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단행본 상세정보

단행본 상세정보

동북아 지역통합에 관한 다차원적 분석
이 단행본은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동북아 지역통합과정에 관한 다차원적 분석 | 2002 년 인문사회분야지원국내외지역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권만학(경희대학교& #40;국제캠퍼스& #41;)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2년 이내에 최종연구결과물로 학술논문 또는 저역서를 해당 사업 신청요강에서 요구하는 수량 이상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최종연구결과물 제출 조건이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02-072-BS2515
발행처 경희대학교 출판국
발간년월 2005년 11월
저자수 6
공저자 민병일
권만학
양준희
최천모
박한규
정진영
소장 도서관
확인
초록
  • 국문
  • 동북아를 포함하는 아시아·태평양지역, 동아시아지역에 있어서 다양한 국제 협력의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고, 이들에 대한 연구도 비교적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런데 기존의 연구들은 대개 학문적 경계에 따라 경제협력, 안보협력, 환경협력 등 각각의 쟁점영역들에 있어서 역내 국가들 간의 국제협력추세를 연구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경제학자들을 중심으로 하여 지역경제협력에 대한 연구가 가장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리고 최근 들어 안보협력, 환경협력 등 비경제적 영역에서의 지역협력 연구도 크게 증가하는 추?옘엔? 있다. 지역통합의 추세에 따라 나타나는 자연스럽고 당연한 결과이다. 특히 동아시아의 금융위기 이후 지역국가들의 지역협력에 대한 태도가 적극성을 띄기 시작했고, ASEAN+3을 중심으로 어느 정도 협력의 성과를 거두고 있기도 하다. 역내 국가들이 지역적 차원의 금융위기를 겪으면서 같은 배를 타고 있다는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지역적 분위기에 발맞추어 동아시아 협력에 대한 연구도 증가하는 추세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기존의 연구성과를 충분히 활용하여 본 연구가 의도하는 다차원적이고 역사적인 지역통합과정?? 대한 분석을 시도하고자 한다.
  • 이 단행본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