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프랙탈에서 예술작품까지: 아름다움의 과학
Science of Aesthetics: From Fractal to Art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학제간융합연구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3S1A5B6054557
선정년도 2013 년
연구기간 2 년 (2013년 09월 01일 ~ 2015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이승복
연구수행기관 충북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손정우(충북대학교)
정우현(충북대학교)
윤경현(중앙대학교)
조경자(충북대학교)
한승기(충북대학교)
이건명(충북대학교)
박수진(연세대학교)
지상현(한성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팀은 1단계 연구에서는 아름다움의 특성을 규명하기 위해 아름다움의 속성을 물리적, 심리적, 신경생리학적 측면에서 관찰하고 분석하는 작업을 하였다. 그 결과 1단계 연구에서는 학문적 접근방향에 따라 아름다움에 대한 다음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미학적 측면에서는 유기적 형상의 감상과정 모형 제시하였고, 둘째, 심리학적 측면에서는 단순성과 복잡성, 친숙성과 생경성의 심리적 효과 및 판단 측정 및 분석하였으며, 셋째, 신경과학 측면에서는 숭고미에 대한 뇌 활성화 측정을 통한 심미성에 대한 뇌의 보상체계 분석하였고, 넷째, 물리학적 측면에서는 정보 미학 척도를 이용하여 물리적 복잡도와 아름다움의 상관성 분석하였다. 다섯째, 컴퓨터과학 측면에서는 미적 평가의 계산적 평가모델 구축을 위한 기계학습적 모델 활용 가능성 검증하였다. 이상과 같이 1단계를 거쳐 아름다움의 과학에 대한 융합연구의 토대를 마련하고 계획된 연구를 수행하여 의미있는 긍정적인 결과를 도출하였다. 아름다움의 과학이란 주제는 3년, 1단계의 기간으로 섭렵할 수 있는 좁은 영역이 절대 아니며, 인문학적 측면에서의 학문적인 발전뿐만 아니라 사회 및 산업 발전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는 많은 요소를 가지고 있다.
    2단계에서는 1단계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팀은 다음과 같은 연구 방향으로 추진하고자 한다. 첫째, “아름다움의 통합적 이해 모형 구축”을 목표로 아름다움의 과학에 대한 심화된 연구를 통해 학문적 기여를 하도록 한다. 둘째, 1단계 미적평가에 대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현실적 활용 영역을 선정하여 미적 경험 모형을 정교화하고 실용화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실용적 응용을 위한 분야로서 사용자 경험(UX, User Experience)의 심미성 평가 모델 개발과 창조적 디자인 생성 시스템을 선정하였고, 1단계 연구결과와 후속 심화 연구를 통해 ICT 산업 경쟁력 제고에 기여할 심미성 중심의 사용자 경험(UX) 평가방법론을 실용화 목표로 한다.
  • 기대효과
  • ○학문 발전에의 기여
    본 연구는 인문 사회학 분야, 이공계 분야, 의학 분야 및 예술 분야의 다양한 연구자들이 모여 학문특성별로 아름다움에 대한 연구를 진행 및 분석하였다는데 큰 의의를 가진다. 본 연구를 발판으로 다양한 학문분야들이 동일주제를 다각도에서 조명하여 연구를 진행할 수 있는 기회가 더 많이 주어질 수 있을 것이다. 아름다움의 과학에 대한 대내외적으로 가장 역량 있는 융합연구 집단을 양성하여, 아름다움에 대한 기반연구와 실용화 지원을 위한 학문적 토대가 마련된다.

    ○사회발전에의 기여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미적경험 연구결과는 자폐 미술치료 개발에 활용가능하고, 청소년의 미적체험 활성화 패턴 분석은 청소년기 미술교육 계획 수립에 활용될 수 있어, 사회안전망 강화 등 사회발전에 기여한다.

    ○경제적 파급효과
    심미성 중심의 사용자 경험(UX) 평가방법론은 기존의 사용성 및 효용성 기반의 평가방법론에서 제공하지 못한 다른 차원의 평가를 할 수 있도록 하여, ICT 분야를 비롯해 많은 산업분야의 제품 및 서비스 경쟁력 제고에 상당 부분 기여할 것이다. 창조적 디자인 생성 시스템은 작은 노력으로 독특한 디자인을 얻을 수 있게 하여, 제품 등의 대외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것이다.

    ○인력양성 방안
    본 연구에 참여하는 연구보조원들은 학문적 기초능력을 바탕으로 본 연구주제에 매우 높은 관심을 갖고 참여를 계획하였다. 본 연구의 보조원들을 포함하여 앞으로 5년 내 더 많은 관심을 가지는 인력들을 참여시켜 양성하고, 본 연구와 같은 융합 연구를 통해 다양한 학문분야에서 직・간접적 훈련을 받고자 한다. 또한 이들을 통하여 더 많은 연구들에 대해 학문적 융합을 도모하고 학문적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고급인력으로 양성할 수 있을 것이다.

    ○교육과의 연계 활용 방안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각종 강의 및 심포지움을 개최하고, 아름다움 연구결과와 관련된 저술활동을 계속할 것이다. 아름다움에 높은 관심을 갖고 있는 일반인들을 위해 과학적 연구를 통해 입증된 본 팀의 연구내용들을 토대로 일반인들에게 가장 잘 알리고 홍보할 수 있는 저서를 출판하여 본 연구의 또 다른 결과를 도출해내고자 한다.
  • 연구요약
  • 본 연구팀은 1단계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하여 다음과 같은 융합연구 방향을 설정하였다. 첫째, “아름다움의 통합적 이해 모형 구축” 목표로 아름다움의 과학에 대한 심화된 연구를 통해 학문적 기여를 하도록 한다. 둘째, 1단계 미적평가에 대한 연구 결과와 후속 심화 연구를 통해 미적 경험 모형을 정교화하고 ICT 산업 경쟁력 제고에 기여할 심미성 중심의 사용자 경험(UX, User Experience)의 평가방법론을 실용화한다.

    본 연구팀이 2단계에서 수행할 연구 내용 및 상호지원 체계는 연구자의 전문분야별로 다음과 같다.
    1) 미학 : 미적 상대성 기반의 감상모형 개발
    감상모형의 UX 평가 모델지표 활용가능성 타진
    감상모형에 기반한 심미적 파라미터를 창조적 디자인 생성시스템에 제공
    2) 심리학 : 사용자 경험(UX)의 심미성평가를 위한 친숙성, 대칭성, 복잡성의 개관적 지표 개발
    사용자 경험의 심미성 평가 지표의 산업현장 적용
    3) 신경과학 :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미적 경험의 신경영상학적 연구
    자폐 미술치료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미적 경험 모형의 적용
    청소년의 미적체험 활성화 패턴 분석 및 사회적/도덕적 체험영역과의 상관 분석
    전두엽 발달과 미적판단 간의 관계를 통한 청소년기 미술교육 계획 수립 기반 제공
    4) 물리학 : scale-space 기반 복잡도 분석 및 아름다움 리듬 생성 알고리즘 개발
    복잡도와 미적평가의 관계에 대한 상관성 탐구, 창의적 작곡지원 도구 개발
    5) 계산학 : 창조적 변환생성 디자인 시스템 개발
    미래 디자인 창작의 파라다임 변화 기여

    본 연구팀의 연구계획을 연차별로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차년도에서는 미적 평가 모형 개발을 위한 미적 감상과정 모형의 정교화, 심미성에 영향을 미치는 2차 속성에 대한 측정지표 개발, 자폐스펙트럼 장애의 미적경험에 대한 신경미학적 연구, scale-space 기반의 복잡도 분석, 창조적 디자인 생성시스템 개발을 하고자 하며, 2차년도에서는 감성모형 기반의 UX 지표 개발 및 창조적 디자인 생성시스템 지원, 2차 속성이 심미성에 미치는 가중치 산정 연구, 청소년의 미적 체험에 대한 신경미학적 연구, 아름다운 음악의 자동리듬 생성 알고리즘 개발, 창조적 디자인 생성시스템을 고도화하는 연구를 하고자 한다.

    본 연구결과는 인문 사회학 분야, 이공계 분야 의학 분야 및 예술 분야의 다양한 연구자들이 모여 학문특성별로 아름다움에 대한 연구를 진행 및 분석하였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 본 연구결과의 기여 및 활용 방안은 첫째, 본 연구는 아름다움에 대한 기반연구와 실용화 지원을 위한 학문적 토대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미적경험 연구결과는 자폐 미술치료 개발에 활용가능하고, 청소년의 미적체험 활성화 패턴 분석은 청소년기 미술교육 계획 수립에 활용될 수 있어, 사회안전망 강화 등 사회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심미성 중심의 사용자 경험(UX) 평가방법론은 기존의 사용성 및 효용성 기반의 평가방법론에서 제공하지 못한 다른 차원의 평가를 할 수 있도록 하여, ICT 분야를 비롯해 많은 산업분야의 제품 및 서비스 경쟁력 제고에 상당 부분 기여할 것이다. 넷째,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각종 강의 및 심포지움을 개최하고, 아름다움 연구결과와 관련된 저술활동을 계속할 것이다. 아름다움에 높은 관심을 갖고 있는 일반인들을 위해 과학적 연구를 통해 입증된 본 팀의 연구내용들을 토대로 일반인들에게 가장 잘 알리고 홍보할 수 있는 저서를 출판하여 본 연구의 또 다른 결과를 도출해낼 수 있을 것이다.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