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먼저, 벨기에의의 성립과 프랑스어권 왈롱의 정체성을 살펴보고, 그다음으로는 두 언어권 간의 경제적 불균형과 갈등 그리고 벨기에의 정체 및 분열적 사회상황까지를 살펴본다. 먼저, 왈롱지역의 인종과 민족에 대한 기원과 갈등에 대한 역사적 배경을 살 ...
본 연구에서는 먼저, 벨기에의의 성립과 프랑스어권 왈롱의 정체성을 살펴보고, 그다음으로는 두 언어권 간의 경제적 불균형과 갈등 그리고 벨기에의 정체 및 분열적 사회상황까지를 살펴본다. 먼저, 왈롱지역의 인종과 민족에 대한 기원과 갈등에 대한 역사적 배경을 살펴보고, 오늘날 이 지역이 왜 공동체의 분쟁과 분리주의의 위기를 맞고 있는지 조망한다. 최근, 벨기에는 2007년 말 프랑스어를 사용하는 왈롱과 네덜란드어를 쓰는 플랑드르 지방의 갈등으로 분리 독립이라는 위기를 겪었다. 이러한 갈등의 원인은 주지하다시피 이중 민족 그리고 이중 언어로 귀결되는 갈등에서 유래된 것이다. 이러한 벨기에의 특수성을 고려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먼저 역사적 관점으로 민족과 국가의 탄생을 파악하고자 한다. 왈롱과 플랑드르 민족이 벨기에에 정착한 시기는 언제이며, 또한 어떠한 배경에 의해 상이한 두 민족이 하나의 국가가 되었는가를 검토한다.
그 다음으로는 두 언어권 간의 경제적 불균형과 갈등에서는 최근 들어 가장 큰 사회적 정치적 혼란으로 꼽을 수 있는 2007년의 총선, 그리고 그 논쟁의 핵심을 살펴본다. 국가개혁 방안의 핵심은 자치권의 이양인데, 자치권의 확대는 현실적으로 부유한 플랑드르인에게는 유리하지만 소득이 적은 왈롱인에게는 불리하다. 또한, 자치권의 확대는 두 지역의 분리가 더욱 가속화될 수 있으며, 특히 왈롱에서의 정부보조금 감소로 이어질 수 있는 민감한 사안이다. 2005년의 경우 왈롱지역에 지출한 정부보조금은 약 56억 유로로 이는 왈롱 전체 예산의 15%이며, 플랑드르인 1명이 한 해에 929유로 또는 매일 2.5유로를 왈롱인에게 주는 것과 같은 금액이다. 사정이 이러하다보니 왈롱은 자치권의 확대나 분리에 반대하고 플랑드르는 왜 자신들이 왈롱인들을 먹여 살려야하느냐는 볼멘소리를 내는 것이다.
그리고 벨기에의 정체 및 분열적 사회상황에서는 이러한 근본적인 갈등과 분열적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으로 모색되는 벨기에의 정치와 정책에 대해 살펴 볼 것이다. 벨기에는 자국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환으로 헌법 개정에서부터 정체, 정부, 행정 등의 정치 요소의 변화가 다양한 방법으로 모색되고 발전해온 국가이다. 헌법에서는 특히 공동체와 주정부의 법률적 권한과 배타적 권한 그리고 효력이 미치는 지리적 영역 등을 명확히 규정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는 최대한 자치를 인정하는 구조이지만, 그럼에도 통치의 중심이 되는 가장 강력한 기구는 연방정부(État fédéral)이며, 그 아래로 공동체(Communauté), 주정부(Région), 도(Province) 그리고 구(Commune)가 있다. 주정부의 권한은 주로 경제, 환경, 관광 등 땅과 관련된 속지주의적 문제를 처리하는 반면, 공동체는 주로 교육, 문화, 방송 등 사람과 관련된 속인적인 문제를 다룬다는 점에서 차이를 두고 있다. 벨기에의 공동체와 주정부는 연방정부의 하위 기관이라 하기에 어려울 만큼 많은 자치권이 확보되어 있는데, 특정 분야에서는 외교권도 부여된다.
벨기에의 “위기는 계속될 것인가? 또는 벨기에는 분리 독립할 것인가?”라는 대답으로 본 연구의 결론을 대신할 것이다. 결론부터 이야기하면 위기는 지속되겠지만, 분리 독립은 쉽지 않을 것이다. 그 첫 번째 이유는 앞서 보았듯, 양 언어권 간의 갈등을 풀어낼 수 있는 다양한 정당과 제도적인 장치가 효과적으로 작동하기 때문인데, 여기에서 국왕의 중재역할 또한 적지 않은 영향을 준다. 두 번째 이유는 분열의 위기 시 브뤼셀을 나누는 문제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브뤼셀은 벨기에의 정치와 경제 그리고 문화의 중심지일 뿐만 아니라 EU와 NATO의 본부가 위치한 서유럽의 수도이자, 유럽의 중심지이다. 이러한 국제적인 도시를 정치적 문제로 분리한다는 점은 그 이유나 방법에 있어 양 언어권 진영 모두에게 부담되기에 극단적인 분리 독립은 어려울 것이다. 마지막으로 선진화된 갈등해결 방식이다. 2007년 6월의 혼란에도 분리 독립을 위한 극단적이고 과격한 상황은 연출되지 않았다. 이것은 공존이라는 공동의 목표를 두고 수평적이고 평등한 고도의 정치적 해결능력을 갖췄음을 의미한다. 벨기에는 지방자치와 다자주의를 통한 협력의 길을 모색하며, 상호 이해를 통한 장치와 체제를 제도화하고 있다. 이러한 정치적 진화는 잠재적인 분리 독립이라는 난제의 갈등을 최소화하며 이상적인 정체를 창출하는 밑거름이 될 것이다.
우리에게 분리에 기초한 벨기에의 정치시스템은 분단된 한반도와 차후 도래할 통일을 준비한다는 의미에서도 관심이 필요하며, 이러한 이유로 지속적인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또한 유럽연합의 중심인 벨기에의 이해를 통해 대EU정책에 대한 효용성 제고와 관련학문에 대한 인식의 지평을 확대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