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상노인(Bed-Care Elderly)란 타인의 도움 없이 일상생활이 힘들며 6개월 이상 계속 간호를 받고 있는 노인이라 정의 할 수 있으며, 노쇠를 포함하여 질병이나 상해 등으로 거의 눕거나 앉아 지내는 상태로, 일상생활의 거동을 타인에게 의지하는 등 신체적 의존성이 높 ...
병상노인(Bed-Care Elderly)란 타인의 도움 없이 일상생활이 힘들며 6개월 이상 계속 간호를 받고 있는 노인이라 정의 할 수 있으며, 노쇠를 포함하여 질병이나 상해 등으로 거의 눕거나 앉아 지내는 상태로, 일상생활의 거동을 타인에게 의지하는 등 신체적 의존성이 높은 노인을 ‘병상노인’이라 총칭한다. 현대사회에 만성질환에 의해 자리에 누워 지내서나 집 밖 출입을 하지 못하는 노인 즉, 일상생활능력이 떨어지는 활동장애 노인의 증가하고 있으며, 그 비율은 인구노령화에 의해 더욱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본 연구과제에서는 현대사회의 성공적 노화를 위한 다양한 노인계층에 알맞은 건강관리프로그램개발을 위해, 일상생활의 거동이 타인에게 의존도가 높은 병상노인을 대상으로, ① 회복탄력형 재활체조프로그램을 개발하며, ② 그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신체 기능적 변화와, 심리적 매개체로서의 회복탄력성의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더불어 노인들의 지속적 신체활동참여를 위한 모니터링의 가능성을 위한 ③ 메디컬 센서노드의 적용탐색하여 ④ 본 연구의 아젠다 도출을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① 회복탄력형 재활체조프로그램을 개발에서는 일상생활의 독립적인 회복과 복귀를 강조하고 있다. 프로그램은 크게 전신 운동재활, 소근육 운동재활, 협응 운동재활로 구분되며, 각 운동구분에 3가지 목표와 각 목표 당 3개의 동작으로 구성되어 있다. 노인 및 환자의 다양한 움직임에 대한 한개점이 있을 것을 고려하여 최대한의 다양성과 적용가능성을 탐색하여 최종적으로 30개 동작으로 구성하였다. 프로그램 실시에 있어서는 각 개인의 능력에 따라 이 중 목표를 설정하여 12-15개의 동작을 선택하여 실행하며, 적응과 기능회복이 보이는 경우, 동작 선택의 수와 단계를 높일 수 있게 구성하였으며, 특허청에 특허출원 및 지도서를 발간(3월예정)하였다.
② 그 효과성을 검증을 위해, 일상생활능력, 상기기능, 균형성의 기능적 회복과 회복탄력성, 그리고 자발적 운동참여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회복탄력형 재활체조참여에 따라 회복탄력성과 기능적 회복 및 자발적 운동참여에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③ 메디컬 센서노드의 적용탐색 위해, 본 연구에서 개발한 회복탄력형 재활체조의 침상체조편에서 상지중심의 기능을 중심으로 5개 동작을 선정, 스마트폰3축 가속도계를 이용하여 움직임 패턴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체조동작의 메디컬센서노드의 적용가능성 제시하였다. 일상생활능력, 상기기능, 균형성의 기능적 회복과 회복탄력성, 그리고 자발적 운동참여도를 검증하였다.
④ 본 연구의 아젠다 본 연구의 진행 중 연구진 및 참여노인, 가족, 병원관리자 등의 의견 등을 고려하고, 인구고령화 시대의 현대사회가 추구하는 건강복지중심의 건강관리를 위해서는 인간본능의 움직임에 대해 그 가치와 중요성이 대한 의식이 중요함을 느끼게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아젠다로서 움직임, 인간중심, 환경적 프로그램 및 프로세스에 관한 아젠다를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