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태권도 정책과 제도에 관한 인식 분석과 개선방안 및 우선순위 도출
The Analysis of Awareness, Improvement Plans and Priorities for Taekwondo Policies and Systems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신진연구자지원사업(인문사회)
연구과제번호 2020S1A5A8047529
선정년도 2020 년
연구기간 2 년 (2020년 05월 01일 ~ 2022년 04월 30일)
연구책임자 박성언
연구수행기관 화성의과학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는 정부의 태권도 정책과 제도와 관련된 인식을 분석하고 나아가 태권도 정책과 제도의 개선방안 및 상대적 우선순위를 도출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정량분석(quantitative analysis)과 정성분석(qualitative analysis)을 결합한 통합연구방법(mixed methods)을 적용하여 1-2차년도에 걸친 종단연구(longitudinal research)를 수행할 예정이고 1차년도 연구에서는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하여 박근혜 정부와 문재인 정부의 태권도 정책과 제도에 관한 인식을 알아보는데 1차년도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태권도의 정책과 제도와 관련된 객관적인 인식을 파악할 수 있고 나아가 태권도계의 이슈(issue)들과 경향(trend)들을 함께 파악함으로써 태권도 정책과 제도의 개선방안 및 우선순위를 도출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2차년도 연구에서는 델파이·AHP 기법을 통해 정부 태권도 정책과 제도의 개선방안과 상대적 우선순위를 도출하는데 2차년도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태권도 정책과 제도와 관련된 발전적인 개선방안들을 제시할 수 있고 나아가 태권도 정책과 제도의 효율적 배분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계층화된 기초자료도 함께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기대효과
  • 첫째, 태권도 정책과 제도에 관한 인식 분석을 통하여 태권도 정책과 제도에 관한 객관적이고 구체적인 사실을 제공할 수 있다.
    둘째, 태권도 정책과 제도의 개선방안과 우선순위 도출을 통하여 태권도 정책과 제도의 활성화와 발전에 필요한 학문적, 실증적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다.
    셋째, 본 연구를 통해 생산되는 다양한 결과물들은 태권도학을 연구하는 동료들과 학생들에게 공개되어 태권도 정책과 제도와 관련된 새로운 아이디어(idea)와 내용을 전달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태권도의 정책과 제도에 대한 관심을 유발할 수 있다.
    넷째,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물들을 문체부, 국기원, 대한태권도협회, 태권도진흥재단 등과 제공함으로써 태권도 행정과 정책에 필요한 정보와 내용을 공유할 수 있다.
    다섯째,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물들을 국내 태권도학과를 설치 및 운영하고 있는 대학들과 태권도 행정기관들과 연계하여 태권도 정책 및 제도와 관련된 세미나를 개최하는데 필요한 교육용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 연구요약
  • 본 연구에서는 방대한 데이터의 집합체를 의미하는 빅데이터(big data) 자료 분석 (Brown, Chui & Manyika, 2011)을 통해 태권도 정책과 제도와 관련된 객관적인 인식을 분석하고 인식 분석을 통해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태권도 정책과 제도의 개선방안 및 상대적 우선순위를 도출하여 태권도 정책과 제도에 관한 실증적인 정책적·제도적 근거를 마련하고 나아가 태권도의 활성화와 발전 그리고 브랜드 가치 제고에 필요한 학문적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본 연구의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1-2차년도로 구분하여 종단연구를 수행할 것이고 1차년도 연구에서는 빅데이터 자료, 2차년도 연구에서는 전문가 패널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할 것이다. 또한 수집된 자료는 빅데이터 분석, 델파이·AHP 기법을 활용하여 자료들을 분석할 것이며 이러한 절차와 과정을 통해 태권도 정책과 제도의 인식 분석과 개선방안 및 상대적 우선순위를 체계적으로 도출할 것이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에서는 방대한 데이터의 집합체를 의미하는 빅데이터(big data) 자료 분석 (Brown, Chui & Manyika, 2011)을 통해 태권도 정책과 제도와 관련된 객관적인 인식을 분석하고 인식 분석을 통해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태권도 정책과 제도의 개선방안 및 상대적 우선순위를 도출하여 태권도 정책과 제도에 관한 실증적인 정책적·제도적 근거를 마련하고 나아가 태권도의 활성화와 발전 그리고 브랜드 가치 제고에 필요한 학문적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본 연구의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1-2차년도로 구분하여 종단연구를 수행하였고 1차년도 연구에서는 빅데이터 자료 분석, 2차년도 연구에서는 전문가 패널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또한 수집된 자료는 빅데이터 분석, 델파이·AHP 기법을 활용하여 자료들을 분석하였으며 이러한 절차와 과정을 통해 태권도 정책과 제도의 인식 분석과 개선방안 및 상대적 우선순위를 체계적으로 도출하였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erceptions related to the government's Taekwondo policy and system, and furthermore, to derive the improvement plan and relative priority of the Taekwondo policy and system.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mixed methods combining quantitative analysis and qualitative analysis were applied and longitudinal research was conducted over the first and second years. In the first year study, big data analysis was performed, and in the second year study, the Delphi method and the AHP method were applied to the expert panel. Through these procedures and processes, the perception analysis of Taekwondo policies and systems, improvement measures, and relative priorities were systematically derived.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에서는 방대한 데이터의 집합체를 의미하는 빅데이터(big data) 자료 분석 (Brown, Chui & Manyika, 2011)을 통해 태권도 정책과 제도와 관련된 객관적인 인식을 분석하고 인식 분석을 통해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태권도 정책과 제도의 개선방안 및 상대적 우선순위를 도출하여 태권도 정책과 제도에 관한 실증적인 정책적·제도적 근거를 마련하고 나아가 태권도의 활성화와 발전 그리고 브랜드 가치 제고에 필요한 학문적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본 연구의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1-2차년도로 구분하여 종단연구를 수행하였고 1차년도 연구에서는 빅데이터 자료, 2차년도 연구에서는 전문가 패널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또한 수집된 자료는 빅데이터 분석, 델파이·AHP 기법을 활용하여 자료들을 분석하였으며 이러한 절차와 과정을 통해 태권도 정책과 제도의 인식 분석과 개선방안 및 상대적 우선순위를 체계적으로 도출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첫째, 태권도 정책과 제도에 관한 인식 분석을 통하여 태권도 정책과 제도에 관한 객관적이고 구체적인 사실을 제공할 수 있다.
    둘째, 태권도 정책과 제도의 개선방안과 우선순위 도출을 통하여 태권도 정책과 제도의 활성화와 발전에 필요한 학문적, 실증적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다.
    셋째, 본 연구를 통해 생산되는 다양한 결과물들은 태권도학을 연구하는 동료들과 학생들에게 공개되어 태권도 정책과 제도와 관련된 새로운 아이디어(idea)와 내용을 전달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태권도의 정책과 제도에 대한 관심을 유발할 수 있다.
    넷째,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물들을 문체부, 국기원, 대한태권도협회, 태권도진흥재단 등과 제공함으로써 태권도 행정과 정책에 필요한 정보와 내용을 공유할 수 있다.
    다섯째,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물들을 국내 태권도학과를 설치 및 운영하고 있는 대학들과 태권도 행정기관들과 연계하여 태권도 정책 및 제도와 관련된 세미나를 개최하는데 필요한 교육용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 색인어
  • 태권도 정책과 제도, 인식 분석, 개선방안 및 우선순위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