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논문 상세정보

논문 상세정보

[학술논문] 남한강 중상류지역의 철기시대 문화의 특징 : 최근 발굴자료를 중심으로
Characteristics of Iron-age Culture in Upper-middle Stream of Namhan-river - Focusing on Recent Excavation Materials
이논문은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한성백제의 영역 변천 연구 -동계와 북계를 중심으로- | 심재연(한림대학교) )의 '원자료'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DB구축사업 참여 관련분야 전문가가 추가 입력한 정보입니다.
학술지명 고고학 (ISSN : 1598-9852)
발행정보 2007-01-01 / Vol.6 No.2 / pp. 39 ~ 67
발행처/학회 중부고고학회
주저자 심재연 (한림대학교)
색인어 철기문화, 연문화, 고조선, 위만조선, 낙랑군, 절대연대, 점토대토기, 단결문화, 크로우노프카문화, 경질무문토기, 말갈, 한성백제, 적석총, 부뚜막, 원말갈토기, 매장공간, 마을, 지역적 차이, 유물복합체
연계링크 출처: 한국교육학술정보원
  • 주초록(메인언어)
  • 최근 남한강 중·상류지역에서는 약 17개 유적이 확인되었다. 이 유적들은 남한강 본류 이외에 각 (소)지류에 분포하고 있으며 각 지류별혹 특징적인 문화상을 남겼다고 생각된다. 각 유적에서 확인되는 주거지는 대부분의 평면 형태가 철자형과 여자형으로 지금까지는 철자형이 주된 분포를 보이고 있었다. 평면형대의 변화에 따른 시기 구분의 대체적인 흐름에 있어서는 유의미하지만 각 유적내의 편년에 있어서는 제고의 여지가 있다고 생각되며 주거지 내부 시설인 노지도 각 형식에 다른 계기적인 발전 단계로 보는 데에는 재고의 여지가 있다. 일부 유적에서 보이는 유물상은 호서지역과 영동지역과의 상호관계를 보여주는 것으로 차후 영동, 남한강유역, 호서지역과의 관련성과 한성백제와의 상호 관계에 대한 심도 깊은 검토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유적의 연대는 대부분이 기원 2~4세기대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며 일부 주거지의 경우는 5세기 전반까지도 해당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1a0202e37d52c72d&control_no=f4f9a467ab5f7897ffe0bdc3ef48d419#redirect)
  • 메타작성자초록
  • 본 자료는 최종결과물(결과보고서)의 원자료이다.

    본 연구는 한성백제의 영역 변천에 관한 연구로, 경기북부지역과 영서지역의 고고문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상이성과 상사성 및 영역화와 변화 과정을 고찰하였다. 이 때 본 자료의 시기별 고고문물 연구가 주요하게 활용되었다.
  • 부초록(다른언어)
  • Recently, there have been about 17 remains found near the upper-middle stream of Namhan-river. These remains were distributed in each (small) branch streams as well as the main stream of Namhan-river, and it has been thought that each branch stream had distinct cultural aspects. The dwelling sites found in each area were composed of projected-letter-form(凸字形) and yeo-letter-type(呂字形) in plain forms and the projected-type form was a dominant form so far. It was significant in the overall tendency of the period classification according to the change in plane form. However, it has been believed that some reconsideration would be unavoidable in chronological recording within each remain. Furthermore, in terms of the form of bare ground, one of the inner facilities of dwelling sites, there have been controversies on whether there were uniquely different development stages in each form. The shape of relics found in some remains definitely showed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Hoseo area and Yeongdong area, and it has been noted that there would be in-depth further studies on the correlation with Yeongdong, Namhan-river area and Hoseo area and interrelationship with Hanseong Baekje Period in the future. With regards to the historical date of remains, it has been believed that most of the remains belonged to the period between 2nd and 4th century and some dwelling sites could belong to the period up to the first half of the 5th century.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1a0202e37d52c72d&control_no=f4f9a467ab5f7897ffe0bdc3ef48d419#redirect)
  • 목차
  • 요약
    Ⅰ. 머리말
    Ⅱ. 유적 개관
    Ⅲ. 남한강 중·상류지역 철기문화의 특징
    Ⅳ. 맺음말
    참고문헌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1a0202e37d52c72d&control_no=f4f9a467ab5f7897ffe0bdc3ef48d419#redirect)
  • 이 논문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