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방점법이라는 이론과 분석 방법으로 우리나라 남부지역에 속하는 경남 하동 방언과 전남 광양 방언의 2음절 이상의 어간으로 이루어진 풀이씨(/용언)를 주된 자료로 하여 성조 운율을 비교하는 것이 목적이다. 2음절 이상의 어간을 가진 풀이씨를 주된 자료로 ...
이 연구는 방점법이라는 이론과 분석 방법으로 우리나라 남부지역에 속하는 경남 하동 방언과 전남 광양 방언의 2음절 이상의 어간으로 이루어진 풀이씨(/용언)를 주된 자료로 하여 성조 운율을 비교하는 것이 목적이다. 2음절 이상의 어간을 가진 풀이씨를 주된 자료로 하여 방점법 이론에 의해 경남 하동 방언과 전남 광양 방언의 성조 운율 체계를 비교했다.
먼저 하동 방언과 광양 방언의 방점형(/성조형) 및 음조형 자료를 이용해서 방점법 이론을 간략하게 제시하여 해설함으로 성조 운율에 대한 이해를 도왔다.
3성조 체계를 가진 우리말의 다른 방언들에서와 마찬가지로 하동 방언과 광양 방언에서도 방점 표상은 □(평성, 0점), ·□(거성/측성, 1점), :□(상성, 2점)의 3가지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운율적인 낱말의 첫 음절 위치에서는 □, ·□, :□이 대립을 이룬다. 그런데 ·□과 :□은 강한 중화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하나의 운율적인 낱말 안에서 직접 뒤따르는 음절에 어느 방점이 오든지 그것을 ·□으로 중화시키고, □은 약한 중화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직접 뒤따르는 음절에 평성의 나타남을 허용하지만, ·□과 :□은 모두 ·□으로 중화시킨다.
기저 방점 표시에서는 하동 방언과 광양 방언을 비롯한 우리말의 모든 3성조 방언에서는 어떠한 방점의 연결도 가능하지만, 중화 규칙으로 말미암아 성조형으로 전환하기 직전의 표시인 최종방점표상에서는 방점의 연결 방법 곧 방점형은 1음절 어절에서는 1+2가지, 2음절 어절에서는 2+3개, 3음절 어절에서는 3+2가지, n음절에서는 n+2가지로 제한되어 나타난다. 그러나 하동 방언과 광양 방언에서는 임의적이기는 하지만, 평복형(=평성이 둘 이상 계속되다가 뒤에 측성이 나타나는 방점형)에 사용 빈도가 매우 높은 내적순행평성동화 규칙의 적용으로 말미암아 빈도수가 높은 방점형은 평1형(=평성이 1개뿐인 평측형), 평복형, 거성형, 상성형의 4가지가 주로 나타나며, 3음절 이상인 평복형에서는 그 하위 동아리인 평2형, 평3형, 평4형, …, 평n형, 등은 드물게 나타난다.
하동 방언에서는 □(평성, 0점), ·□(거성/측성, 1점), :□(상성, 2점)은 각각 H(고), M(중), L(저)와 짝이 되고,
광양 방언에서는 □(평성, 0점), ·□(거성/측성, 1점), :□(상성, 2점)은 각각 H(고), M(중), (중승)으로 나타난다.
광양 방언에도 하동 방언에서와 마찬가지로 내적순행평성동화 규칙과 끝음절 측성화 규칙이 나타남을 보았다. 이 두 규칙은 다음과 같다.
하동 방언과 광양 방언의 내적순행평성동화 (임의적)
□m·□n → □m+n/―# (단, m≧2, n≧0, m+n≧3)
(2음절 이상의 평성의 연결과 0개 이상의 측성으로 이루어진 성조론적인 낱말에서 측성들의 연결은 임의로 평성들의 연결로 변동된다.)
끝 음절 측성화
□₃ → □₂·□/―#
(3음절 이상의 평성형의 운율적인 낱말은 마지막 음절이 측성으로 바뀐다.)
어간이 2음절 이상이면서 단일 형태소인 풀이씨 대응 관계 자료를 평측형, 거성형, 상성형인 것의 순서로 정리하여 두 방언 사이의 대응 관계가 정연함을 보여 주었다. 둘 이상의 형태소가 결합하여 하나의 복합풀이씨로 도출될 때 나타나는 방점(/성조)의 변동 여부를 대응 관계의 관점에서 고찰하고 비교하였다.
밑말에 파생접사가 결합되어 새로운 풀이씨가 도출 되는 경우, 두 방언에서 다 그 파생접사가 {/·이, ·히, ·리, ·기/; /우, 후, 루, 구, 두, 쿠, 추/; /배/; /으키, 바시, 바치/} 등의 사동파생접사나; {/이, 히, 리, 기, /} 등의 피동파생접사일 경우에 밑말이 평측형일 때는 물론이고, 거성형이나 상성형일 경우에도 모두 평성형화 되는 것을 보았으며, 피동ㆍ사동 접사가 아닌 그 밖의 접사 {·치, 티·리}일 밑말은 평성형화 되는 것을 확인했다. 끝 부분에서는 도출된 합성풀이씨에서도 평성형화가 일어나는 경우가 있었다.
하동 방언의 풀이씨와 광양 방언의 풀이씨의 대응 관계가 부분적인 것과 대응 관계가 어긋나는 자료를 대조적으로 정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