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스마트 기술을 활용한 시설 입소노인의 초기 시설 적응력 향상 가능성 탐색 - 물리적 환경 적응을 중심으로-
An exploratory study on the adjustment to the physical environment of nursing homes using Smart Technology(ST)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학제간융합연구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2S1A5B6033598
선정년도 2012 년
연구기간 1 년 (2012년 09월 01일 ~ 2013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이선형
연구수행기관 호서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이윤정(호서대학교)
김경식(호서대학교)
박성준(호서대학교)
안준희(호서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1. 연구의 배경 및 목표

    1) 연구의 배경

    □ 정보화사회에서 복지 패러다임의 변화 ➜ 스마트 복지로의 변화
    ○ 정보화 사회의 복지 패러다임은 다양한 욕구를 가진 대상자들의 맞춤형 복지로 전환 되고 있음
    ➜ 이를 지원하기에 적합한 것이 바로 스마트 기기의 활용
    ○ 최근 스마트폰과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등의 스마트 기술이 발전하면서 사회적 약자나 소외계층에게 사회참여
    의 기회와 통로를 마련하는 환경으로 변화함에 따라 스마트 복지의 필요성이 대두

    □ 평균수명 연장으로 인한 고연령 노인의 증가는 요양시설 입소 노인의 증가를 야기
    ○ 수발 노인증가로 인한 요양시설 입소노인의 증가
    - 평균수명의 증가로 수발 노인의 증가 : 2012년 요양시설 이용자가 73,565명이나 16년 후인 2028년 두 배 가까이
    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강명선, 강상목, 2010)
    ○ 대부분 노인들은 평생 살아오던 집에 계속 살기를 선호하나 건강이 허락지 않을때 시설 입소를 원함

    □ 노인의 시설입소는 익숙한 물리적 환경과 생활양식의 단절과 더불어, 일상적인 생활패턴, 사회적 지지망의 변화 등의 경험으로 노인에게 두려움과 스트레스 유발.
    ○ 입소 초기에는 대개 분노와 부당함을 느끼고, 특히 비자발적으로 입소한 노인의 경우 심하게 나타남(Jackson,
    Swanson, Hicks, Prokop & Laughlin, 2000)➜ ‘이동 후 스트레스 증후군(Relocation Stress Syndrome)’
    ○ 이러한 부정적 반응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시설 입소 초기에 가능한 한 빠르게 여러 시설 환경에 적응을 하게
    하는 것이 중요

    □ 그러나 정부의 공식적 노인 수발인력인 요양보호사의 업무는 신체적인 수발에 국한되어 초기 노인들의 심리적 적응에 대한 수발은 현실적으로 어려움.
    ○ 노인요양시설의 인력 중 대부분이 요양보호사이며, 주 업무가 신체적 수발임.
    ○ 따라서 입소초기 노인들의 경우 시설의 물리적 환경 적응을 혼자 경험하고 있고 이에 대한 도움이나 support가
    거의 없는 상태임.

    □ 수발노인의 증가로 인해 노인요양시설이 급증하고 있으며 스마트복지로의 추세에 따라 이들의 시설 환경은 점차
    변화가 요구되고 있음
    ○ 노인요양시설은 2007년 이후 3배 이상으로 급증하고 있음 : 노인 장기요양보험 이후로 급격히 증가.
    ○ 더군다나 최근 노인복지 시설의 스마트화에 대한 추세에 따라 요양시설의 환경은 IT 환경으로 변화의 필요성
    증대

    □ 노인들의 스마트 기기 사용 증대로 인한 활용 가능성 확대
    ○ 현대 노인들의 스마트 활용성이 점점 증대해짐에 따라 친숙한 노인 보조 기구로서 활용되고 있음. 인터페이스가
    직관적이라 누구나가 활용할 수 있음.
    ○ 노인들이 다양한 스마트 콘텐츠를 활용하는 사례가 많지만, 본 연구에서 개발하고자 하는 시설 입소를 위한 디지
    털 가이드는 전무한 상태이며, 스마트 요양소로 전환되는 요즘 시점에서 시설에 적용되는 디지털 가이드에 대한
    초기 연구는 매우 시급한 현황이라고 볼 수 있음.
    ○ 본 연구에서는 휴대성과 쉬운 조작 능력을 가진 스마트 패드를 활용하여 요양 입소 노인들에 대한 가이드 콘텐츠
    를 개발하고 이를 활용할 계획임.

    2) 연구 목표

    이와 같은 연구배경을 기반으로 한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음

    ▮ 스마트 기술을 활용한 시설 입소 노인의 지원 시스템 기초 마련
    ▮ (인문영역) 시설에 입소하는 노인의 초기 물리적 환경 적응 향상을 통한 후기 노년기의 삶의 질 향상
    ▮ (공학영역) 스마트 디지털 가이드 개발을 통한 IT기술의 노인복지 분야로의 활용 가능성 탐색

    2. 관련 분야의 국내외 현황

    1) 국외 현황
    □ 선진국에서는 시설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정보화기기(Informational Technology) 활용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음.
    □ 시설노인을 위한 보조기구(assistive technology)의 활용이 삶의 질을 증가 시킬 수 있음 : 기억력 보조기구인
    목소리 리마인더, 치매노인을 위해 쓰는 기능을 극대화하고 최대한 단순화시킨 음악 플레이어 등
    □ 특히 시설노인의 새로운 물리적 환경에 대한 적응을 위한 IT 기술의 활용에 대한 연구도 시작되고 있음

    2) 국내 현황
    □ 그러나 아직까지 한국에서는 IT기술을 활용해 노인복지증진을 꾀하는 차원에서의 접근은 일부 영역에 국한되고 있음.
    □ 직접적으로 노인을 대상으로 한 것은 아니나 신체가 불편한 경우에 사용함으로 일상생활도움을 받도록 하는 노력에 IT기술 활용이 시도되고 있음.
    □ 특히 노인요양시설에 IT기술을 활용하고자 하는 시도는 전무하여 본 연구에서 스마트 기기를 활용하여 노인의 초기 시설적응력을 높이고자 하는 시도는 독창적임.
  • 기대효과
  • 1) 사회적 기여

    □ 시설 입소노인이 활용할 수 있는 스마트 디지털 가이드의 개발로 노인의 삶의 질 증진
    ○ 노인에게 IT는 자율성과 삶의 질을 높여줄 수 있는 유용한 도구임.
    ○ 노인의 인터넷 및 IT 사용은 그 자체로 심리·사회적 효과가 있다고 보고 되고 있음. 따라서, 시설 입소 노인뿐 아니
    라 향후에 입소 가능한 일반 노인들을 대상으로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요양시설 물리적 환경에 대한 가이드 및
    서비스는 자아효능감을 높일 뿐 아니라 미래에 대한 불안감을 낮추어 삶의 질을 높일 수 있음.

    □ 시설 입소노인의 시설적응력 향상을 통한 우울이나 고독감 감소 ➜ 궁극적 자살예방에 기여 가능
    ○ 입소 초기 시설 적응력 향상을 통해 부정적인 반응을 가능한 빠르게 감소시키고 불안과 두려움을 감소시킴으로
    성공적으로 적응할 수 있도록 함.
    ○ 이러한 시설적응력 향상은 고독이나 우울감을 감소시킴으로 삶의 만족도를 증가시킬 것이고 궁극적으로 자살률
    예방에도 도움이 될 것임

    □ 시설입소에 대한 일반인 및 노인들의 인식 개선
    ○ 요양시설은 노인의 생애 마지막에 입소하게 되어 생을 마감하는 곳이라는 부정적인 인식이 있어왔음.
    ○ 시설입소 전 일반 노인과 그 가족들에게 스마트 디지털 가이드가 제공된다면 시설입소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개선시켜 노인들의 입소촉진을 도우며, 노인을 입소시키는 것에 대한 가족들의 심리적 부담(죄책감과 걱정 등)
    감소 기대

    □ 요양보호사의 수발 기능 보완을 통한 업무 부담 경감
    ○ 정부에서는 요양 시설내의 주요한 수발인력으로 요양보호사를 두도록 하고 있는데, 이들의 부족한 인력과 과중한
    업무로 인해 서비스 질에 대한 문제 제기되고 있음.
    ○ 요양보호사의 서비스를 보완함으로써, 요양시설의 서비스가 신체적 수발 중심의 지원을 넘어서서 물리적 환경 적
    응을 돕고 이에 관련된 심리적 어려움(두려움, 거부감 등)까지도 지원할 수 있는 Upgrade된 서비스를 개발

    2) 학문적 기여

    □ 노인복지 증진을 위한 IT 기술의 높은 확산 가능성
    ○ 고령화가 일찍부터 진행된 선진국에서는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연구주제임
    - 그러나 한국에서는 아직까지 이와 관련한 연구들이 거의 소개되지 않고 있는 실정
    - 본 연구의 경우 시설노인, 특히 치매노인에게로 IT기술을 접목한 국내 최초의 논문이 될 것임.
    ○ 연구결과가 빠르게 확산되어 서비스 개발과 상용화가 가속화 될 수 있음.
    - 정보화사회가 빠르게 진전되면서 한국은 IT 강국으로서 노인복지 증진을 위한 IT활용의 인프라가 구축되어
    연구 결과의 확산이 빠르게 이루어져 서비스 개발에 적용될 가능성 높음.
    - 연구결과로 개발된 스마트 디지털 가이드 프로토타입이 상용화가 될 경우 옙 스토어를 통해 전세계적으로 확산
    되어질 가능성이 높음.

    □ 스마트 기술을 활용한 시설입소 노인에로의 지원 시스템 구축을 위한 탐색적 연구 ➜ 새로운 연구 영역으로 확장
    ○ 그동안 노인의 복지증진을 위한 정부나 연구자의 노력에는 주로 노인복지시설이나 인적자본, 인력 등을 활용한
    것이 대부분임.
    ○ 그러나 본 연구는 스마트 기술을 활용한 시설입소 노인의 지원이 가능한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에 기반이 되는
    연구로, IT 기술이 노인의 복지를 지원하는 형태로 연구영역 확장
    ○ 본 연구는 첫 번째 단계인 물리적 적응 향상을 지원하는 시스템 구축에 대한 연구임,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기
    반으로 시설입소 노인의 물리적 적응 뿐 아니라 사회적 적응과 심리적 적응을 지원하는 통합적 시스템 구축
    연구로 확장 가능

    3) 교육과의 연계 방안

    □ 요양보호사 교육과 연계 가능성
    ○ 현재 요양보호사 양성 교육 내용은 대부분은 노인의 신체적 수발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물리적·환경
    적 적응 및 심리적 요양에 대한 교육 내용은 제한적임.
    ○ 이에 본 연구 결과는 요양보호사의 교육을 담당하는 노인복지학과나 요양보호사 교육기관에서 시설 입소 노인들
    의 통합적 적응에 대한 교과목 및 커리큘럼 개발에 기초가 될 것임.

    □ IT 및 스마트 기기 활용에 대한 교육과의 연계 가능성
    ○ 또한 요양시설의 프로그램은 주로 최저 기능 노인들도 참여 가능한 프로그램들을 중심으로 진행. 다양성이 부족
    하다는 지적을 받고 있음. 시설입소 노인 중 비교적 건강한 노인들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한
    실정
    ○ 이에 본 연구는 노인 및 중장년층 대상 교육 프로그램으로 일환으로 활성화 기반이 될 것임.
  • 연구요약
  • 위의 연구목표와 기대효과를 이루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개괄, 구체적 연구내용 및 방법은 다음과 같음

    1. 연구개괄
    ○ 시설적응력 향상은 단일한 차원으로 접근되는 것이 아니라 다각적으로 접근되어야 함.
    ○ 선행연구에서 노인의 요양원 적응은 5가지 정도 요인을 들고 있음 : 거주지 이전 증상, 친구만들기, 새로운 거주
    지 수용, 집단생활의 어려움, 존재가치 지니기 (이가언, 2007; Lee, Ga Eon, 2010)
    ○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매슬로우의 욕구 5단계설을 기반으로 시설입소노인이 시설에 적응하는 과정을 세 가지
    정도로 재구조화하였음 : 노인은 입소 초기의 물리적 환경에 대한 적응과 더불어 떨어져있는 가족과의 관계, 그리
    고 요양시설 생활에서의 즐거움이 병행되어야 한다고 가정함.
    ○ 이를 위한 순차적 프로토타입 개발 계획은 다음과 같음
    - 시설 입소 초기 물리적 환경 적응을 위한 스마트 디지털 가이드 (아이패드 활용)➜ 씨앗형
    - 시설 입소노인과 가족관계 향상을 위한 텔레커뮤니케이션
    - 시설 입소노인을 위한 정신건강 및 여가 게임
    ○ 본 연구는 입소 노인의 시설적응력 향상을 위한 통합적 접근이라는 총체적인 연구 구성의 첫 단계로서, 물리적
    환경 적응을 위한 스마트 디지털 가이드 프로토타입 개발에 초점을 맞추고 있음.

    2. 단계별 연구 내용 및 방법
    이에 따라 다음과 같은 순서로 연구를 진행할 예정
    ▮ 1단계 : 시설 입소노인의 초기 물리적 환경 적응을 위한 시설적응 주요소 추출
    -> (인문영역)이 주가 됨
    ▮ 2단계 : 시설 입소노인의 물리적 환경 적응을 위한 스마트 디지털 가이드 시제품(프로토타입) 개발
    -> 실제 시제품을 개발하는 단계로 (공학 영역)이 주가 됨
    ▮ 3단계 : 개발된 스마트 디지털 가이드 시제품(프로토타입)의 시설 입소 노인에로의 적용가능성 분석
    ->(인문영역+공학영역) 함께 적용가능성을 분석 함

    1) 1단계 : 시설 입소노인의 초기 물리적 적응을 위한 시설적응 주요소 추출
    (1) 연구내용
    ▪ 입소노인 초기 적응과정 탐색을 통한 시설적응 주요소 추출
    - 생태체계 이론 적용 요양원 시설 적응 요소 추출
    - 노인의 요양 시설 적응과정 탐색
    (2) 융합적 연구방법
    (인문영역)
    ▪ 문헌고찰 및 주 대상 관찰탐색
    ▪ 시설 입소노인 대상 욕구조사
    ▪ 요양보호사 대상 FGI
    (공학영역)
    ▪노인의 스마트 패드의 사용성 분석
    ▪노인의 가이드 콘텐츠 분석
    ▪시설 적응요소 추출에 기반한 스마트 디지털 가이드 기획안 작성

    2) 2단계 : 시설 입소노인의 물리적 환경 적응을 위한 스마트 디지털 가이드 시제품 (프로토타입) 개발
    (1) 연구내용
    ▪ 스마트 패드 기반의 콘텐츠 플랫폼 응용 기술 개발
    ▪ 노인의 입소 체험을 위한 스마트 디지털 가이드 콘텐츠 기획안 작성
    ▪ 노인의 입소 체험을 위한 교육용 튜토리얼(tutorial) 제작
    ▪ 노인의 입소 문화 체험을 위한 가이드 스마트 디지털 가이드 개발
    ▪ 스마트 패드 기반 효과 분석 요소 추출 및 도구 개발
    (2) 융합적 연구방법
    (인문영역)
    ▪ 노인을 위한 콘텐츠 활용에 대한 기능성 콘텐츠 가이드 요소 추출
    ▪ 각 시설체험마다 활용성에 대한 효과 분석 문항 추출
    (공학영역)
    ▪ 스마트 디지털 가이드 콘텐츠 제작
    ▪ 스마트 패드 기반 효과 분석 도구 개발

    3) 3단계 : 개발된 스마트 디지털 가이드 시제품(프로토타입)의 시설 입소노인에로의 적용 가능성 분석
    (1) 연구내용
    ▪ 프로토타입의 접근성(사용성, 선호도, 친숙도) 분석
    ▪ 개발된 스마트 디지털 가이드의 활용 가능성 탐색
    (2) 융합적 연구방법
    (인문영역)
    ▪ 개발된 프로토타입에 대한 입소노인의 접근성 및 활용도 관찰
    ▪ 입소노인과의 인터뷰 조사
    ▪ 개발된 프로토타입의 상품가능성 타진을 위한 조사
    (공학영역)
    ▪ 효과분석도구의 결과 데이터 DB화
    ▪ 웹과 연동하여 모니터링
    ▪ 매뉴얼 작성
  • 한글키워드
  • 시설노인의 복지 향상, 시설입소후 물리적 적응, 노인복지와 IT기술, 스마트 기술, 스마트 디지털 가이드
  • 영문키워드
  • adjustment to the physical environment of nursing homes, elderly welfare and Informational technology, , Smart Technology(ST), Smart Digital Guide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 기술을 활용한 시설 입소 노인의 지원 시스템의 기초를 마련하기 위해 인문영역과 공학영역이 함께 스마트 디지털 가이드를 개발하였으며 이러한 IT기술이 노인복지분야로의 활용가능성이 있는지에 대해 탐색하고자 하였다. 주로 인문영역에서는 문헌고찰 및 입소노인의 직간접적인 수발인력을 개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이들의 수요도를 파악하였으며 공학영역에서는 이를 통해 스마트 디지털 가이드 콘텐츠를 제작하여 이에 대한 활용가능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선행연구를 통해 입소노인들의 물리적 환경 적응에 대한 내용으로 특정공간 방향 찾기, 시설직원 익히기, 특정가구, 물건의 배치 익히기, 노인의 일상적인 행동 돕기를 도출하였고 이에 대한 수요도를 파악한 결과 시설직원 익히기, 특정공간 방향찾기, 노인의 링상적인 행동돕기 영역이 상대적으로 높아 이에 대한 스마트 디지털 콘텐츠를 개발하였다. 이러한 개발은 노인의 여러 특성 및 선호도, 가독성 등을 고려하여 이루어졌으며 제작 후 이러한 콘텐츠를 시설입소노인에게 적용가능한지에 대하여 시장상황에 대한 조사와 요양보호사에 대한 인터뷰가 이루어졌다.
    그 결과 물리적 환경 적응에 대한 부분의 경우 수요조사에서 다른 건강, 가족, 여가 등에 비해 높은 영역은 아니었으나 이들의 입소후 시설적응에서 가능성을 엿볼 수 있었으나 시설입소노인의 건강상태와 교육상태, 스마트 기기 활용도 등을 감안하였을 때 개발된 내용의 적용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인터페이스에 대한 접근도를 높이거나 요양보호사를 통한 간접적인 접근 등이 가능할 것으로 여겨진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exploratory study is to examine if the application of smart technology(ST) would assist adjustment to the nursing home facilities in the elderly. Since there is not much previous research on this subject, we generated survey questionnaires on our own.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survey of 127 employees at 5 nursing homes including geriatric care workers, social workers and nurses who provide direct as well as indirect care services. Results showed that the utilization of ST would benefit the areas of family relationship support, health support, leisure support, and physical environment adjustment. As for physical environment adjustment, study participants reported that ST would help elders familiarize employees and find directions for specific space the most. These results of the study will show the direction for more in-depth studies on application of smart technology for the elderly in the futur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 기술을 활용한 시설 입소 노인의 지원 시스템의 기초를 마련하기 위해 인문영역과 공학영역이 함께 스마트 디지털 가이드를 개발하였으며 이러한 IT기술이 노인복지분야로의 활용가능성이 있는지에 대해 탐색하고자 하였다. 주로 인문영역에서는 문헌고찰 및 입소노인의 직간접적인 수발인력을 개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이들의 수요도를 파악하였으며 공학영역에서는 이를 통해 스마트 디지털 가이드 콘텐츠를 제작하여 이에 대한 활용가능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선행연구를 통해 입소노인들의 물리적 환경 적응에 대한 내용으로 특정공간 방향 찾기, 시설직원 익히기, 특정가구, 물건의 배치 익히기, 노인의 일상적인 행동 돕기를 도출하였고 이에 대한 수요도를 파악한 결과 시설직원 익히기, 특정공간 방향찾기, 노인의 링상적인 행동돕기 영역이 상대적으로 높아 이에 대한 스마트 디지털 콘텐츠를 개발하였다. 이러한 개발은 노인의 여러 특성 및 선호도, 가독성 등을 고려하여 이루어졌으며 제작 후 이러한 콘텐츠를 시설입소노인에게 적용가능한지에 대하여 시장상황에 대한 조사와 요양보호사에 대한 인터뷰가 이루어졌다.
    그 결과 물리적 환경 적응에 대한 부분의 경우 수요조사에서 다른 건강, 가족, 여가 등에 비해 높은 영역은 아니었으나 이들의 입소후 시설적응에서 가능성을 엿볼 수 있었으나 시설입소노인의 건강상태와 교육상태, 스마트 기기 활용도 등을 감안하였을 때 개발된 내용의 적용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인터페이스에 대한 접근도를 높이거나 요양보호사를 통한 간접적인 접근 등이 가능할 것으로 여겨진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사회적 기여

    □ 입소 노인의 시설 적응력 향상을 통한 우울이나 고독감 감소
    ➜ 궁극적 자살 예방
    현재 개발된 게임을 통해 궁극적인 자살 예방까지는 고려하기 어려우나 시설적응력을 높임으로 이들의 우울이나 고독감을 감소시킬 가능성이 있다면 궁극적 자살 예방을 꾀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짐.

    □ 노인을 위한 스마트기기(스마트 디지털 가이드) 개발
    ➜ 노인의 삶의 질 증진
    총 3단계의 과정을 통해 요양시설에 입소한 노인들의 스마트 기술 도입을 통한 삶의 질 향상에 대한 가능성을 탐색하였음. 아직까지 이와 관련한 연구가 전무한 가운데 이러한 연구는 확산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됨.

    □ 요양보호사의 수발 기능 보완을 통한 업무 부담 경감
    FGI 분석 결과에 의하면 Smart Technology는 요양보호사의 업무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는 가능성도 있지만 이들의 업무 대체로 인한 비인간화 문제가 야기될 수 있음. 이에 대한 고려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임.


    2) 학문적 기여

    □ 노인복지 증진을 위한 IT 기술의 높은 확산 가능성
    최근 1~2년 사이에도 IT 기술 및 기술에 대한 활용 욕구는 급속하게 변화하고 있으므로 개발된 프로토타입의 활용가능성은 높다고 볼 수 있음. 그러나 현재 한가지 제한점은 요양시설의 입소노인들이 연령적으로 고연령이며 신체적인 거동 불편사항이 많아 이에 대한 적용이 용이하지 않다는 어려움이 있음.

    □ 스마트 기술을 활용한 시설입소 노인에로의 지원 시스템 구축을 위한 탐색적 연구 ➜ 새로운 연구 영역으로 확장
    현재 박근혜정부에서 과학기술의 융합을 통한 창조경제를 강조하고 있음. 이러한 시대적 흐름을 반영할 때 점점 더 학문적인 융합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고 융합적인 연구내용 및 방법을 통해 새로운 연구 영역으로의 확장 가능성을 엿볼 수 있었음.

    3) 교육과의 연계 방안


    □ IT 및 스마트 기기 활용에 대한 교육과의 연계 가능성
    책임연구자는 노인복지학과 학부에 실버산업과 정보화교육이라는 과목을 개설하여 사회과학적 접근과 함께 융복합 교육에 대한 연계를 시도하고 있음. 이에 대한 강의계획서 첨부

    □ 요양보호사 교육과 연계 가능성
    스마트 기술에 대한 필요성에 대해서는 요양보호사들
    강 의 계 획 서
    연 도
    2013
    학 기
    2
    교 과 목 명
    실버산업과 정보화교육
    수 강 대 상
    3학년
    강 의 실
    벤처교육관 306
    강의요일교시
    월 5,6교시, 화 2교시
    학점(시간수)
    3학점 (3시간)
    담 당 교 수
    이 선 형
    교수 연락처
    연구실 041-560-8155 (010-2414-1788)
    1. 강의 개설
    목 적
    이 과목은 노인들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정보화사회에서의 노년계층이 소외될 수 있음을 인지하고, 사회복지사로서 노인교육 및 프로그램을 통해 이를 예방하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이 강의의 주된 목적이다.
    2. 강좌 운영
    목 표
    (1) 정보화 사회에서 노인의 특성과 노인 학습자로서의 노인을 이해할 수 있다.
    (2) 노인교육의 일환으로서의 노인 정보화교육의 이론과 실제를 학습할 수 있다. (3)노인 학습자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노인의 특성 및 욕구에 맞는 정보화교육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다.
    (4) 이를 통해 미래의 변화를 대비하는 인재를 양성할 수 있다.
    강좌 내용 (16주)
    주별
    강 의 내 용
    강의방식
    책 (자료)
    과 제 물
    비고
    1
    강의소개 및 평가방법 결정
    소개
    프린트물
    projector


    2
    I. 정보화사회와 복지패러다임의 변화
    1. 정보화사회의 환경 변화
    2. 정보화사회에서의 노인
    강의
    프린트물
    projector


    3
    2. 정보화사회에서의 노인
    발표/토론



    4
    II. 학습자로서의 노인과 노인교육
    1. 노인 학습자의 특성
    2. 노인의 학습능력
    강의/토론
    프린트물
    projector


    5
    3. 노인교육의 필요성
    강의/특강
    프린트물
    projector


    6
    III. 노인 정보화교육의 이해
    1. 노인 정보화교육과 미디어
    강의
    프린트물
    projector


    7
    2. 노인 정보화교육 프로그램 현황




    8
    중간고사
    시험



    9
    미디어 교육 현장 방문
    (서울 노인복지센터 미디어교육 파트)
    현장방문



    10
    IV. 노인 정보화교육 프로그램 개발
    1. 노인 정보화교육 프로그램의 기획
    강의
    프린트물
    projector


    11
    1. 노인 정보화교육 프로그램의 기획
    특강



    12
    2. 노인 정보화교육 프로그램의 실제
    강의
    프린트물
    projector


    13
    3. 노인 대상 교육 교수 방법
    강의
    프린트물
    projector


    14
    프로그램 작성


    전체과제

    15
    프로그램 작성


    전체과제

    16
    V. 노인 정보화교육의 미래와 전망
    시험



    17주
    발표




    이 동의하고있는 바이므로 스마트 패드를 활용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이에 대한 기본적인 교육이 필요할 것이고 그에 대해서는 교육의 연계 가능성을 찾을 수 있음.
  • 색인어
  • 스마트기술, 노인복지, 요양시설, 물리적 환경 적응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