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ICT에 기반한 노년활력지수(SVQ)와 노년 활력 증진 프로그램의 개발
Development of ICT based Senior Vitality Quotient and Senior Vitality Enhancement Program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학제간융합연구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7S1A5B6053101
선정년도 2017 년
연구기간 5 년 (2017년 09월 01일 ~ 2022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최기홍
연구수행기관 고려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이종원(세종대학교)
최준연(세종대학교)
한경진(고려대학교)
김나라(고려대학교)
권정혜(고려대학교)
서동기(한림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국가 통계 포털 성 및 연령별 추계에 따르면 현재 우리나라는 급격한 노령화를 목전에 두고 있음. 따라서 노년기 삶을 보다 건강하고 생산적으로 준비할 수 있도록 돕는 정책적, 학술적, 그리고 사회 서비스 체계에 대한 준비는 매우 시급한 국가적 과제임.
    본 연구는 ‘삶의 활력’에 초점을 두어, 노년기의 삶을 수동적인 삶에서 능동적이며 적극적인 삶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인식의 전환을 돕고, 다양한 영역(예, 인지, 정서 및 신체 건강 영역)에서 ‘삶의 활력’을 지니고 살아가는 변화를 이끄는 데 목적이 있음. 본 연구의 목표는 크게 세 가지로 구성 됨.

    1. 차원적 접근을 통합한 노년활력지수(Senior Vitality Quotient, 이하 SVQ)의 개발
    2. 생태순간평가 (Ecological Momentary Assessment, 이하 EMA)와 ICT를 통합한 노년활력지수 측정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3. ICT 기반의 노년 활력 증진 훈련 프로그램 개발
  • 기대효과
  • 1. 차원적 접근을 통합한 노년활력지수(Senior Vitality Quotient, 이하 SVQ)의 개발
    ○ 인지, 정서 및 행동의 각 차원에서 노년기에 발생하는 결함이나 병리(pathology)의 존재여부를 측정할 수 있는 방안은 존재하지만, 노년기 활력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는 부재함.
    ○ 인지, 정서 및 행동적 활력을 측정하는 변인을 통합하여 노년활력지수(SVQ)를 개발하며, 노년기 인구 개개인의 활력 정도를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함.

    2. EMA와 ICT를 통합한 노년활력지수 측정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EMA와 ICT 기술을 통합하여 노년활력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함으로써, 노년활력지수(SVQ)를 종단적으로 측정할 수 있음.
    ○ EMA와 ICT 기술을 활용하여 노년기 인구 개개인의 활력 정도 및 변화를 보다 쉽고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음.
    ○ 노년기 인구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정책을 수립하고 사회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음.

    3. ICT 기반의 노년활력 증진 프로그램 개발
    ○ 인지, 정서 및 행동적 활력 수준을 이해하고, 개인의 특성에 맞는 맞춤형 노년 활력 증진 훈련 및 개입법을 제공으로써, 노년기 정신/신체적 건강을 개선함.
    ○ 조기 은퇴 등으로 노년층의 가용 시간은 증가하는데, 이러한 가용한 시간을 개인의 삶의 가치에 부합하는 활동을 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은, 개인의 삶의 질을 향상을 이끌 뿐 아니라, 우울, 치매, 당뇨와 같은 다양한 정신/신체 질환을 예방하는 시너지 효과를 창출함.
    ○ 노인의 건강증진행위는 건강 상태와 삶의 질을 개선할 뿐만 아니라 전체 의료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음. 특히, 운동을 포함한 가치에 기반한 정서/인지/행동 활성을 촉진하는 서비스가 일상 속에서 자리 잡을 수 있다면 사회 문제의 해결 뿐 아니라, 노년 의료비용 감소 효과도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함.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학제간 융합 연구로서 노년기 인구의 정서/인지/행동적 활력을 평가하고 증진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크게 세 분야 (임상심리학, 심리측정학, 컴퓨터공학)의 전문가로 이루어진 연구팀을 구성함. 연차별 세부 연구팀의 연구과정 및 융합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음.
    1년차: 노년활력지수 개발의 토대 구축
    □ 1세부, 평가 컨텐츠 개발 및 기초 데이터 수집.
    - 문헌 연구와 현장 조사를 통해 인지, 정서, 행동의 관점에서 노년기 인구의 활력을 타당하게 측정할 수 있는 방안 및 문항 개발 및 실시
    □ 2세부, 노년기 인구 친화적 평가 플랫폼 구축.
    - 노년기 인구 친화적 정서 평가 초기시스템 개발
    - 행동 추적 초기시스템 개발
    □ 3세부, 예비 검사 데이터 선정/분석 및 EMA 데이터 수집 및 분석 알고리즘 개발
    - 예비 검사 데이터 선정 및 분석
    - EMA 방법을 통한 데이터 수집 및 분석 알고리즘 개발

    2년차: 노년활력지수(SVQ) 평가 도구 개발 완료 및 각 데이터의 지표 도출
    □ 1세부, 최종 평가 문항 선정 및 본 검사 실시.
    - 노년기 인구의 활력을 타당하게 측정할 수 있는 최종 평가 문항을 선정함.
    - ICT기반의 플랫폼에 탑재된 노년활력지수 평가도구를 활용하여 노년 샘플에 대해 최종 검사를 실시함.
    □ 2세부, 노년활력지수(SVQ) 평가 시스템 적용 및 시스템 고도화
    - 1세부에서 선정된 최종 평가 문항을 노년기 인구 친화적 정서 평가 모바일 시스템에 탑재
    - 사용자가 생성하는 데이터 수집과 분석을 통해 정서 평가와 연관성을 파악하고 적합한 데이터를 선정 및 적용
    □ 3세부, 종단 데이터를 이용한 척도개발과 타당화 연구
    - EMA방식으로 모은 종단 데이타를 잠재성장모형(latent growth model)을 통해 - 노년활력지수를 종단적으로 평가.
    - 노년기 인구의 인지/정서/행동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주는 예측변수, 매개변수, 조절변수들을 찾아서 최종 모델을 선정할 것임

    3년차. 노년활력지수 타당화 및 활력 증진 프로그램 토대 구축
    □ 1세부, 노년활력 증진 프로토콜 개발 1
    - 행동 활성 프로그램에 기반 한 온/오프라인 노년활력 증진 프로토콜 개발
    □ 2세부, 모바일 기반 인지/정서 활력 증진 플랫폼 개발
    - 노년활력 증진 어플리케이션 개발
    - 본 플랫폼에 적용될 기술 조사 및 분석 및 다양한 사용자 특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시나리오 개발
    □ 3세부, 노년활력지수(SVQ)의 지표 개발
    - 노년 활력 지수의 지표 개발 및 채점 방식 개발

    4년차. 노년활력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데이터 베이스 구축
    □ 1세부, 노년활력 증진 프로토콜 개발 2
    - GPS시스템을 활용한 위치 기반 목표 설정 프로토콜 개발
    - 행동활성화에 따른 보상 시스템을 위한 토큰 경제(Token economy)시스템 프로토콜 개발
    □ 2세부, 행동 훈련 시스템 개발
    - 위치기반기술을 활용하여 1일 행동반경, 이동거리, 활동 유형(대인관계, 운동 등) 등 해당 사용자의 라이프 로그 데이터 수집, 행동 관련 일상 활동 수준 도출 및 평가
    - 데이터 기록을 Machine Learning 등의 ICT 기술을 활용하여 편의성을 증진시켜 사용자 친화적인 방법으로 획득할 수 있는 시스템 개발 및 타당성 검증
    □ 3세부, 치료 데이터와 평가 데이터의 통합 플랫폼 구축
    - 노년기 인구에 대한 인지/정서/행동에 관한 점수를 컴퓨터로 측정하여 점수를 - 전달하는 새로운 심리측정 모델을 개발하여 평가와 치료를 동시에 가능하게 하는 플랫폼 구축

    5년차. 노년활력 평가 및 증진 프로그램 검증 및 보급
    □ 1세부, 증진 프로그램 검증 및 보급
    -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노년 인구 100명(실험군(50명)과 대조군(50명))에 대해 실험 연구를 진행함.
    - 활력 평가 및 증진 프로그램의 보급
    □ 2세부, 인지/정서 건강 평가 시스템 사용성 평가
    - 1세부에서 시스템 사용법 사전교육을 마친 피험자들을 대상으로 시스템 사용성 평가를 진행
    - 노년활력지수(SVQ)평가 시스템과 평가 규준에 대한 특허 출원
    □ 3세부, 노년 활력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과 통합적 데이터베이스 구현
    - 1세부에서 실시한 연구에 대한 통계적 효과성 검증 통합적 데이터베이스 구축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한국 사회는 이미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였으며, 증가하고 있는 노년 인구는 다양한 인지 및 정신건강의 문제를 경험하는데, 우울, 인지기능 저하, 청력 손실 등이 대표적임. 따라서 노년기 삶을 보다 건강하고 생산적으로 준비할 수 있도록 돕는 정책적, 학술적, 그리고 사회 서비스 체계에 대한 준비는 국가적 과제임. 본 연구는 ‘삶의 활력’이라는 요소를 핵심적으로 다루어 자칫 수동적이고 고립될 수 있는 노년기의 삶을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삶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함. ‘삶의 활력’은 노년기 삶의 다양한 영역(예, 인지, 정서 및 신체 건강 영역)을 포함함. 이를 다루기 위해서는 우선 ‘삶의 활력’을 측정할 수 있어야 하기에, 본 연구는 노년기 인구의 정서/인지/행동적 활력을 평가하고 증진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함. 임상심리학, 심리측정학, 컴퓨터공학의 전문가로 이루어진 융합연구팀을 구성하였음.
    연구과제 1단계에서는 노년 활력 지수를 개발하고 타당화했으며, 활력 지수 평가 플랫폼을 개발하였음. 2단계에서는 1단계의 노년 활력 지수를 활용하는 노년 활력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성을 검증하며, 개발된 활력 증진 프로그램을 지역사회에 보급하였음.
  • 영문
  • Korean society has already entered an aging society, and the increasing elderly population experiences various cognitive and mental health problems. Therefore, preparing policy, academic, and social service systems to help prepare for a healthier and more productive old age is a national task. This study aims to help transform the potentially passive and isolated life of old age into an active and positive one by focusing on the element of "vitality of life." "Vitality of life" includes various areas of elderly life (e.g., cognitive, emotional, and physical health areas). To address this,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program that assesses and enhances the emotional, cognitive, and behavioral vitality of the elderly population. Interdisciplinary research team composed of experts in clinical psychology, psychological measurement, and computer engineering was formed to accomplish this study.

    In Phase 1 of the research project, a vitality index for the elderly was developed and validated, and a vitality index evaluation platform was developed. In Phase 2, a vitality enhancement program for the elderly, utilizing the vitality index developed in Phase 1, was developed, and its effectiveness was verified. The developed vitality enhancement program was also disseminated in the local community.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한국 사회는 이미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였으며, 증가하고 있는 노년 인구는 다양한 인지 및 정신건강의 문제를 경험하는데, 우울, 인지기능 저하, 청력 손실 등이 대표적임. 따라서 노년기 삶을 보다 건강하고 생산적으로 준비할 수 있도록 돕는 정책적, 학술적, 그리고 사회 서비스 체계에 대한 준비는 국가적 과제임. 본 연구는 ‘삶의 활력’이라는 요소를 핵심적으로 다루어 자칫 수동적이고 고립될 수 있는 노년기의 삶을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삶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함. ‘삶의 활력’은 노년기 삶의 다양한 영역(예, 인지, 정서 및 신체 건강 영역)을 포함함. 이를 다루기 위해서는 우선 ‘삶의 활력’을 측정할 수 있어야 하기에, 본 연구는 노년기 인구의 정서/인지/행동적 활력을 평가하고 증진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함. 임상심리학, 심리측정학, 컴퓨터공학의 전문가로 이루어진 융합연구팀을 구성하였음.
    연구과제 1단계에서는 노년 활력 지수를 개발하고 타당화했으며, 활력 지수 평가 플랫폼을 개발하였음. 2단계에서는 1단계의 노년 활력 지수를 활용하는 노년 활력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성을 검증하며, 개발된 활력 증진 프로그램을 지역사회에 보급하였음.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연구결과
    □ 1단계 1년차에서는, 평가 컨텐츠 개발 및 생태 순간 평가 데이터 분석 알고리즘 개발 등을 통해 노년활력지수 개발의 토대를 구축하였음.
    □ 1단계 2년차에서는 노년활력지수(SVQ) 평가도구 개발을 완료하고 각 데이터의 지표를 도출하였음. 또한 SVQ 평가 시스템을 모바일 시스템에 탑재하고 시스템을 고도화하였으며, 동시에 종단 데이터를 이용한 척도개발과 타당화 연구를 진행하였음.
    □ 1단계 3년차에서는 노년활력지수 타당화 및 2단계 진입을 위한 활력 증진 프로그램 토대를 구축하였음. 특히, 노년활력지수(SVQ)의 지표를 최종 개발, 노년활력 증진 프로그램 프로토콜 개발, 모바일 기반 인지/정서 활력 증진 플랫폼을 개발하였음.
    □ 2단계 1년차에서는, 대면 및 비대면 기반 활력 증진 프로그램 및 매뉴얼 개발을 완료하고, EMA 데이터를 활용한 노년 활력 증진 프로그램 성장 알고리즘을 형성하였음. 또한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키기 위해 기존 개발된 인지/정서 활력 증진 플랫폼에서 평가 제작 및 데이터 관리의 Web GUI 등을 개선하였으며, 노년기 활력 증진을 위한 신체 활동 및 인지 기능 훈련 시스템을 개발 및 검증하였음.
    □ 2단계 2년차에서는, 노년 활력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고 지역사회에 보급하였음. 또한 IT 환경에서 신체 활동 및 인지 기능 훈련 시스템을 사용자 대상으로 검증하였으며, EMA를 이용한 노년 활력 지수의 기존 성장모형을 보완한 종단 연구를 진행하여 머신러닝 기법을 활용하여 분석 모형을 고도화하였음.

    활용방안
    - 본 연구에서 개발된 활력 증진 프로그램은 실제 지역 사회에서 노년기의 우울 및 일상적인 정서경험, 그리고 인지기능 개선에 효과를 보임. 본 연구팀에서는 활력 증진 프로그램 워크숍을 통해 지역 사회 노인복지관, 지역사회 심리상담센터에서 근무하는 사례관리자를 교육하여 실제 지역사회에서 사례관리자들이 노년을 대상으로 본 프로그램을 실시할 수 있게 함. 또한 본 연구팀에서는 활력 증진 프로그램을 시행하고자 하는 협력 기관에 추가 워크샵을 제공하고 있으며, 협력 기관에 무료로 슈퍼비전을 제공하여 프로그램 운영을 지원하고 있음. 추가적인 워크샵을 통해 지역사회 사례관리자들을 교육하여 프로그램을 확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 AR, 키넥트, ICT 등 다양한 층위의 기술을 접목하여, 집 안에서도 노인 스스로 신체활동을 증진시킬 수 있으며, 인지기능훈련을 진행하여 인지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음. 특히 코로나19 시대 이후 노인 인구를 대상으로 한 비대면 서비스의 접근성이 이미 국내에서 충분히 갖추어진 것으로 파악되어 해당 프로그램의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시사됨.
    - 스마트폰에서 EMA 기법을 활용하여 생태학적인 활력의 측정을 진행할 수 있으며, 모바일 환경에서 SVQ의 적용은 다양한 치료적 맥락, 예방적 맥락에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임. 또한 기존의 시계열 데이터에서 많이 활용하던 다층 선형 성장모형을 뛰어넘어, DSEM이나 머신러닝 기법을 응용하여, 노년기의 활력을 더욱 정확하게 오차 없이 측정하는 것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됨.
  • 색인어
  • 노년, 노년활력지수, 노년활력증진프로그램, 생태순간평가, 정보통신기술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