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리뷰의 양, 질, 평점이 소비자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소비자 심리기제와 제품유형을 중심으로 The impact of online review volume, review quality and average rating in consumer decision making: Focused on consumer psychology and product type
본 연구의 목표는 온라인 리뷰의 양, 질, 평점이 소비자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이 소비자 심리기제와 제품유형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의 다양한 심리적 요인 중 하나인 자기해석(self-construal)을 중요한 소비자 특성으로 ...
본 연구의 목표는 온라인 리뷰의 양, 질, 평점이 소비자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이 소비자 심리기제와 제품유형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의 다양한 심리적 요인 중 하나인 자기해석(self-construal)을 중요한 소비자 특성으로 제시하였으며, 제품유형은 점진적 신제품과 혁신적 신제품으로 구분하였다. 1차년도의 연구목표는 실험연구를 통하여 소비자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온라인 리뷰의 양과 평점에 대한 자기해석(self-construal)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 이에 대한 불확실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2차년도의 연구목표는 실험연구를 통하여 소비자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온라인 리뷰의 양과 평점에 대한 신제품 유형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 이를 매개하는 변인을 규명하는 것이다. 3차년도의 연구목표는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온라인 리뷰 특성(양, 질, 평점), 자기해석, 신제품 유형이 소비자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총체적으로 분석하고, 종합적인 연구모형을 도출하는 것이다.
기대효과
본 연구는 아래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먼저, 학문적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리뷰의 영향력에 관한 연구를 확장시킬 수 있다. 본 연구는 온라인 리뷰 양, 질, 평점과 같은 온라인 리뷰의 주요특성들을 종합적으로 살펴봄으로써 기존의 단편적 ...
본 연구는 아래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먼저, 학문적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리뷰의 영향력에 관한 연구를 확장시킬 수 있다. 본 연구는 온라인 리뷰 양, 질, 평점과 같은 온라인 리뷰의 주요특성들을 종합적으로 살펴봄으로써 기존의 단편적 연구에서 확장된 결과를 제시할 수 있다. 둘째, 자기해석에 따라 소비자가 중요시여기는 리뷰 속성이 다를 수 있음을 검증하여 리뷰의 영향력에 대한 새로운 소비자 심리기제를 제시한다. 셋째, 신제품 유형에 따라 소비자가 고려하는 리뷰 속성이 달라지며, 의사결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검증하여 신제품 관련 연구를 확장시킬 수 있다. 넷째, 설문지를 통한 실험연구가 아닌 실제 데이터에 근거한 연구모형 검증으로 기존 실험연구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연구방법을 제시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 제안한 빅데이터 활용은 다양한 소비자행동 연구에 적용될 수 있으므로 시사점이 매우 크다. 다음으로, 사회적 기대효과는 소비자 성향과 제품유형에 따른 전략적 온라인 리뷰 활용법을 제시한다는 것이다. 즉, 소비자의 성향이나 제품유형에 따라 강조되는 온라인 리뷰 특성(양, 질, 평점)을 고려하여 리뷰 배치나 마케팅에 활용해야 함을 실무자들에게 제안한다. 또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개인화 추천서비스에 온라인 리뷰 특성을 반영한다면 효과적인 추천시스템 구축이 가능하다. 인공지능을 활용한 개인화추천 서비스에 리뷰 특성을 반영하게 되면, 소비자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정보를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므로 추천 시스템 개선에 기여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확장하여 다음과 같은 후속 연구들이 진행될 수 있다. 첫째, 평점 분포(개별 평점과 전체 평점간의 표준편차를 반영한 변수)나 리뷰어 특성(신뢰성, 유사성, 전문성)과 같은 변수들을 추가하여 본 연구의 모형에 적용할 수 있다. 둘째, 온라인 리뷰 내용을 텍스트마이닝 기술을 사용하여 분석함으로써 리뷰와 관련된 연구를 확장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긍부정사전이나 감성사전을 활용하여 리뷰의 방향성과 감정을 자동적으로 분류하고, 이를 수치화하여 판매량이나 채택률을 예측할 수 있는 연구로 확장될 수 있다.
연구요약
본 연구는 온라인 리뷰의 양, 질, 평점이 소비자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이 소비자 심리기제와 제품유형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3개의 세부 연구주제로 총 5개의 실험을 진행한다. 1차년도에는 온라인 리뷰의 양과 평점이 소비자 의사결정에 미치는 ...
본 연구는 온라인 리뷰의 양, 질, 평점이 소비자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이 소비자 심리기제와 제품유형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3개의 세부 연구주제로 총 5개의 실험을 진행한다. 1차년도에는 온라인 리뷰의 양과 평점이 소비자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이 자기해석(self-construal)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분석하기 위해 2개의 실험을 진행한다. 실험 1은 20~40대 성인남녀 12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서베이를 진행하여 자료를 수집한다. 실험 1에서는 리뷰 양, 평점의 영향력에 대한 자기해석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카이스퀘어 검정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다. 실험 2는 20~40대 성인남녀 24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서베이를 실시한다. 실험 2에서는 실험 1에서 나타난 조절효과를 재검증하고 그에 대한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분산분석과 부트스트래핑 기법을 사용한다. 2차년도에는 온라인 리뷰의 양과 평점이 소비자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이 신제품 유형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2개의 실험을 진행한다. 실험 3은 20~40대 성인남녀 12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서베이를 진행하여 자료를 수집한다. 실험 3에서는 리뷰 양, 평점의 영향력에 대한 신제품 유형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카이스퀘어 검정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다. 실험 4는 20~40대 성인남녀 24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서베이를 실시한다. 실험 4에서는 실험 3에서 나타난 신제품 유형의 조절효과를 재검증하고 매개변인을 분석하기 위해 분산분석과 부트스트래핑 기법을 사용한다. 3차년도에는 온라인 리뷰의 양, 질, 평점이 소비자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이 자기해석(self-construal)과 신제품 유형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실제 온라인 리뷰 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하여 리뷰 양, 질, 평점의 영향력에 대한 종합적 연구모형을 회귀분석과 구조방정식모델을 통해 검증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국문
본 연구는 온라인 리뷰의 양과 평점이 소비자의 구매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력이 소비자 특성과 신제품 유형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먼저, 소비자 특성은 자기해석이론을 적용하여 자신을 독립된 존재로 보는 독립적 자기해석과 타인과 연결된 ...
본 연구는 온라인 리뷰의 양과 평점이 소비자의 구매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력이 소비자 특성과 신제품 유형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먼저, 소비자 특성은 자기해석이론을 적용하여 자신을 독립된 존재로 보는 독립적 자기해석과 타인과 연결된 존재로 보는 상호의존적 자기해석으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상호의존적 자기해석의 사람들은 독립적 자기해석의 사람들보다 다수에 의해 검증된 대안을 선호하기 때문에 리뷰의 평점보다는 리뷰의 양에 더 큰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측하였다. 이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2개의 실험연구를 진행하였으며, 가설을 지지하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가 나타난 이유는 리뷰의 양이 제품의 기술 불확실성을 감소시켜주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이러한 효과가 독립적 자기해석의 사람들에게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상호의존적 자기해석의 사람들에게는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신제품 유형은 소비자가 지각하는 신제품의 새로움 정도에 따라 점진적 신제품과 혁신적 신제품으로 구분하였다. 점진적 신제품은 시장에서 판매되고 있는 기존 제품을 개선한 제품을 의미하며, 혁신적 신제품은 기존 제품이 제공하지 못한 새로운 기능이나 혜택을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제품을 말한다. 본 연구에서는 점진적 신제품보다 혁신적 신제품에 대해서 소비자가 지각하는 불확실성이 크므로 구매의사결정 시 리뷰의 평점보다 리뷰의 양이 혁신적 신제품에서 더 중요하게 작용할 것으로 예측하였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2개의 실험연구를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 가설을 지지하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가 나타난 이유는 리뷰의 양이 제품의 시장 불확실성을 감소시켜주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이러한 효과가 점진적 신제품에서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혁신적 신제품에서는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the impact of online review volume and rating on the decision-making of consumers depends on the characteristics of consumers and the type of new products. First of all, according to self-constural theory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the impact of online review volume and rating on the decision-making of consumers depends on the characteristics of consumers and the type of new products. First of all, according to self-constural theory, consumer characteristics are classified as either independent self-constural, which views oneself as an independent being, or interdependent self-constural, which views oneself as being connected to others. We predicted that the people with interdependent self-constural would be more influenced by the volume of reviews than the rating of reviews because they prefer products that have been proven by the majority than the people with independent self-construal. To test this hypothesis,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and we found that the results supporting our hypothesis. The reason for this result is that the volume of reviews plays a role in reducing the technology uncertainty of the product. This effect was not found in the people with independent self-constural, but in the people with interdependent self-constural. Next, a new product classified as either an incrementally new product, which provides a slight improvement over the existing product, or a really new product, which comes with radically new functions or benefits. We predicted that the volume of reviews would be more important in really new products than the rating of reviews when making a purchase decision because consumers have more uncertainty about really new products than incrementally new products.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test our hypothesis, and the results supported the hypothesis. The reason for this result was that the volume of reviews plays a role in reducing the market uncertainty of the product. This effect was not found in incrementally new products but in really new products.
연구결과보고서
초록
본 연구는 온라인 리뷰의 양과 평점이 소비자의 구매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력이 소비자 특성과 신제품 유형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먼저, 소비자 특성은 자기해석이론을 적용하여 독립적 자기해석과 상호의존적 자기해석으로 구분하였다. 본 연 ...
본 연구는 온라인 리뷰의 양과 평점이 소비자의 구매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력이 소비자 특성과 신제품 유형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먼저, 소비자 특성은 자기해석이론을 적용하여 독립적 자기해석과 상호의존적 자기해석으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상호의존적 자기해석의 사람들은 독립적 자기해석의 사람들보다 다수에 의해 검증된 대안을 선호하기 때문에 리뷰의 평점보다는 리뷰의 양에 더 큰 영향을 받을 것으로 가설을 수립하였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2개의 실험연구를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 가설을 지지하는 결과를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효과가 기술 불확실성에 의해서 매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리뷰의 양이 제품의 기술 불확실성을 감소시켜주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이러한 효과가 독립적 자기해석의 사람들에게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상호의존적 자기해석의 사람들에게는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신제품 유형은 점진적 신제품과 혁신적 신제품으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점진적 신제품보다 혁신적 신제품에 대해서 소비자가 지각하는 불확실성이 크므로 구매의사결정 시 리뷰의 평점보다 리뷰의 양이 혁신적 신제품에서 더 중요하게 작용할 것으로 가설을 수립하였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2개의 실험연구를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 가설을 지지하는 결과를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효과가 시장 불확실성에 의해서 매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리뷰의 양이 제품의 시장 불확실성을 감소시켜주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이러한 효과가 점진적 신제품에서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혁신적 신제품에서는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본 연구는 온라인 리뷰 양과 평점의 영향력이 소비자 특성과 제품유형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종합적으로 살펴봄으로써 기존의 단편적 연구에서 확장된 결과를 제시하였다. 소비자 특성의 경우, 소비자의 자기해석 유형에 따라 소비자가 중요시여기는 리뷰 속성이 ...
본 연구는 온라인 리뷰 양과 평점의 영향력이 소비자 특성과 제품유형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종합적으로 살펴봄으로써 기존의 단편적 연구에서 확장된 결과를 제시하였다. 소비자 특성의 경우, 소비자의 자기해석 유형에 따라 소비자가 중요시여기는 리뷰 속성이 다를 수 있음을 제안하여 소비자 심리기제의 중요성을 밝혔다. 또한 제품 유형의 경우, 신제품 유형에 따라 소비자가 고려하는 리뷰 속성이 달라지며, 의사결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소비자의 성향이나 제품 유형에 따라 강조되는 온라인 리뷰 특성(양, 평점)을 고려하여 리뷰 배치나 마케팅에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호의존성이 높은 문화권에서나 제품의 혁신성이 높은 경우에는 리뷰의 평점보다는 리뷰의 양을 강조한 리뷰 배치 및 마케팅이 필요한 반면, 독립성이 강한 문화권이나 제품의 혁신성이 적당한 경우에는 리뷰의 평점을 강조하는 것이 구매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를 인공지능을 활용한 개인화추천 서비스에서도 활용할 수 있다. 기존의 추천서비스는 대부분 고객의 구매내역에 근거한 관심 상품을 추천하는 시스템이지만, 본 연구의 결과에서 확인된 소비자 특성, 제품 유형, 리뷰 특성 간의 관계를 추천시스템에 반영한다면 고객의 구매 가능성을 더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색인어
온라인 리뷰의 양, 온라인 리뷰 평점, 자기해석, 점진적 신제품, 혁신적 신제품, 기술 불확실성, 시장 불확실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