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매체는 전통적인 매체와는 달리 개인과 개인을 연결해 주는 대인 매체(interpersonal media) 혹은 사교추구적 매체(social media)가 발달하면서 이들 매체 이용의 효과가 더욱 커져 가고 있다 (김은미, 나은영, & 박소라, 2010). 다시 말해, 인터넷을 통하여 메신 ...
디지털 매체는 전통적인 매체와는 달리 개인과 개인을 연결해 주는 대인 매체(interpersonal media) 혹은 사교추구적 매체(social media)가 발달하면서 이들 매체 이용의 효과가 더욱 커져 가고 있다 (김은미, 나은영, & 박소라, 2010). 다시 말해, 인터넷을 통하여 메신저, SNS, 이메일, Youtube, 온라인카페 등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형태가 등장하게 되었고, 이러한 매체의 이용은 사람들이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는 틀을 변화시키고 있다. 한국인터넷 진흥원(2017)의 조사에 따르면 6-19세의 인스턴트메신저 이용률은 83.7%이었고, SNS 이용자는 59.3%, 이메일 이용자는 45.4%에 달하였으며, 특히 10대의 경우 인터넷을 이용하는 주요 목적이 커뮤니케이션(97.1%)을 위한 것으로 나타났다(한국인터넷진흥원, 2017).
인터넷은 다양한 자료와 정보, 오락, 커뮤니케이션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다른 매체와는 달리 단순히 이용시간이나 이용 빈도를 가지고 효과를 속단하기는 어렵다고 할 수 있다. 게다가 인터넷과 같은 디지털 매체는 다른 매체와는 달리 주로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목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만큼 커뮤니케이션 매체의 특징이나 이용패턴에 따라서 매우 상이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즉 같은 매체를 이용하더라도 어떤 목적으로 이용하느냐에 따라 그 효과는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다 (Bessiere et al, 2008; Shen & Williams, 2010). 따라서 온라인을 통해 어떤 매체를 이용하는지 뿐만 아니라 어떤 목적으로 이들 매체를 이용하는 지를 살펴보는 것은 매우 의미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인터넷은 사람과 사람을 연결시켜 주는 커뮤니케이션 매체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새로운 미디어가 기존의 인간관계 형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는 비단 인터넷 뿐 아니라 이미 전통적 미디어 영역에서도 밝혀진 바가 있다(Holtz-Bacha, 1990; Hooghe, 2002; Norris, 1996; Putnam, 2000; Shah, 1998). 이러한 매체는 특히 청소년 스스로가 사회화해 가는데 있어 중요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 (Arnett, 1995). 이러한 맥락에서 인터넷을 통한 커뮤니케이션 매체의 활용이 청소년의 사회적 관계 형성과 어떤 관련이 있는가를 밝혀내는 것은 매우 중요한 문제라 할 수 있다.
나아가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사회·심리적 관계 요인들이 어떻게 그들의 신체적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지 그리고 사회·심리적 관계 요인들이 매개 변인으로 작용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사실 사회적 요인이 신체적 건강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는 새로운 것이 아니다. 지금까지 많은 연구들이 사회적 관계요인들이 기대수명 (Lynch, Smith, Hillemeier, Shaw, Raghunathan & Kaplan, 2001; Siahpush & Singh, 1999), 삶의 만족도 (Helliwell & Putnam, 2004), 사망률 (Hyyppä & Mäki, 2001; Kawachi, Kennedy, Lochner, & Prothrow-Stith, 1997; Kennedy, Kawachi, & Brainerd, 1998), 심장병 (Sundquist, Lindstrom, Malmstrom, Johansson & Sundquist, 2004), 그리고 건강에 관한 인식 (Kawachi, Kennedy, & Glass, 1999; Lindström, 2004; Rose, 2000) 등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매체와 수면, 몸무게, 운동 등 청소년의 신체적 건강 사이에서 사회적 관계가 매개 변인으로 작용하는지를 조사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청소년의 커뮤니케이션 매체 이용과 사회적 관계, 그리고 신체적 건강의 관련성을 살펴보는 것은 의미가 있을 뿐 아니라 향후 매체 이용이 청소년의 신체적 건강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 지를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커뮤니케이션 매체의 특징뿐만 아니라 이용목적에 따른 청소년의 사회관계 형성, 나아가 신체적 건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