뛰어들기를 꺼려하고 있던 수많은 내국인들에게 까지 어필이 가능할 것이며, 초등‧중학교 예체능 수업 등과도 접목가능하기에 교육적 활용방안은 무한하다 할 수 있다. 몰입감과 실재감이 더해진 가상체험공간에서 상호 호흡하는 전통춤을 배움으로써 ‘신명’과 ‘한’으로 표출되는 춤동작에 내재된 역사적‧정서적 배경을 체득하고 우리의 전통문화를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교육콘텐츠로서 활용될 수 있다.

    인재양성적 측면
    본 연구에 참여하는 연구진 외 박사과정생들은 무용, 예술경영, 공학, 아트테크놀로지 계열의 다양한 전공자들로 구성되어 자신의 분야를 넘어서서 다양한 학문분야 교류하여 융합연구의 방법론을 터득하고 향후 융합연구 아젠다를 발굴하고 연구를 주도할 수 있는 융합형 인재로 성장 할 수 있을 것이다.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우리 전통문화예술 및 전통춤에 대한 가치를 재조명하고 첨단 과학기술의 흐름에 대중들이 직접 전통문화를 체험‧향유할 수 있는 전통춤 가상체험공간 구현 및 인터랙티브 교육콘텐츠 저작기술을 개발하여 전통춤의 현대적 경쟁력을 강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통춤 원형 보존에 대한 중요성만 강조한 기존의 전통문화 전달체계에 대한 문제점을 고찰하고 개선방안을 연구하여 한국 전통문화유산으로서의 전통춤에 대한 위상강화와 기존 전통춤이 가지고 있던 고루하다는 인식을 현재 진행형의 유가치한 문화유산으로 인식전환의 기틀을 마련하기 위한 연구를 한다. 단순히 기술 및 콘텐츠 개발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예술‧인문‧공학‧사회과학의 연구자들이 밀접하게 교류하여 상호지식 및 연구결과를 반영하여 전통춤 가상체험공간 구현 및 인터랙티브 교육콘텐츠의 미래형 비즈니스 모델을 설계하는 것을 최종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연구내용은 세 가지로 대별된다.

    1) 전통춤 콘텐츠의 수용자 및 가치전달체계에 관한 연구
    ▪ 전통문화 및 전통춤에 대한 ‘인식’ 조사연구
    ▪ 전통문화 및 전통춤에 대한 가치 재정립 및 이론화
    ▪ 전통춤의 정성적/정량적 분석(강강술래, 장고춤, 승무)
    ▪ 전통춤 콘텐츠의 현황 및 사례연구

    2) 전통춤 가상체험공간 구현 및 인터랙티브 교육콘텐츠 저작기술 개발 연구
    ▪ 전통춤 가상체험공간 기술개발 (가칭: IKTDE - Interactive Korean Traditional Dance ExperienZone)
    - 몰입형 5면 프로젝션시스템과 2명 이상의 동시경험이 가능
    - 기존 HMD에 비하여 착용자의 활동성을 보장할 수 있는 보급형 5면사용 가상현실 시스템 구현을 위한 장비 및 기술개발
    ▪ 전통춤 교육 콘텐츠 및 인터랙티브 기술개발
    - 사용자 인식 및 추적을 위한 인터랙션 노드 제작 및 연동 기술개발
    - 구축된 IKDTE 가상현실 공간에서 구동되는 전통춤 체험콘텐츠 개발:강강술래, 장고춤, 승무 포함
    - 사용자 인터랙션과 콘텐츠의 synchronization 기술 개발
    - 무선 데이터글러브와 웨어러블패치를 통한 실시간 피드백 기술 개발
    ▪ 전통춤 콘텐츠의 교육적 효과 검증을 위한 문화UX 측정지표 개발 및 표준화
    - 문화UX 경험품질 (XQI: User Experience Quality Index) 측정 및 평가방법 연구
    - 개발된 문화UX 경험품질을 통하여 전통춤 콘텐츠 평가 수행
    - 문화UX 경험품질 표준화 기반 타전통문화상품의 총체적 경험 향상을 위한 가이드라인 개발

    3) 전통춤 가상체험공간 비즈니스 전략모델 연구
    ▪ 무형 전통유산 체험형 콘텐츠 현황 조사 및 SWOT 분석
    ▪ 해외 전통문화 마케팅 및 문화체험공간 선진사례 연구
    ▪ 내‧외국인 대상별에 따른 전통춤 가상체험공간의 차별적 비즈니스 모델 설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총체적 민족예술의 원형을 내포하고 있는 무형유산 중 하나인 우리 전통춤의 창조적 계승과 학술적‧교육적‧산업적 가치를 재발견하기 위하여 예술‧인문‧공학‧경영연구자들의 융합연구를 통해 전통춤 가상체험공간 구현 및 인터랙티브 교육콘텐츠 저작기술을 개발하고, 전통춤의 현대적 가치를 반영한 경쟁력 있는 전통문화예술 콘텐츠로 재탄생시켜 비즈니스 전략모델을 제시하는 것을 최종 목표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핵심인 전통춤 가상체험공간(IKTDE - Interactive Korean Traditional Dance ExperienZone)을 개발하기 위하여 1차적으로 인문·예술 연구자들이 전통춤 콘텐츠 디자이너의 관점에서 IKTDE에서 구현될 스토리텔링 기반 전통춤 콘텐츠 컨셉을 연구한 후 디자인하였다. 전통춤 콘텐츠를 통해 사용자가 반드시 알아야 할 전통춤의 가치와 ‘한과’ ‘신명’의 감성코드를 느낄 수 있도록 사용자 중심 체험형 콘텐츠를 디자인함으로써 전통춤의 가치전달 방식을 새롭게 제시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공학연구원들은 전통춤 가상체험공간 IKTDE에서 사용자들이 전통춤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동시에 몰입감과 인터랙션을 증대시킬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여 동기부여와 체험 만족감을 지속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인바운드 관광객 유입증가와 국내 학생들 및 다문화가정에서의 전통문화예술 교육에 대한 수요예측을 근거로 개발된 전통춤 가상체험공간 IKTDE의 향후 목표 사용자를 국내 인바운드 관광객 및 초·중·고등학생들로 설정하고 지속가능한 비즈니스 모델을 설계하였다. 비즈니스의 성공적 운영을 위해서 목표사용자인 인바운드 관광객의 필수 관광코스인 역사적 유적지 및 박물관에 전통춤 가상체험공간 IKTDE을 배치하여 접근성을 높이고 또한 서울시 및 지자체 교육기관과 협약을 체결하여 학생들에게 ‘찾아가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보급방안을 제시하였다. 전통춤 가상체험공간 IKTDE 개발을 통해 그동안 외면당했던 전통예술문화 콘텐츠의 예술‧교육적 가치를 재확산시키고 나아가서 차세대 한류 콘텐츠로서 상품화 가능성의 토대가 마련되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 관한 주요 성과로 연구책임자와 공동연구원이 해당과제에 대한 연구내용으로 논문 3편을 게재하였으며 연구책임자와 보조연구원은 일본 교토에서 개최된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ulture and Computing에 참가하여 연구팀의 연구내용을 발표하였다. 연구기간 내 총 3번의 세미나를 개최하여 무용·아트테크·공학 전공의 석박사생들 및 융합연구자들과 연구진행과정 및 결과물을 공유하였다. 특히 융합연구에 대한 필요성과 요구가 높아지는 현 교육환경에서 서로 다른 전공의 석박사 연구자들이 자신의 분야를 넘어서서 다양한 학문분야 교류하여 예술과 공학을 기반으로 한 융합연구의 방법론을 터득하고 향후 융합연구 아젠다를 발굴하고 연구를 주도할 수 있는 융합형 인재로 성장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VR based Interactive Korean Traditional Dance Experience Zone(IKTDE) and its educational contents for establishment of the creative succession of Korean traditional dance and the rediscovery of academic, educational and industrial values of Korean traditional dance, which is one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that embody the overall ethnic art form. With the development of IKTDE, this study was to present a business strategy model for a competitive traditional culture and arts content reflecting modern values of Korean traditional dance.
    In order to develop IKTDE, which is the core of the research, first of all, humanities and dance researchers studied the concept of traditional dance contents based on storytelling which will be implemented in IKTDE from the perspective of traditional dance contents designer. Using VR technology, we have presented a new way of conveying the value of traditional dance by designing experiential contents so that users can learn the value of Korean traditional dance and Korean people's emotional code which is 'Han' and 'Shinmyung. Emotional attributes of the Korean Traditional dance mainly includes ‘Han’(a Korean feeling of sorrow, oppression, injustice and isolation) caused by the shrinking history of many wars and suffering. It also includes ‘Shinmyung’(a Korean feeling of joy and excitement) achieved after removing ‘Han’.
    Based on the concept of content, engineering researchers developed IKTDE that can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he traditional dance and the immersion and interaction in IKTDE, so that the motivation and satisfaction of the users can be sustained. foreign tourists and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ere set as target users for establishing a business model for IKTDE considering the increase of the influx of inbound tourists and the demand of traditional arts and culture education in domestic and multicultural families. In order to operate the business successfully, we aim to increase the accessibility of IKTDE in historical sites and museums, which are the essential tourist courses of the inbound tourists who are the target users, and would make an effort to conclude agreements with the government and municipal educational institutions to provide IKTDE for students.
    With the development of IKTDE, the artistic and educational value of traditional Korean dance can be re-spread that have been neglected for modern people in the meantime. Furthermore, foundation for the possibility of commercialization for Korean traditional culture as the content of new Hallyu has been established.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총체적 민족예술의 원형을 내포하고 있는 무형유산 중 하나인 우리 전통춤의 창조적 계승과 학술적‧교육적‧산업적 가치를 재발견하기 위하여 예술‧인문‧공학‧경영 연구자들의 융합연구를 통해 전통춤 가상체험공간 구현 및 살풀이춤 인터랙티브 교육콘텐츠 저작기술을 개발하고, 현대적 가치를 반영한 경쟁력 있는 전통문화예술 콘텐츠로 재탄생시켜 비즈니스 전략모델을 제시하는 것을 최종 목표로 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전통춤 가상체험공간(IKTDE-Interactive Korean Traditional Dance Experience Zone)을 개발하기 위하여 일차적으로 인문·예술연구자들이 전통춤 콘텐츠 디자이너의 관점에서 IKTDE에서 구현될 스토리텔링 기반 전통춤 콘텐츠 컨셉을 연구한 후 디자인하였다. 전통춤 가상체험공간에서 사용자가 체험하는 춤으로는 한국인의 대표 정서코드인 ‘한’과 ‘풀이(신명)’를 표출하는 ‘살풀이춤(국가무형문화재 제97호)’을 채택하였다. 전통춤 콘텐츠를 통해 사용자가 반드시 알아야 할 전통춤의 가치와 ‘한’과 ‘신명’이 내재된 한국인의 감성코드를 느낄 수 있도록 사용자 중심 체험형 콘텐츠를 디자인함으로써 전통춤의 가치전달 방식을 새롭게 제시하였다. 일반적인 공연장에서 수동적으로 관람하던 방식에서는 느끼기 힘들었던 살풀이춤의 가치와 그 재미를 전통춤 가상체험공간 콘텐츠에서는 사용자가 직접 보고 따라함으로써 체험학습이 가능하다. 살풀이춤이라고 해서 사용자가 단순히 가상체험공간에서 춤만 추는 것이 아니라 VR 기술을 활용한 스토리텔링 영상을 통해 살풀이춤의 탄생 배경과 역사적 가치를 충분히 인지한 후 경험하게 된다.
    이러한 콘텐츠 컨셉 및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공학연구원들은 가상체험공간에서 사용자들이 전통춤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동시에 몰입감과 인터랙션을 증대시킬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여 사용자들의 동기부여와 체험 만족감을 지속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실제 전통춤 가상체험공간 IKTDE에서 사용자의 춤 동작과 비교하여 각 동작에 해당하는 위치, 동작의 각도와 속도를 3차원 데이터를 통해 각 노드 별로 계산하였고 실제 살풀이춤 전문무용수와의 데이터와 비교하여 사용자의 동작에 따른 피드백을 주어 전문가의 동작과 매칭하고 정확도를 평가해 볼 수 있는 인터랙션 콘텐츠로 제작하였다. 전통춤 가상체험공간 IKTDE 콘텐츠 사용자의 동작 인식 및 추적을 위해 NaturalPoint사의 ‘OptiTrack’ 모션캡처시스템을 사용하였으며, 총 8대의 카메라를 360도 범위 안에 배치하여 어느 각도에서나 사용자의 움직임을 높은 정확도로 추적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개발된 전통춤 가상체험공간 IKTDE의 향후 타깃 사용자를 국내 인바운드 관광객 및 내국인으로 설정하여 지속가능한 운영을 위한 비즈니스 모델을 설계하였다. 구체적으로 인바운드 관광객 유입증가와 국내 학생들 및 다문화가정에서의 전통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수요예측을 바탕으로 개발된 전통춤 가상체험공간 IKTDE의 향후 타깃 사용자를 국내 인바운드 관광객(타깃 1) 및 초·중·고등학생들(타깃 2)로 설정하였다. 비즈니스의 성공적 운영을 위해서 목표사용자인 인바운드 관광객의 필수 관광코스인 역사적 유적지 및 박물관에 전통춤 가상체험공간을 배치하여 접근성을 높이고 또한 서울시 및 지자체 교육기관과 협약을 체결하여 학생들에게 ‘찾아가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보급방안을 제시하였다. 전통춤 가상체험공간 IKTDE 개발을 통해 그동안 외면당했던 전통예술문화 콘텐츠의 예술‧교육적 가치를 재확산시키고 나아가서 차세대 한류 콘텐츠로서 상품화 가능성의 토대가 마련되었다고 할 수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총체적 민족예술의 원형을 내포하고 있는 무형유산 중 하나인 우리 전통춤의 창조적 계승과 학술적‧교육적‧산업적 가치를 재발견하기 위하여 예술‧인문‧공학‧경영 연구자들이 국가무형문화재 제97호 살풀이춤을 소재로 가상체험공간 구현 및 인터랙티브 교육콘텐츠 저작 기술을 개발하여 우리 전통춤을 현대적 가치를 반영한 경쟁력 있는 전통문화 예술 콘텐츠로 재탄생시키고 비즈니스 전략 모델을 제시하였다.
    연구의 핵심인 전통춤 가상체험공간(IKTDE - Interactive Korean Traditional Dance Experience Zone)을 개발하기 위하여 일차적으로 전통춤 콘텐츠 디자이너의 관점에서 IKTDE에서 구현될 스토리텔링 기반 전통춤 콘텐츠 컨셉을 연구한 후 디자인하였다. 전통춤 콘텐츠를 통해 사용자가 반드시 체험하고 알아야 할 전통춤의 가치와 감성코드를 도출해내어 콘텐츠를 디자인함으로써 전통춤의 가치전달 방식을 새롭게 제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 전통문화유산으로서의 전통춤에 대한 위상강화와 기존 전통춤이 가지고 있던 고루하다는 인식을 현재진행형의 유가치한 문화유산으로 인식전환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공학연구원들은 전통춤 가상체험공간 IKTDE에서 사용자들의 전통춤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동시에 몰입감과 인터랙션을 증대시킬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여 사동기 부여와 체험 만족감을 지속시킬 수 있도록 하였으며, 전통춤 동작과 같은 인체의 움직임을 가상의 환경에서 그대로 재현하고, 이를 훈련할 수 있는 시스템을 설계 및 개발하였다.
    개발된 전통춤 가상체험공간 IKTDE의 향후 타깃 사용자를 인바운드 관광객 유입증가와 국내 학생들 및 다문화가정에서의 전통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수요예측을 근거로 국내 인바운드 관광객 및 내국인들로 설정한 후 접근성을 높이고 지속가능한 운영을 위한 비즈니스 모델을 설계하였다.
    가상체험공간 IKTDE의 활용방안으로 목표사용자인 인바운드 관광객의 필수 관광코스인 역사적 유적지 및 박물관에 전통춤 가상체험공간을 배치하여 접근성을 높임으로써 외국인들이 전통문화 체험 욕구를 만족시킬 수 있다. 또한 교육적 활용방안으로는 서울시 및 지자체 교육기관과 협약을 체결하여 학생들에게 ‘찾아가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통해 전통춤 콘텐츠를 보급함으로써 그동안 외면당했던 전통예술문화 콘텐츠의 예술‧교육적 가치를 재확산시킬 수 있다.
    우리 전통춤의 DNA라 할 수 있는 ‘신명’과 ‘한’의 감성적 요소와 국내외 향유자들의 니즈를 반영한 최적의 전통문화예술 콘텐츠는 선진 융합 콘텐츠로서 향후 국악, 전통놀이 등으로 확대 적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전통문화예술의 대중성을 노린 ‘관객 참여형 전통춤 문화체험 키오스크(Kiosk) 상품화’를 위한 융합연구의 토대를 강화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연구해나갈 것이다.
  • 색인어
  • 전통춤, 살풀이춤, 가상현실, 인터래틱브 아트, 교육콘텐츠, 가상체험공간, 전통문화 마케팅, 문화관광, 문화UX, 문화기술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