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황산화 탈질공정 연구
생물학적 탈질화는 호기성 조건하에서의 질산화반응과 무산소 조건하에서의 탈질반응으로 이루어진다. 다른 생물학적 반응과 같이 탈질화 역시 반응조내의 여러 환경적 조건들 즉, pH, 온도, 용존산소 농도, 기질의 종류 및 농도, 그리고 독 ...
1) 황산화 탈질공정 연구
생물학적 탈질화는 호기성 조건하에서의 질산화반응과 무산소 조건하에서의 탈질반응으로 이루어진다. 다른 생물학적 반응과 같이 탈질화 역시 반응조내의 여러 환경적 조건들 즉, pH, 온도, 용존산소 농도, 기질의 종류 및 농도, 그리고 독성물질의 유무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질산화는 암모늄-질소가 아질산성 질소로 다시 질산성 질소로 산화되는 일련의 과정이다. 생물학적 탈질은 질산성 질소를 질소가스로 바꾸는 것이며, 이때 질산성 질소는 생물학적 호흡을 위한 전자 수용체의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탈질화를 일으키는 세균들은 자유산소나 다른 질소 물질이 없이 질산을 질소가스화 시킬 수 있는 임의성 미생물들이다. 많은 종속영양계 박테리아와 몇몇 독립영양계 박테리아가 이러한 탈질을 수행할 수 있다. 실제하수에는 종속영양계 미생물이 지배적이기 때문에 이러한 탈질화는 유기물로부터 에너지원을 얻는 메카니즘으로 제한된다. 탈질산화 과정에는 동화작용과 이화작용이 포함된다. 동화작용에 의한 질산성질소의 제거는 질산성질소를 암모늄-질소로 세포합성에 의해서 고정시킨다. 이러한 반응은 질소물질이 하수내에 제한적으로 존재할 때 주로 일어난다. 이화작용에 의한 탈질화는 최종산물로 질소가스를 내게 되는 반응이며, 이러한 탈질화를 통해 하수내의 질산성질소를 제거한다.
기존 생물학적 질소제거 공정에서 총질소 제거효율은 C/N Ratio 및 반송비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유기물이 부족한 경우에는 외부탄소원을 첨가해야 하며, 유기물이 충분한 경우에도 총질소 제거효율을 증가시키려면 반송비 증가 또는 후탈질 과정이 요구된다. 즉, 현재의 대부분 질소제거의 탈질공정으로는 탈질균을 이용한 혐기성 생물학적 처리법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혐기성 생물학적 처리법이 적용되는 경우 전단계에 활성슬러지공법 등의 호기성 생물학적처리공정을 두면 유기물이 제거되므로 탈질을 위해서는 새로이 메탄올과 같은 외부탄소원을 추가적으로 공급해줘야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외부탄소원 첨가에 의한 약품비 증가 및 반송비 증가에 따른 동력비의 상승은 경제성을 저하시키므로 이에 대한 대안으로 아질산으로부터의 탈질, 호기성 탈질(Aerobic Denitrification), 혐기성 암모늄 산화(Anaerobic Ammonium Oxidation, Anammox), H2, Fe(0), 황(Sulfur)등을 이용한 독립영양 탈질에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2) 막분리 연구
정밀여과 공정에서 투과유속의 감소는 대부분 유기물질에 의하여 이루어지므로, 분말활성탄을 이용하여 유기물질의 제거에 응집, 생물학적 처리 복합공정을 사용한다면 이러한 단점을 극복할 수 있다. 실제적인 공정에 도입하기 위해서는 ① 공정 제어, ② 막의 형태, ③ 막의 재질, ④ 막의 세척, ⑤ 질소와 인의 제거, ⑥ 막/생물학적처리의 완벽한 모델링 등에 대해서 심도있게 연구가 진행되어야만 한다. 특히 분리막의 투과특성 및 막오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분리막의 특성과 재질, 유체역학적인 운전조건 등으로 구분하여 고찰하겠다.
3) 생물학적 처리 연구
생물학적 처리 연구는 유기물 분해능력 미생물의 분리 및 동정, 분해 미생물의 특성 조사, 담체의 특성 조사로 나누어 수행될 것이다. 미생물의 세계에는 유용미생물과 유용하지 않은 미생물 그리고 이것도 저것도 아닌 중간 성격을 띠는 미생물(Opportunistic Microorganisms, OM)로 구성되어 있다. 만약 어떤 환경에 유용한 미생물(이러한 미생물들은 그 환경에서 지도자적인 역할을 함)의 수가 많으면 OM미생물들은 유용한 미생물을 따르게 되고 결과적으로 깨끗한 자연정화를 하게된다. 그러나 반대의 환경에서는 유용하지 않은 미생물들을 따르게 되어 결국 좋지 못한 환경을 조성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유용한 미생물들은 분리하여 미생물 Library를 구축하고 적절하게 투여하여 항상 정화능력을 갖는 미생물환경을 조성 할 것이다. 또한 이러한 유용 미생물이 씻겨 나가지 않고 항상 일정량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서 미생물의 서식지인 담체를 개발하여 사용할 예정이다. 이러한 담체 개발에 관한 기술은 이미 본 연구에서 실용화 단계에 와 있기 때문에 생물학적 처리 단계에서 바로 사용할 예정이다. 또한 담체의 재료는 100% 국산의 것으로 제조할 것이다.
4) 최적의 복합공정 개발
복합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해 각 공정에 대한 개별적인 연구 결과를 검토한다. 이를 위하여 생물학적 처리, 응집-막 여과, 수원 조사 및 평가에 대한 연구를 중점적으로 수행하고 그 결과를 교환, 검토하게 될 것이다. 이 과정에서 각 단위공정의 모델을 결합, 개선하여 복합시스템의 거동을 예측하고 성능평가에 이용될 수 있는 모델연구도 병행된다. 개발된 모델은 차후 pil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