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진은 씨앗형 과제를 통하여 기후변화로 인해 영향을 받기 쉬운 산업 분야중 하나인 관광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 주제와 관련된 연구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연구 확장의 필요성 및 확대 가능성을 발견하였으며, 이를 위해 여러 관련 연구주제들이 논의 ...
본 연구진은 씨앗형 과제를 통하여 기후변화로 인해 영향을 받기 쉬운 산업 분야중 하나인 관광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 주제와 관련된 연구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연구 확장의 필요성 및 확대 가능성을 발견하였으며, 이를 위해 여러 관련 연구주제들이 논의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진은 다음과 같은 연구목적을 바탕으로 융합연구를 시행하고자 한다.
우선 현재까지 제공된 자료에 비해 더 발전되고 정확한 차세대 기후 시나리오를 각 연구 분야에서 활용하고자 한다. 이 시나리오는 본 연구진이 추진하는 다른 연구들의 기본 데이터를 제공하는데 근간이 되며, 자체적인 시나리오의 개정 및 변화를 통해 한국에 맞는 새로운 시나리오의 개발도 도모할 수 있기 때문에 유용한 연구가 될 것이다. 특히 최신 시나리오를 이용한 데이터의 활용은 더 정교하고 많은 요소를 고려한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본 연구진의 연구 가치를 높이는데 일조할 것이다.
둘째, 이 시나리오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에서는 새로운 기후변화 지수를 개발하고자 한다. 기존의 기후변화지수가 평균값을 기반으로 개발된 것이 일반적인데, 본 연구진은 기후변화는 변동성이 더 중요함을 간파하고 이 변동성과 관련된 지수를 개발하여 다른 연구들에 활용함으로써 학술적 공헌에 이바지 하고자 한다. 이 지수는 씨앗형 과제인 기후변화가 관광서비스무역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에 새롭게 도입되어, 기존에 제시되던 지수와 어떤 결과의 차이가 있는가를 분석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상품무역과 관련된 부분에 있어서도 본 연구진이 개발한 기후변화지수를 활용하여 무역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셋째로 개발된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새로운 데이터가 생성되면, 이를 활용하여 농지이용률 변화에 대한 분석이 진행될 것이다. 이 부문의 시나리오에서는 비기후적인 요소까지 포괄된 시나리오가 활용될 것이며, 이를 활용하여 앞으로의 농지활용에 대한 공간분포 모델이 적용될 것이다. 또한 이 연구는 농산물의 생산성을 중심으로 국가경쟁력을 예측하여 무역경쟁력의 요인으로 파악하는 농산물 무역 패턴을 설명하는데 있어 중요 요인과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기업과 관련하여 기후변화의 영향이 기업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며, 기업의 전략적 활동 변화를 어떤 방향으로 이끌어 갈 것인가에 대한 미시적 분석을 진행하고자 한다. 이와 관련된 연구는 본 연구진이 아는 한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이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기 위해 델피(Delphi) 방법을 도입하여 관련 요인들을 추출하며, 관련 요인들이 기업의 어떤 부문 활동에 영향을 미쳤는가를 파악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과 멀티레벨 모형을 활용하고자 한다.
이상에서 제시된 연구주제들은 상호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있으며, 이 연계성을 통해 학제간 융합연구의 당위성과 독창성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이 연구들의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무역의 국제경쟁력을 지속시킬 수 있는 정책적 방안을 찾아내는 것도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기대효과
본 연구는 이공계 분야에서 진행되고 있는 기후변화 관련 연구와 사회과학 분야에서 진행되고 있는 연구가 결합된 구조이다. 또한 연구주제들은 학제 간 연구를 통해 수행되어야만 하는 연구일 뿐만 아니라 학술적 차원에서도 선도적인 주제를 다루고 있다. 따라서 학술적 ...
본 연구는 이공계 분야에서 진행되고 있는 기후변화 관련 연구와 사회과학 분야에서 진행되고 있는 연구가 결합된 구조이다. 또한 연구주제들은 학제 간 연구를 통해 수행되어야만 하는 연구일 뿐만 아니라 학술적 차원에서도 선도적인 주제를 다루고 있다. 따라서 학술적·응용적 차원에서 볼 때 다음과 같은 융합연구의 필요성을 본 연구는 내포하고 있으며, 다음과 같은 기대효과를 지닌다. 첫째, 이공계에서 활용되고 있는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한 예측(forecasting) 데이터는 이를 기반으로 앞으로의 전망이 필요한 사회과학 연구에 적용될 수 있다. 사회과학분야에서도 CGE 모형과 같은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으나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연구의 확장과 다양성의 확보를 위해서는 여러 데이터들과 여러 모델들을 활용하여 기후변화와 관련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며, 융합연구를 통한 접근은 이러한 제약요인 극복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둘째, 기존의 예측 데이터와 실측 정보들은 본 연구에서 지수개발을 위해 활용될 것이다. 본 연구진들이 개발하고자하는 지수는 변동성에 기초하고 있으며, 이 지수의 개발을 통해 기존 연구들에서 제시하고 있는 결과들과의 대비를 통한 연구의 진행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이 지수는 각 분야에서 필요한 필수적 요인들을 반영하여 각 분야별 지수가 생성될 수 있도록 구조화 될 것이다. 이를 통해 각 무역분야에 적합한 지수를 연구자들이 도출해 내어 스스로 연구에 도입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 줄 것으로 기대한다. 셋째, 이공계에서 활용되는 여러 기법들을 사회과학분야에 도입하여 응용하는 협력연구가 진행될 것이다. 특히 기후변화와 관련된 분야는 이공계에서는 많은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사회과학 특히 무역 분야에서는 극히 제한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을 뿐이다.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융합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며, 이러한 노력은 학술적 저변 확대뿐만 아니라 새로운 연구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넷째, 본 연구진이 추구하는 농지이용 변화율 및 농산물 무역 연계, 기업활동과 기후변화 요소의 연계 등은 지금까지 많은 논의가 이루어지지 못했거나 논의가 있었다고 하더라도 피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밖에 없었던 분야에 대한 실질적 연구모델의 적용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한 연구저변의 확대는 본 연구진의 성과임과 동시에 국제적인 학술적 공헌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융합연구를 통한 학술적 기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연구요약
본 연구에서 중점으로 삼고 있는 연구주제들은 다음과 같은 특이성 및 독창성을 내포하고 있다. 첫째, 현재 주로 활용, 인용되고 있는 기후변화 전망 및 관련 연구 자료들은 2007년 발간된 제 4차 IPCC 평가보고서 (AR4)에 의거한 것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선(先) 사회경 ...
본 연구에서 중점으로 삼고 있는 연구주제들은 다음과 같은 특이성 및 독창성을 내포하고 있다. 첫째, 현재 주로 활용, 인용되고 있는 기후변화 전망 및 관련 연구 자료들은 2007년 발간된 제 4차 IPCC 평가보고서 (AR4)에 의거한 것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선(先) 사회경제 시나리오 후(後) 기후변화 전망”이란 기존의 기후자료의 생산 과정은 사회경제 시나리오 자체가 갖고 있는 불완전성을 계속 보완함에 따라 기후 모형을 다시 구동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지역차원의 사회경제적 시나리오 발전은 앞으로도 긴 시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기존의 기후변화 자료 생산 과정은 기후전망 자료의 발전과 활용에 있어서 매우 비효율적이다. 따라서 2013-2014년 이후 발간된 제 5차 IPCC 보고서 (AR5)의 체제는 AR4 보고서 이후 6년간 기후모형의 발전에 의한 새로운 기후변화 전망과 함께 지역의 환경을 반영한 사회경제적 시나리오의 발전을 보다 쉽게 기후모형에 반영할 수 있는 체계로 발전하였다 (Moss et al., 2010). 본 연구에서도 기존 보다 발전된 형태의 기후모형을 활용하여 새로운 데이터를 생성하며, 한국의 실정에 맞는 모형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 모형의 개발은 기존 씨앗형 과제였던 “기후변화와 관광서비스 무역 간 영향관계 분석”에 새로운 데이터로 활용될 수 있다. 둘째, 기후변화는 두 가지 측면, 평균기후의 변화(즉, 지구온난화)와 기후변이성(혹은 기후변동성)의 관점에서 분석될 수 있으나 대부분의 연구가 주로 전자에 중심을 두고 있다. 기후변화는 기온뿐만 아니라 그 외 여러 기상관측변수에 의해 파악될 수 있기 때문에 기상변수를 포괄할 수 있는 기후변화 및 변이성 지수를 산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논의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관련된 지수 개발을 통하여 학문적 논의를 선도하고자 한다. 즉, 기존에 논의되던 평균기후변화의 단점을 적시하고, 변동성 중심의 지수개발과 이 지수의 활용방안에 대한 학술적,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함으로써 학술적 발전 뿐 아니라 실용적 가치도 높일 것이다. 셋째, 기후변화와 농지이용변화는 1차 산업인 농업에 영향을 주는 대표적인 인자들이다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2009). 이 분야의 연구는 대부분 이학적 연구를 바탕으로 기후변화로 인해 어느 정도의 농지이용변화가 있을까에 대한 예측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농지이용의 변화는 궁극적으로 농지를 활용한 생산량의 변화를 유발할 것이며, 기존 무역체계를 변화시킬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로 인한 농지이용 변화와 연계하여 이 변화를 통해 무역에 있어 어떤 변화가 일어날 것인가를 연구할 것이다. 농산물의 수출입과 관련된 연구는 경제적 측면에서 상당히 연구된 주제이다. 그러나 농지이용의 변화와 연계된 농산물 생산과 이로 인한 수출입구조의 변화에 관한 연구의 연계는 지금까지 연구가 희소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자연계적 연구와 무역학 이론을 기반으로 한 무역이론 및 정책적 연구를 결합한 연구를 추구할 것이다. 특히 농지이용 변화를 주요한 생산경쟁력 요인으로 파악하여 이 요인의 변화가 국가 간 농산물 교역 패턴에 어떤 변화를 유발할 것인가에 대한 분석을 시도할 것이다. 넷째, 기업과 관련된 기후변화 연구는 현재 태동기에 해당되며, 이와 관련된 영향 요소의 추출과 이 요소의 영향에 관련된 분석은 기업의 활동 및 향후 방향에 대해 많은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지금까지 기후변화에 대한 국제적 논의를 통해 법률과 경제, 그리고 무역 등에 대한 파급효과와 그 전망에 대한 연구는 진행되고 있다. 이에 비하여 기업에 대한 연구는 아직 진행되지 못하고 있는데 그 이유는 기업활동과 관련된 부분이 다른 경제적 분석에서 활용되는 시뮬레이션 기법을 제대로 활용되기 어렵기 때문이다. 현시점에서 기업에 대한 기후변화의 영향, 기후변화로 인한 기업 활동 분야에 대한 영향, 그리고 기후변화가 기업의 어떤 부분에 많은 영향을 미칠 것인가에 대한 체계적 연구가 필요하다. 이를 바탕으로 기업들이 기후변화에 대해 어떻게 대응해야하는지에 대한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새로운 경쟁상황하에서 어떤 기업전략을 통해 기업의 지속적 발전을 추구할 것인가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기업 경영자들을 대상으로 델피 분석이 진행될 것이며, 이를 통해 주요한 영향 요소들이 추출될 것이다. 이상의 연구주제들은 상호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있으며, 특히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통한 데이터 생성과, 새로운 변동성 지수의 개발, 그리고 농지이용도 변화 등의 분야 연구는 그 자체로도 의미가 있지만 다른 연구들의 바탕이 된다는 점에서 더 큰 의의가 있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국문
기후변화는 전 세계에 영향을 미치는 거시적 요인으로 기후변화에 대한 적응과 대응은 국가 경쟁력 차원에서 매우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진은 융합연구를 통해 기후변화와 이의 영향에 대한 규명을 통해 국제경쟁력 제고에 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5가지 ...
기후변화는 전 세계에 영향을 미치는 거시적 요인으로 기후변화에 대한 적응과 대응은 국가 경쟁력 차원에서 매우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진은 융합연구를 통해 기후변화와 이의 영향에 대한 규명을 통해 국제경쟁력 제고에 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5가지의 연구주제를 설정하고 2013년 9월부터 2016년 8월까지 학제간융합연구지원사업 1단계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기후변화가 농·어업, 관광산업, 제조업에 각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기후변화는 농지이용률을 변화시키고 수온상승과 해양산성화를 유발하여 어종을 변화시킬 뿐 아니라 생산성과 수익성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관광자원을 변화시키고 관광 수요에도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개별 관광객의 인식과 관광행동에도 유의미한 영향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기후변화는 기업을 둘러싼 정책, 소비자, 기술 등의 경로를 통해 기업의 활동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연구주제별 성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주제 1. 신기후 시나리오를 활용한 데이터 개발과 적용 연구 1. 시나리오 기반의 예측 모델 개선 및 상세 데이터 생성 2. MODIS GPP 평가연구를 통해 기후데이터 개별 지역 적용에 과한 시사점 도출 3. 사회과학 분야에의 국가 수준의 기후변화 데이터 적용 4. 정부정책 평가에의 응용연구 수행
연구주제 2. 기후변화와 기후변동성지수개발과 산업에의 적용 연구 1. GARCH 모형에 기반한 기후변동성지수의 개발 2. 극한기후를 이용한 산업별 기후변동성 지수의 개발 3. 기후변화와 지역별 총요소생산성과의 관계 규명 4. 기후변화 패턴과 제조업 총요소생산성과의 관계 규명
연구주제 3. 기후변화가 기업 활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1. 델피방법을 이용한 기업조사지 개발 (설문지 개발 및 2개년 조사에 활용) 2. 패널데이터 구축 (총 371개사, 2개년 패널은 241개사 확보 / 주식시장 상장기업) 3. 기업 활동에 미치는 기후변화의 영향 규명 - 기업의 환경경영 영향요인 규명 - 기후변화 대응 활동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규명 - 소비자 인식 변화에 따른 기업 활동의 영향 규명 - 기후변화가 기술혁신과 수출성과에 미치는 영향 규명 - 해외직접투자(FDI) 활동에 따른 기후변화 영향 규명
연구주제 4. 기후변화와 농지이용 및 어업에 미치는 영향 연구 1. 신기후 시나리오를 이용한 한국의 농지이용률 모델링 2. 기후변화가 어업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시나리오에 따른 비교분석 실시 3. 기후변화 대응정책 및 사업에 대한 경제적 타당성 검토 기초 마련
연구주제 5. 관광무역 지속연구 1. 기후변화와 외래 관광수요의 관계를 규명하여 관광산업의 국제경쟁력 강화 시사점 도출 2. 관광편익 경제적 평가모형 비교 및 실증을 통해 기후변화의 경제적 영향 추정 토대마련 3. 기후변화에 대한 관광객 인식 및 행동연구를 통해 관광산업 국제경쟁력 강화방안 시사점 도출
영문
Because climate change is a macroscopic factor affecting the whole world, it is becoming a very important issue in terms of national competitiveness to adopt and response to climate change. We set up five research themes to extract the implications fo ...
Because climate change is a macroscopic factor affecting the whole world, it is becoming a very important issue in terms of national competitiveness to adopt and response to climate change. We set up five research themes to extract the implications for enhancing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through the identification of climate change and its effects through interdisciplinary studies not only social science but also natural science and the first stage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2013 to August 2016. The results has shown that climate change affects agriculture, fisheries, tourism, and manufacturing, respectively. Specifically, climate change has been shown to affect productivity and profitability, as well as changing species by changing land use rates, rising water temperature and ocean acidification. In addition to changing tourism resources and affecting tourism demand, it also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perception and tourism behavior of individual tourists. It has been confirmed that climate change affects the activities of firms through the channels of policies, consumers, and technologies surrounding the companies.
The results of research are as follows. Research topic 1. Data development and application using New Climate Change scenarios 1. Improved scenario-based prediction model and detailed data generation 2. Drawing implications for the application of climate data to individual regions through the MODIS GPP assessment study 3. Applying national climate change data to social sciences 4. Applied research to government policy evaluation
Research topic 2. Climate change and climate volatility index development and application to industry 1. Development of climate variability index based on GARCH model 2. Development of industry-specific climate volatility index using extreme climate events 3.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climate change and regional TFP 4.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climate change patterns and total factor productivity in manufacturing
Research topic 3. Influence of climate change on business activities 1. Development of company survey using Delphi method (used for questionnaire development and 2-year survey) 2. Building panel data (total of 371 companies, 2 year panels secured 241 companies / stock market listed companies) 3. Identify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on business activities - Identification of factors affecting environmental management of companies - Influence of climate change response activities on corporate performance - Identify the impact of business activities on consumer perceptions - Influence of climate change on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export performance - Climate change impacts due to foreign direct investment (FDI) activities
Research topic 4. Climate change, agricultural land use and impact on fisheries 1. Modeling the Agricultural Land Utilization Rate in Korea Using Post-Scenario Scenario 2. Comparative analysis of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fisheries productivity according to scenario 3. Prepare a basis for reviewing the economic feasibility of climate change response policies and projects
Research theme 5. Sustainable Tourism Trade Study 1.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climate change and international tourism demand and draw implications for strengthening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tourism industry 2. Tourism Benefits Providing a basis for estimating the economic impact of climate change through comparison and demonstration of economic evaluation models 3. Drawing implications for enhancing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tourism industry through tourism awareness and behavior research on climate change
연구결과보고서
초록
기후변화는 전 세계에 영향을 미치는 거시적 요인으로 기후변화에 대한 적응과 대응은 국가 경쟁력 차원에서 매우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진은 융합연구를 통해 기후변화와 이의 영향에 대한 규명을 통해 국제경쟁력 제고에 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5가지 ...
기후변화는 전 세계에 영향을 미치는 거시적 요인으로 기후변화에 대한 적응과 대응은 국가 경쟁력 차원에서 매우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진은 융합연구를 통해 기후변화와 이의 영향에 대한 규명을 통해 국제경쟁력 제고에 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5가지의 연구주제를 설정하고 2013년 9월부터 2016년 8월까지 학제간융합연구지원사업 1단계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기후변화가 농·어업, 관광산업, 제조업에 각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기후변화는 농지이용률을 변화시키고 수온상승과 해양산성화를 유발하여 어종을 변화시킬 뿐 아니라 생산성과 수익성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관광자원을 변화시키고 관광 수요에도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개별 관광객의 인식과 관광행동에도 유의미한 영향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기후변화는 기업을 둘러싼 정책, 소비자, 기술 등의 경로를 통해 기업의 활동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후변화와 관련된 다학제적 연구수행이다. 이공계 연구자와 사회과학 연구자가 융합연구를 수행함으로써 기존의 단일 관점에서 수행된 연구보다 효율적이고 풍성한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둘째, 산업 및 기업 수준에서의 기후변화 적응과 활용의 필요성 제기이다. 기후변화는 물리적, 지리적, 사회문화적 경로를 통해 국가 경제활동에 영향을 미친다. 특히 1차 산업과 관광산업 뿐 아니라 제조업도 기후변화에 의해 영향을 받을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기후변화의 적응과 활용은 국가 뿐 아니라 산업, 개별 기업을 포함한 총체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지속가능 성장에 관한 시사점 제공이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서는 환경적 측면 뿐 아니라 사회적, 경제적 측면이 동시에 고려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본 연구 결과는 학술적·실용적 측면에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첫째, 본 연구에서 제시되는 시나리오와 이를 통해 도출되는 데이터들은 기후변화와 관련된 다른 연구들에서도 활용될 수 있는 유용한 데이터가 될 것이다. 또한 제시된 시나리오 자체도 기후변화 관련 ...
본 연구 결과는 학술적·실용적 측면에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첫째, 본 연구에서 제시되는 시나리오와 이를 통해 도출되는 데이터들은 기후변화와 관련된 다른 연구들에서도 활용될 수 있는 유용한 데이터가 될 것이다. 또한 제시된 시나리오 자체도 기후변화 관련 연구에서 활용될 수 있는 발전된 시나리오로서 선도적인 연구모델의 제시와 함께 새로운 시각을 도출할 수 있는 좋은 연구소재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둘째, 기업패널데이터의 구축 및 활용이다. 총 371개의 기업조사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중 패널데이터는 241개사로 기업의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 대응현황, 활동 등에 관한 정보를 담고 있다. 특히 2단계 연구진행시 추가적인 조사를 통해 장기간의 데이터를 축적할 수 있으며, 이들은 한국의 주요 기업들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다양한 실무적,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기업에서 필요로 하는 기후변화 관련 교육이 무엇인가를 파악할 수 있으며, 간접적 인력 양성 방안도 고안해 낼 수 있는 계기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본 연구팀이 기업에 대해 기후변화가 기업 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교육을 시행함으로써 인지의 확산과 정확한 지식의 전달에 집중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정책적 활용이다. 기후변화와 무역 간의 관계에 대한 지속적인 고찰은 우리나라 무역의 나아갈 방향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는 파리협약에 기반한 온실가스감축 목표를 설정하고 많은 예산이 투입되고 있지만 그 효과가 아직은 불분명하다. 이러한 시점에서 기후변화에 대한 심도 있는 고찰과 우리나라 무역정책의 방향을 결합시켜 고찰하는 것은 앞으로 우리나라의 지속적 성장을 준비하는 관점에서 필수적인 사안으로 사려 된다. 더욱이 선진국을 중심으로 기후변화에 대처하는 움직임이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무역이 경제성장의 상당부분을 차지하는 우리나라의 경우 이 변화에 대처하는 능력이야말로 장기적 성장 가능성이 있느냐 없느냐를 결정하게 되는 척도가 될 것이다. 더불어 교육과 인력 양성의 측면에서 볼 때, 이상에서 제시된 연구주제들과 내용은 기후변화와 관련된 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일부 프레임으로 적정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진이 제시하고 있는 전체 연구주제는 자료의 생성으로부터 이 자료를 활용하여 서비스 무역 및 상품 무역에 적용시키는 과정을 포괄하고 있다. 더 나아가 기후변화와 관련된 기업활동에 대한 연구를 통해 거시경제적 접근뿐 아니라 미시·기업적 접근도 동시에 병행하고 있다. 이를 통하여 기후변화와 관련된 시나리오적 접근, 데이터의 활용, 거시적 접근 및 기업적 접근과 같은 전체적 교육 프로그램의 구성을 도모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