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음악지각검사와 청각장애를 위한 음악재활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Assessment of Music Perception(AMP) and Music Rehabilitation Program(MRP) for the hearing impaired.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연구과제번호 2020S1A5A2A01044374
선정년도 2020 년
연구기간 3 년 (2020년 07월 01일 ~ 2023년 06월 30일)
연구책임자 김진숙
연구수행기관 한림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음악은 문화의 한 종류로 민족적 정서를 담고 있어 민족 간에 정서와 의사소통 도구 역할을 하고 인간의 삶에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이렇게 인간생활에 큰 부분을 차지하는 음악지각에 필요한 기본요소는 피치(pitch), 멜로디(melody), 음색(timbre), 리듬(rhythm)이다. 그 외 불협화음과 화음의 구별, 멜로디에 사용된 악기의 수, 음악에 실린 정서를 확인하는 검사, 조화음 판별 능력 검사, 음악 인지와 관련된 개별적 상황을 확인하는 설문 검사, 언어 능력 검사 등으로 음악지각능력을 구체적으로 평가하면 음악의 이해와 지각능력에 대한 요소별 평가가 가능하다. 이러한 평가를 실시하여 분석한 자료를 기반으로 정상청력인과 청각장애인의 음악지각능력을 향상키는 청능치료교육을 위한 프로그램도 구성할 수 있다. 더욱이 청각 장애인의 음악 지각 능력은 청력손실의 종류와 착용하는 보조기기의 특성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개개인의 음악지각 성향을 세부적으로 분석하여 필요한 부분과 향상 가능한 영역을 확인하고 부족한 부분의 음악지각능력을 개선할 수 있는 방법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음악의 기본요소와 여러 영역을 구체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한국형 음악지각검사(Assessment of Music Perception, AMP)도구를 개발하고 그 자료를 기반으로청능재활에 접목할 수 있는 음악재활 프로그램 (Music Rehabilitation Program, MRP)를 개발하여 국내 정상인과 청각장애인의 음악지각능력에 대한 이해도를 제고하고 그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음악의 기본요소들을 지각하고 선호하는 구조는 문화나 개인의 고유특성에 따라 다른데 해외에서는 음악 지각 능력을 평가하는 도구로 1979년 Primary Measure of Music Audiation (PMMA)가 유치원생을 대상으로 주관적 검사인 음조와 리듬 검사의 간단한 구성으로 처음 개발된 후, 2006년에 Fitzgerald et al.이 개발한 Musical Sounds In Cochlear implants (Mu.S.I.C) perception test, 2008년 Nimmons et al.이 개발한 University of Washington’s Clinical Assessment of Music Perception (UW-CAMP), 2012년 Roy et al.이 개발한 Music in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 (MCCI)가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 음악지각검사 도구는 UW-CAMP를 번역한 K-CAMP로 명명한 검사 도구가 현재까지 유일하다. 음악의 기본 요소인 리듬, 피치, 음색, 멜로디, 화음 등을 평가하는 도구와 음악으로 느끼는 감정 반응, 상관성이 높은 어음검사 중 어음인지도(Word Recognition Score, WRS)와 어음청취역치검사(Speech Reception Threshold, SRT), 본 연구자가 개발한 (Music listening and Satisfaction Questionnaire, MASQ) 검사를 활용하여 정상 청력과 인공와우 및 보청기 착용 그룹의 음악 지각 능력을 구체적으로 종합 평가하는 AMP를 개발하고자 한다. 제시될 음원에 사용되는 악기와 음악재료는 한국의 문화와 정서를 반영한 국악기와 민속 동요 및 가락을 포함하여 해외에서 개발된 검사도구와 차별성과 창의성을 확보하였다. 구체적으로 고주파수와 저주파수 대역을 구분한 피치 지각 능력, 한국인에게 익숙한 민속적 멜로디를 포함한 음악 장르별 지각 능력, 국악기와 서양악기 종류에 따른 음색 지각 능력 등을 심화하여 평가할 수 있는 평가 도구로 국내에서 음악 지각 능력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정량화 할 수 있는 한국형 음악지각검사도구로 AMP를 개발하고자 한다.

    청각장애가 있을 경우 의사소통을 위해 말 인지능력의 향상이 필수적이지만 정서적 안정과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음악 지각능력도 향상 되어야 한다. 특히 요즈음은 선천성 난청일 경우 인공와우를 1~2세에 수술하여 평생 인공와우를 착용하고 생활을 하게 되는데 그러한 아동의 정서적 안정과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음악지각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또한 노인 인구가 증가하면서 나타나는 노인성 난청의 증가로 보청기를 착용하는 사례도 많아지고 착용기간도 늘어나면서 음악을 포함한 다양한 재활은 노인의 삶의 질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게 되었다. 따라서 청각장애인에 니즈를 반영한 맞춤형 음악재활 훈련이 필요한데 현재 선진국에서 일부 인공와우 착용자 들에게 간단한 음악 요소별 음악 재활훈련이 시도되어 단편적인 효과가 입증되었다. 이러한 해외의 음원은 국내정서와 달라 그대로 사용하기에는 무리가 있고, 자료도 공유되지 않고, 음악의 종합적인 재활자료로 사용하기에도 미흡한 부분이 많다. 따라서 본 연구의 초기과정에서 개발된 구체적인 음악지각검사인 AMP를 통해 검사결과를 정량화하고 이를 기반으로 개인의 니즈를 반영한 맞춤형 음악재활 프로그램 모듈을 음악 요소별로 구성할 수 있는 음악재활 프로그램인 MRP 플랫폼을 개발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연구과정에서 산출될 것으로 예상되는 중간결과물은 개발된 AMP와 MRP이고 개발과정에서 정상청력 그룹, 보청기착용 그룹, 인공와우착용 그룹의 음악 요소별 분석 조사 자료도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MRP 플랫폼에 활용될 음원과 모듈별 음악재활의 예시도 구체적으로 산출되어 실질적 음악재활이 가능하게 하는 결과물로 제시될 것이다. 또한 다음과 같은 학문적․사회적 기여를 기대할 수 있다.
    ▶정상인과 청각장애인의 음악 분석 특성을 확인하여 그에 맞는 맞춤형 음원과 음악 장르를 개발하는데 기여한다.
    ▶음악요소에 대한 정량적 측정으로 감성과학(감성지수/계측)과 접목하여 시대적 트랜드인 감성과 제품 개발에 청각적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개발 자료를 웹 베이스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전문가/부모 또는 양육자/본인도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모형으로 개발할 수 있다.
    ▶향후 포털사이트 운영으로 접속자나 지원자에게 원격재활을 실시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할 수 있다.
    ▶특수교육학, 청각학, 언어치료학, 아동학, 노년학, 사회복지, 감성과학 등 관련 학문에 기본 분석 자료를 제시하여 교육 및 연구의 연계적 활동이 가능하다.
    ▶학문 발전을 위하여 음악재활전문가를 양성하고 지속적으로 이 분야의 인재양성을 위한 교육과정을 정립할 수 있다.
    ▶전 생애주기에 해당하는 청각장애인의 전반적인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한다.
    ▶증가하는 노인인구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여 노인복지를 구현한다.
    ▶청각장애 아동의 성장에 따라 특수교육이 필요한 아동의 개별화 프로그램으로 ‘효율적’전이가 가능하다.
    ▶유소아기에 인공와우 수술을 받거나 보청기를 착용하는 아동의 정서적 발달에 기여한다.
    ▶청각장애뿐 아니라 언어장애나 발달지체를 보이는 경우에도 재활 프로그램으로 활용하여 전반적인 인지 발달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한다.
    ▶보건복지부에서 시행하는 바우처(청능치료와 언어치료) 제도의 적용 및 사용범위에 접목하여 실질적 수혜자를 증가시키고 전반적인 발달을 촉진한다.
    ▶증가하는 청각장애아동과 노인의 사회적 비용을 절감하고 복지를 앞당길 수 있다.
  • 연구요약
  • AMP검사 개발을 위해 음악의 가장 기본요소인 피치, 멜로디, 음색에 대한 음악지각경향 분석을 위한 예비검사는 이미 진행하였다. 이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그 외에 리듬, 화음, 감정 반응, WRS, SRT, 새로 제작된 음악 감상 태도 및 만족도 설문지(Music listening and Satisfaction Questionnaire, MASQ)검사 등을 포함하는 최종 AMP검사구성을 완성한다. 이 검사자료를 정상 청력, 보청기 착용그룹, 인공와우착용 그룹에 적용하여 결과를 분석한 후 각 그룹별 음악지각 특성을 확인하고 세 그룹 모두에 적용할 수 있는 음악 요소별로 음원을 녹음하고 홈페이지에 제시된 자료를 수집하여 음악 재활 프로그램인 MRP 플랫폼을 제작한다. 이렇게 제작된 MRP는 사례별로 적용한 후 그 효과를 재활프로그램 적용 전후의 AMP 검사결과와 두 개의 다른 피치 소리자극에 대한 단기기억흔적을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Mismatch Negativity (MMN) 검사와 비교하여 음악소리에 대한 뇌 가소성의 변화를 측정한다. 이렇게 음악 요소별·사례별 재활효과를 검증하여 청각장애의 종류, 기간, 착용 보조기기의 증폭방식에 적절한 모듈을 제시하여 각 개인의 니즈에 맞게 전문가가 음악 재활을 실시할 수 있도록 MRP를 완성한다. 최종적으로는 웹 베이스로 승인을 통해 공유할 수 있는 MRP 홈페이지 사이트를 제작하여 전문가와 필요로 하는 개인에게 제공한다. 유기적으로 연계된 1, 2, 3차 년도 연구를 단계적으로 진행하여 구체적인 ARP검사를 구성하고 이를 분석하여 모듈별 MRP를 플랫폼으로 개발하고자한다.

    1, 2, 3차 년도의 연구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이미 시행된 예비연구로 피치, 멜로디, 음색검사 AMP의 초안으로 작성하여 정상청력 20명 인공와우 착용자 10명을 대상으로 검사하였다. 요약하면 피치, 멜로디, 음색지각검사에서 인공와우 착용 그룹은 정상청력 그룹보다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저조한 수행력을 보였으나([F(1, 18) = 1.760, p = 0.013], [F(1, 18) = 1.821, p = 0.031], [F(1, 18) = 1.731, p = 0.005]) 피치 지각 검사에서 멜로디와 음색 검사 보다는 더 좋은 수행력을 보이는 결과를 나타냈고 현재 추가 분석을 시행하며 논문을 작성 중이다. 이러한 예비연구를 진행하며 음악 요소별 검사 도구를 개발할 필요성을 확인하여 1차년도는 피치, 멜로디, 음색검사의 결과를 기반으로 검사내용을 수정 보완하고 리듬, 화음, 감정 반응, 어음검사 중 어음인지도(Word Recognition Score, WRS)와 어음청취역치검사(Speech Reception Threshold, SRT)로 확장한 AMP검사의 구성 요소를 정리하고자 한다. 또한 일반적 공통16문항과 청각장애인용 설문 5문항이 추가된 MASQ도 개발하여 최종 AMP 프로토콜을 작성할 것이다. 이 검사를 정상청력인 30명과 보청기 착용자 20명, 인공와우 착용자 20명, 인공와우와 보청기 하이브리드 착용자 20명을 대상으로 검사하여 최종 AMP 검사 구성의 선정 작업을 진행하고 음악 요소별로 정상정력인과 청각장애인의 보조기기 착용유형별 특성을 분석한다. 2차년도는 AMP분석을 통해 MRP 플랫폼을 제작한다. MRP는 리듬, 음색, 멜로디, 화음 요소의 음원을 녹음이 필요한 경우 전문 음악인을 통해 녹음실에서 녹음하여 음원을 확보하거나 인터넷에서 제공되는 자료를 활용한다. MRP 플랫폼에 포함될 모듈의 총수와 범위를 결정하기 위해 보조기기의 착용, 청력 손실의 정도, 연령으로 세 가지 경우의 매칭으로 음악 요소별 선정과 난이도를 조정하여 30개 모듈로 조정한다. 또한 선호도에 따라 재활프로그램을 구성할 수 있도록 장르별 음원을 모듈별로 여러 개 포함하여 음원을 반복적으로 분석해서 듣고 스스로 훈련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MRP활용 시 음악요소별 점수들을 조회하여 자가 점검하며 본인이 잘 이해하거나 취약한 음악 요소를 확인하여 훈련하고 음악을 듣는 방법을 스스로 개선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MRP를 진행한 날짜와 시간, 진행 요소들 등의 구체적인 정보도 누적 정리하고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자기 추적이 가능하도록 하며 AMP 검사 결과와 MRP 진행 내용을 정답률(%)로 정량화하고 그래프로 분석하여 확인이 용이하도록 한다. 3차년도에는 모듈별로 약 10명씩 MRP를 적용하고 효과를 검증한다. 즉, MRP 시행 전 후의 주관적 검사인 AMP의 정량화된 결과와 두 개의 다른 피치 소리자극에 대한 단기기억흔적을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MMN 검사와 비교하여 음악소리에 대한 뇌 가소성의 변화를 측정한다. 이 과정을 통해 미세 수정을 한 MRP 플랫폼으로 최종 완성한다. 이를 근거로 매뉴얼을 작성하고 그 자료를 토대로 웹 베이스의 자료로 구성하여 업로드하고 대중적 접근이 용이하도록 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음악의 기본요소와 여러 영역을 구체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한국형 음악지각검사(Assessment of Music Perception, AMP)도구를 개발하고 그 자료를 기반으로 음악재활 프로그램 (Music Rehabilitation Program, MRP)를 개발하여 국내 정상인과 청각장애인의 음악지각능력에 대한 이해도를 제고하고 그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유기적으로 연계된 1, 2, 3차 년도 연구를 단계적으로 진행하여 구체적인 ARP검사를 구성하고 이를 분석하여 모듈별 MRP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AMP검사 개발을 위해 음악의 가장 기본요소인 피치, 멜로디, 음색에 대한 음악지각경향 분석을 위한 예비검사는 이미 진행하였다. 이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그 외에 리듬, 화음, 감정 반응, WRS, SRT, 새로 제작된 음악 감상 태도 및 만족도 설문지(Music listening and Satisfaction Questionnaire, MASQ)검사 등을 포함하는 최종 AMP 검사구성을 완성하였다. 이 검사자료를 정상 청력, 인공와우착용 그룹에 적용하여 결과를 분석한 후 각 그룹별 음악지각 특성을 확인하고 청각장애에게 적용할 수 있는 음악 요소별로 음원을 녹음하고 홈페이지에 제시된 자료를 수집하여 음악 재활 프로그램인 MRP 플랫폼을 제작하였다. 이렇게 제작된 MRP는 사례별로 적용한 후 그 효과를 재활프로그램 적용 전후의 AMP 검사결과와 두 개의 다른 피치 소리자극에 대한 단기기억흔적을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Mismatch Negativity (MMN) 검사와 비교하여 음악소리에 대한 뇌 가소성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이렇게 음악 요소별·사례별 재활효과를 검증하여 적절한 모듈을 제시하여 각 개인의 니즈에 맞게 전문가가 음악 재활을 실시할 수 있도록 MRP를 완성하였다.
  • 영문
  • This study developed a Korean-style Assessment of Music Perception (AMP) that can specifically evaluate the basic elements and various areas of music, and developed a Music Rehabilitation Program (MRP) based on the data. The purpose is to increase understanding of the music perception abilities of normal and hearing impaired people in Korea and improve their abilities. The organically linked 1st, 2nd, and 3rd years of research were conducted step by step to construct a specific ARP test materail and analyze it to develop MRP for each module. To develop the AMP test, music perception tendencies for the most basic elements of music: pitch, melody, and timbre were analyz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test, the final AMP test composition was completed, including rhythm, harmony, emotional response, WRS, SRT, and the newly created Music Listening and Satisfaction Questionnaire (MASQ) test.
    After applying this test data to the normal hearing and cochlear implant groups and analyzing the results, the music perception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were confirmed. Sound sources were recorded for each music element that can be applied to the hearing impaired. We created the MRP, a rehabilitation program. The MRP created in this way is applied on a case-by-case basis and its effect is compared with the AMP test results before and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rehabilitation program and the Mismatch Negativity (MMN) test, which objectively evaluates short-term memory traces for two different pitch sound stimuli, to determine the effect of music sounds. Changes in brain plasticity were measured. In this way, the MRP was completed by verifying the rehabilitation effects of each music element and case and suggesting appropriate modules so that experts can perform music rehabilitation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hearing impaired.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AMP검사 개발을 위해 음악의 가장 기본요소인 피치, 멜로디, 음색에 대한 음악지각경향 분석을 위한 예비검사는 이미 진행하였다. 이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그 외에 리듬, 화음, 감정 반응, WRS, SRT, 새로 제작된 음악 감상 태도 및 만족도 설문지(Music listening and Satisfaction Questionnaire, MASQ)검사 등을 포함하는 최종 AMP검사구성을 완성하였다. 이 검사자료를 정상 청력, 인공와우착용 그룹에 적용하여 결과를 분석한 후 각 그룹별 음악지각 특성을 확인하고 청각장애에게 적용할 수 있는 음악 요소별로 음원을 녹음하고 홈페이지에 제시된 자료를 수집하여 음악 재활 프로그램인 MRP 플랫폼을 제작하였다. 이렇게 제작된 MRP는 사례별로 적용한 후 그 효과를 재활프로그램 적용 전후의 AMP 검사결과와 두 개의 다른 피치 소리자극에 대한 단기기억흔적을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Mismatch Negativity (MMN) 검사와 비교하여 음악소리에 대한 뇌 가소성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이렇게 음악 요소별·사례별 재활효과를 검증하여 적절한 모듈을 제시하여 각 개인의 니즈에 맞게 전문가가 음악 재활을 실시할 수 있도록 MRP를 완성하였다. 유기적으로 연계된 1, 2, 3차 년도 연구를 단계적으로 진행하여 구체적인 ARP검사를 구성하고 이를 분석하여 모듈별 MRP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1, 2, 3차 년도의 연구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예비연구로 피치, 멜로디, 음색검사 AMP의 초안으로 작성하여 정상청력 20명 인공와우 착용자 10명을 대상으로 검사하였다. 요약하면 피치, 멜로디, 음색지각검사에서 인공와우 착용 그룹은 정상청력 그룹보다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저조한 수행력을 보였으나([F(1, 18) = 1.760, p = 0.013], [F(1, 18) = 1.821, p = 0.031], [F(1, 18) = 1.731, p = 0.005]) 피치 지각 검사에서 멜로디와 음색 검사 보다는 더 좋은 수행력을 보이는 결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연구를 진행하며 1차년도는 피치, 멜로디, 음색검사의 결과를 기반으로 검사내용을 수정 보완하고 리듬, 화음, 감정 반응, 어음검사 중 어음인지도(Word Recognition Score, WRS)와 어음청취역치검사(Speech Reception Threshold, SRT)로 확장한 AMP검사의 구성 요소를 정리하였다. 또한 일반적 공통16문항과 청각장애인용 설문 5문항이 추가된 MASQ도 개발하여 최종 AMP 프로토콜을 작성하였다. 이 검사를 정상청력인 , 인공와우 착용자를 대상으로 적용하였다. 2차년도는 AMP분석을 통해 MRP를 개발하였다. MRP는 리듬, 음색, 멜로디, 화음 요소의 음원을 녹음이 필요한 경우 전문 음악인을 통해 녹음실에서 녹음하여 음원을 확보하거나 인터넷에서 제공되는 자료를 활용하였다. 보조기기의 착용, 청력 손실의 정도, 연령으로 세 가지 경우의 매칭으로 음악 요소별 선정과 난이도를 조정하여 30개 모듈로 조정하고 장르별 음원을 모듈별로 여러 개 포함하여 음원을 반복적으로 분석해서 듣고 스스로 훈련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MRP활용 시 음악요소별 점수들을 조회하여 자가 점검하며 본인이 잘 이해하거나 취약한 음악 요소를 확인하여 훈련하고 음악을 듣는 방법을 스스로 개선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MRP를 진행한 날짜와 시간, 진행 요소들 등의 구체적인 정보도 누적 정리하고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자기 추적이 가능하도록 하며 AMP 검사 결과와 MRP 진행 내용을 정답률(%)로 정량화하고 그래프로 분석하여 확인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3차년도에는 MRP를 적용하고 효과를 검증하였다. 즉, MRP 시행 전 후의 주관적 검사인 AMP의 정량화된 결과와 두 개의 다른 피치 소리자극에 대한 단기기억흔적을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MMN 검사와 비교하여 음악소리에 대한 뇌 가소성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 미세 수정을 한 MRP를 최종적으로 완성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연구과정에서 산출된 결과물은 개발된 AMP와 MRP이다. AMP는 정상청력그룹, 보청기착용 그룹, 인공와우착용 그룹의 음악 요소별 분석 조사 자료로 제시되었다. MRP는 음원과 모듈별 음악재활 방법이 구체적으로 산출되어 실질적 음악재활이 가능하게 하여 청각장애의 음악재활에 적용될 수 있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은 학문적·사회적 기여도를 기대할 수 있다.
    ▶정상인과 청각장애인의 음악 분석 특성을 확인하여 그에 맞는 맞춤형 음원과 음악 장르를 개발하는데 기여한다.
    ▶음악요소에 대한 정량적 측정으로 감성과학(감성지수/계측)과 접목하여 시대적 트랜드인 감성과 제품 개발에 청각적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개발 자료를 웹 베이스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전문가/부모 또는 양육자/본인도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모형으로 개발할 수 있다.
    ▶향후 포털사이트 운영으로 접속자나 지원자에게 원격재활을 실시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할 수 있다.
    ▶특수교육학, 청각학, 언어치료학, 아동학, 노년학, 사회복지, 감성과학 등 관련 학문에 기본 분석 자료를 제시하여 교육 및 연구의 연계적 활동이 가능하다.
    ▶학문 발전을 위하여 음악재활전문가를 양성하고 지속적으로 이 분야의 인재양성을 위한 교육과정을 정립할 수 있다.
    ▶전 생애주기에 해당하는 청각장애인의 전반적인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한다.
    ▶증가하는 노인인구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여 노인복지를 구현한다.
    ▶청각장애 아동의 성장에 따라 특수교육이 필요한 아동의 개별화 프로그램으로 ‘효율적’전이가 가능하다.
    ▶유소아기에 인공와우 수술을 받거나 보청기를 착용하는 아동의 정서적 발달에 기여한다.
    ▶청각장애뿐 아니라 언어장애나 발달지체를 보이는 경우에도 재활 프로그램으로 활용하여 전반적인 인지 발달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한다.
    ▶보건복지부에서 시행하는 바우처(청능치료와 언어치료) 제도의 적용 및 사용범위에 접목하여 실질적 수혜자를 증가시키고 전반적인 발달을 촉진한다.
    ▶증가하는 청각장애아동과 노인의 사회적 비용을 절감하고 복지를 앞당길 수 있다.
  • 색인어
  • 음악기본요소, 피치, 멜로디, 음색, 리듬, 정량화, 청능치료, 음악지각검사, 음악재활 프로그램, 청각장애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