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뇌과학에 기반한 청소년의 의사소통역량향상을 위한 융합형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교실 수업의 적용을 중심으로
The Development of Intergrated Educational Program for Adolescents’ Communicative Competence Based on Neuroscientific Research: In the Context of Classroom Instruction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학제간융합연구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4S1A5B6038004
선정년도 2014 년
연구기간 1 년 (2014년 09월 01일 ~ 2015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김은주
연구수행기관 연세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장형심(한양대학교)
김광욱(한양대학교)
김재진(연세대학교)
김주환(연세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의 목표는 현대의 정보화 사회에서 청소년들의 리더십 육성을 위하여 절실하게 요구되는 의사소통역량의 향상을 위하여 1)기존의 커뮤니케이션 등의 사회과학 분야는 물론이고 최신 뇌과학 연구결과들을 다면적으로 고찰하고 2)학교현장의 실제 교실수업에서의 교사-학생 의사소통의 패턴을 분석하여 3)실제로 교실수업에서 적용이 가능한 의사소통역량향상을 위한 융합형 교육프로그램의 모형을 개발하는데 있다. 전통적으로 커뮤니케이션 학자들을 비롯한 사회과학자들은 오랫동안 리더십의 기본 덕목인 설득의 능력이나 관계유지기술, 갈등관리 능력 등의 기본이 되는 의사소통의 핵심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노력해왔다. 의사소통역량의 향상에 대한 관심과 요구는 (1)사회 경제적인 조건들의 급속한 변화와 (2)모바일/소셜 미디어로 상징되는 매체 환경의 급변 및 (3)사회적 갈등이 날이 갈수록 증가하는 세계적인 추세 속에서 빠른 속도로 증폭되고 있다. 특히 세계 일류 시민으로서 리더십을 발휘하게 될 우리의 청소년들에게 의사소통역량은 가장 기본적인 기본적 소양이다.
    특히 공교육의 붕괴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우리의 중등학교 교육현실에서 학생들의 교사-학생 의사소통역량의 향상은 공교육 살리기를 위해서도 매우 중대한 과업이다. 그러나 최근 들어 일부 대학에서 말하기와 쓰기 교육을 실시하기 시작했을 뿐, 중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체계적인 의사소통역량향상 교육은 매우 미비한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청소년들의 의사소통역량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교실수업에서 적용할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은 사회적으로나 교육학적으로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교실 수업에서 적용할 수 있는 의사소통역량향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을 둘 것이다.
    특히 본 연구는 의사소통역량향상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할 때에 최신 뇌과학 연구결과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융합적인 교육프로그램을 제안하는데 초점을 둘 것이다. 2000년대에 들어서 눈부시게 발전하고 있는 사회신경과학 분야의 뇌과학 연구결과들은 이제 실제 교육의 현장에서 충본히 적용가능한 수준에 도달하였다. 최근 들어 미국과 영국에서는 캠브리지 대학의 뇌과학-교육센터, 하버드 대학의 마음, 뇌, 교육 프로그램 (Mind, Brain, and Education) 프로그램 등을 통하여 이미 실제 교실현장에 최신 뇌과학 연구결과들을 적용하는 본격적인 시도들을 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세계 최대 규모의 뇌과학 학회인 뉴로사이언스 학회에서도 뇌과학 연구결과의 실제 학교수업 적용에 대하여 심도있게 다루고 있다. 이제 우리도 비약적인 뇌과학 분야의 발달, 사회신경과학의 발달에 힘입어 뇌과학 연구결과들을 사회문제 해결 및 교실수업에 실제로 적용하는 것을 본격적으로 시작할 때이다.
    이러한 뇌 기반 학습과학(brain-based learning science)은 학제간 접근방식이므로 교육학과 뇌 과학은 물론, 인문학, 심리학, 인지과학, 컴퓨터과학, 생물학 등의 다양한 분야의 융합이 필수적이다. 예컨대 미국 NSF(National Science Foundation)에서는 학습 과정, 학습 맥락, 학습 기술에 대한 연구를 통해 학습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기 위한 학습과학센터(Science of Learning Centers)를 지정하여 지원하고 있으며, 영국의 캠브리지 대학교에서도 비판적 읽기와 수학 능력과 같은 인지적 기술에 관여하는 뇌의 기본적 패러미터를 규명하고자 교육에서의 뇌과학 센터(Center for Neuroscience in Education)를 설립하였다. 우리나라도 최근 들어 뇌과학 연구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사회과학과 뇌과학을 융합하는 연구들은 아직 시작단계에 머무르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 사회과학 분야의 의사소통 관련 선행연구, 교육학 분야에서의 교육모형개발 선행연구와 뇌과학 분야의 최신 연구결과들을 융합하여 의사소통역량향상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최신 뇌과학 연구결과를 기존의 의사소통 연구 결과와 융합하여 실제 교실 수업에 적용하려는 본 연구의 융합적 시도는 의사소통향상 프로그램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것이다.
  • 기대효과
  • 1) 학문적 기대효과
    의사소통역량은 우리의 청소년이 민주사회의 일원으로서, 국제화시대의 일류시민으로서, 사회에 나아가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해주는 매우 중요한 구인이다. 그러므로 의사소통역량은 전통적으로 커뮤니케이션 분야 이외에도 교육학, 심리학 및 경영학 등 다양한 학문분야에서 관심을 갖는 요인이다. 이에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의 사회과학 분야의 연구결과는 물론이고, 이에 더하여 최신 뇌과학 연구 결과들을 융합하여 융합형 의사소통향상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목표를 두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문적으로 의사소통역량에 대한 이론 연구 및 적용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 개발한 교육프로그램은 학생들의 학교 수업에 곧바로 적용되어, 실제적으로 활용이 될 것이다. 다시 말해서 본 연구는 사회과학과 뇌 과학을 융합하여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또한 이 프로그램을 실제 교실수업에 적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향후 뇌괴학 융합연구의 실제 교육에의 적용에 대한 가능성을 시사하며, 뇌과학 연구의 실제 교육활용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2) 사회적 기대효과
    본 연구는 융합형 의사소통향상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중고등학생들의 교실 수업에 실제로 적용하여 청소년들의 의사소통역량을 향상시켜줄 수 있는 교육모형을 개발하는데 초점을 둔다. 이러한 시도는 공교육 붕괴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우리의 교육현실에서 사회적 기여도가 크다고 할 것이다. 현재의 공교육 붕괴는 대학입시의 구조적 문제도 있지만, 과도한 선행학습 등으로 인하여 학생들이 동기가 소진되어서 실제 수업에서 흥미를 잃는 문제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교실 현장에서 학생들이 말하게 만들어 주는 교육프로그램, 의사소통하게 해주는 교육프로그램, 학생들의 의사소통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적용되고 교사와 학생의 의사소통, 학생 간의 의사소통이 활발해진다면, 학업적 측면이나 생활지도 측면에서 커다란 긍정적 성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노력에 힘입어 공교육의 정상화가 이루어지는데 도움이 된다면, 본 연구는 공교육 붕괴에 따른 갖가지 사회문제의 해결에 큰 도움을 주는 효과를 가져올 것이다.

    3) 인력양성 기대효과
    미래의 리더는 의사소통역량을 갖춘 인재이다. 일찍이 구미 각국은 말하기와 토론을 잘 하는 리더를 육성하는데 주력을 기울여 왔다. 이에 비하여 우리는 뿌리깊은 유교적 문화의 영향을 “침묵이 금이다”는 식의 사고방식이 팽배해왔고, 아직도 이러한 문화가 자리잡고 있다. 이제는 자신의 의사를 명확하게 밝히고, 다른 사람들과 소통하며 토론할 수 있는 글로벌 리더를 본격적으로 육성할 때이다. 그러나 일부 대학에서 말하기와 토론 교육, 현대화법 교육 등을 실시하는 이외에 중고등학교에서 의사소통역량향상 교육을 체계적으로 시도한 예는 찾아보기 어렵다. 그러므로 본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제 교실수업에 적용한다면 미래의 리더를 양성하는 인력양성에 있어서 그 효과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4) 교육과의 연계 활용 방안 기대효과
    본 연구에서 개발하는 의사소통향상 융합형 교육프로그램은 실제 중등학교 교실 수업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개발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교실 현장에서 교사-학생 의사소통이 어떠한 패턴으로 이루어지는지를 참여관찰 및 설문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현장에서의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도록 개발된 융합형 의사소통역량향상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이를 다시 교실수업에 적용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이 적용한 의사소통역량향상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환류하여 교육프로그램을 수정할 것이다. 이와 같이 개발, 적용된 의사소통향상 교육프로그램은 그 자체로서 의사소통역량 향상의 의미가 있을뿐더러, 자칫 수업에 흥미를 잃기 쉬운 사춘기의 청소년들에게 교육적으로도 그 의미가 크다.
  • 연구요약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들의 의사소통역량 향상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청소년들이 의사소통역량을 향상시키는 것은 현대 정보화 사회에서 일류 시민으로서 살아가는 데 필수적인 요건일 뿐더러, 국제화 시대에서 리더십을 발휘하며 살기 위해서도 매우 중요한 요건이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의사소통역량을 향상시켜줄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을 융합적인 접근으로 개발하여 실제 교실수업에 적용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다시 말하여 본 연구는 학생들에게 효과적으로 도움이 되는 의사소통역량향상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기존의 사회과학에서 사용되어온 참여관찰 및 자기보고식 설문방법을 사용하였다. 이에 더하여 최신 뇌과학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융합형 교육프로그램을 구축하는 융합연구를 시도했다. 이를 위하여 공동연구자들도 인문사회 및 이공의학계열의 교수들이 참여하였다. 이와 같은 융합적 시도를 통하여 본 연구는 의사소통역량의 향상 방안에 대해 보다 다면적으로 접근하고 그 효과도 클 것으로 기대한다.
    청소년의 의사소통역량과 관련한 기존의 연구들은 대부분 사회과학적 연구에 치중해있으며, 프로그램의 형태 역시 대부분 교실 내 강의를 통해 제시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 들어 뇌과학 및 커뮤니케이션 분야의 몇몇 연구들은 의사소통역량이 특정 뇌 영역과 연관된다는 점을 fMRI 연구를 통해 뒷받침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해당 역량을 강화시키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에서도 신경교육학적인 측면을 충분히 고려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해외의 뇌과학 학회, 사회신경과학 학회들은 이러한 점들을 파악하고, 뇌과학 연구결과들의 실제 현장에서의 적용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본 연구는 이론 고찰과 관찰 및 설문조사를 통하여 개발한 교육프로그램을 다시 교실수업에 적용하여 그 효과를 분석하고 프로그램을 재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본 연구는 한 명의 교사가 30명 이상의 학생과 함께 수업을 진행하는 현실을 고려하여, 의사소통 방법에 대해 기존의 강의형태로만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것에 이외에 중고등학생들이 보다 쉽게 접할 수 있는 컴퓨터 및 모바일 기기를 통해 의사소통역량 향상 프로그램을 개발함으로써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고자 한다.
    본 연구는 구체적으로 다읨의 5단계로 구성될 것이다. 1단계에서는 최신 의사소통역량 관련 사회과학 및 뇌과학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2단계에서는 교사-학생 의사소통 패턴 현황을 분석할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3단계에서는 교실 수업 적용을 위한 융합형 의사소통역량 향상 프로그램 모형을 개발하여, 4단계로 의사소통역량 향상 프로그램의 교실 수업 적용의 효과성을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5단계에서는 효과성 분석 결과의 환류에 기반하여 의사소통역량 향상 프로그램 모형을 수정함으로서 이를 통하여 본 연구는 융합형 의사소통역량향상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우리나라 중등교육의 실제 수업에 적용하여 우리나라 청소년의 의사소통역량의 향상을 극대화 할 수 있을 것이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에서는 의사소통역량 향상 프로그램 개발에 있어 의사소통능력 발휘를 위한 핵심 요인을 추출하고, 자발적 학습을 촉진시키기 위한 학습 환경 조성 방안을 함께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팀은 교육학, 심리학 및 뇌과학 분야의 융합 연구를 통하여 융합형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또한, 개발 및 효과성 분석을 거쳐서 최종적으로 구축된 융합형 의사소통역량향상 프로그램은 인간-컴퓨터 상호작용(HCI)을 통한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연구설계를 구성하여 보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의 1단계에서는 최신 의사소통역량 관련 사회과학 및 뇌과학 연구를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교육학, 심리학 분야에서 실제 수행되고 있는 의사소통역량 향상 프로그램 현황을 조사하여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또한, 뇌과학 및 커뮤니케이션 분야의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신경교육학적 측면에서 의사소통역량을 강화할 있는 요인을 탐색하여, 의사소통능력의 핵심 요인으로서 공감능력, 정서통제능력, 인지조절능력, 의사표현능력을 추출하였다.
    2단계에서는 교사-학생 의사소통의 패턴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우선, 교사의 의사소통방식이 학생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 탐색하였고, 교사의 자율성 지지적인 교수법이 학생들의 수업 참여에 장기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줌을 밝혀내었다. 해당 연구 결과는 유관 분야 최고의 학술지 중 하나인 Learning and Instruction에 게재가 확정된 상태이다. 한편, 학생의 의사소통방식에 대해 탐색하고자, 긍정적/부정적 행동 결과로 연결되는 내적 대화 (Self-talk)의 패턴을 확인하였다. 해당 연구는 미국, 일본의 연구자들과 함께 공동으로 실시 및 분석하였으며, 현재 SCI 등재 해외학술지에 투고하기 위한 준비 작업 중에 있다.
    3단계에서는 교실 수업 적용을 위한 융합형 의사소통역량 향상 프로그램의 모형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하여, 2단계에서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바람직한 행동결과를 이끌어내기 위한 의사소통 방안을 확립하는 한편, 실제와 같이 컴퓨터 및 모바일 기기를 활용하여 의사소통역량 향상 프로그램을 통해 훈련할 수 있도록 가상현실 프로그램 개발 방안을 모색하였다. 4단계와 5단계에서는 의사소통역량 향상 프로그램을 실제 교실 수업에서 적용하여 효과성을 확인하고, 해당 프로그램에 대한 피드백을 기반으로 최종 프로그램을 수정 및 보완하고자 하였다.
    본 과제 수행에 있어 연구자는 사회과학적 연구방법론을 바탕으로 연구를 수행함과 동시에 학제간 융합연구를 위해 노력을 기울임으로써, 연구 결과에 신뢰성과 설득력을 보완하고자 하였다. 이와 더불어, 연구 성과를 실제 교육 현장에 접목 및 활용할 수 있도록 의사소통역량향상 교육프로그램의 내용을 공유하는 편의를 더하였다. 이러한 노력 및 성과가 다양한 맥락의 연구진 및 교육 전문가들과 공유되고 확산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영문
  •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learning environment to encourage the self-regulatory learning by selecting the key elements of effective communication in the classroom. We developed the intergrated educational program based on the science of education, psychology and neurology. We also designed the program using applied the virtual reality program.

    At the 1st stage of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recent communication, social neuroscience research. We also analyzed the problem of the actual educational communication program. We also examined the previous research on neuro science and communication to investigate the key elements to enhance the communicative competence. In this study, we decieded the key elements of the communication as empathy, emotion-regulation, cognition-regulation and communicative expression.

    At the 2nd stage, we investigated the teacher-student communication patterns. We examined the influence of the teacher’s communication strategy to students. We selected the autonomy-supportive learning environment as the effective method to enhance the active communication between teacher and students in the classroom. We analyzed the self-talk of students to investigate the communicative pattern of students. Especially, we performed this study as the cultural comparison study among Korean, United States, and Japan. We finished the survey to 300 studetns, and are preparing for the paper with this research.

    At the 3rd stage, we developed the integrated communicative program. We determined the effective communication program. At the stage 4th and 5th, we applied the integrated communicative program to the actual classroom and the analyzed the effect of the program. At the 5th stage, we applied the integrated program, analyzed the feedback of the program and re-delvoped the modified final program.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에서는 의사소통역량 향상 프로그램 개발에 있어 의사소통능력 발휘를 위한 핵심 요인을 추출하고, 자발적 학습을 촉진시키기 위한 학습 환경 조성 방안을 함께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팀은 교육학, 심리학 및 뇌과학 분야의 융합 연구를 통하여 융합형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또한, 개발 및 효과성 분석을 거쳐서 최종적으로 구축된 융합형 의사소통역량향상 프로그램은 인간-컴퓨터 상호작용(HCI)을 통한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연구설계를 구성하여 보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의 1단계에서는 최신 의사소통역량 관련 사회과학 및 뇌과학 연구를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교육학, 심리학 분야에서 실제 수행되고 있는 의사소통역량 향상 프로그램 현황을 조사하여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또한, 뇌과학 및 커뮤니케이션 분야의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신경교육학적 측면에서 의사소통역량을 강화할 있는 요인을 탐색하여, 의사소통능력의 핵심 요인으로서 공감능력, 정서통제능력, 인지조절능력, 의사표현능력을 추출하였다.
    2단계에서는 교사-학생 의사소통의 패턴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우선, 교사의 의사소통방식이 학생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 탐색하였고, 교사의 자율성 지지적인 교수법이 학생들의 수업 참여에 장기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줌을 밝혀내었다. 해당 연구 결과는 유관 분야 최고의 학술지 중 하나인 Learning and Instruction에 게재가 확정된 상태이다. 한편, 학생의 의사소통방식에 대해 탐색하고자, 긍정적/부정적 행동 결과로 연결되는 내적 대화 (Self-talk)의 패턴을 확인하였다. 해당 연구는 미국, 일본의 연구자들과 함께 공동으로 실시 및 분석하였으며, 현재 SCI 등재 해외학술지에 투고하기 위한 준비 작업 중에 있다.
    3단계에서는 교실 수업 적용을 위한 융합형 의사소통역량 향상 프로그램의 모형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하여, 2단계에서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바람직한 행동결과를 이끌어내기 위한 의사소통 방안을 확립하는 한편, 실제와 같이 컴퓨터 및 모바일 기기를 활용하여 의사소통역량 향상 프로그램을 통해 훈련할 수 있도록 가상현실 프로그램 개발 방안을 모색하였다. 4단계와 5단계에서는 의사소통역량 향상 프로그램을 실제 교실 수업에서 적용하여 효과성을 확인하고, 해당 프로그램에 대한 피드백을 기반으로 최종 프로그램을 수정 및 보완하고자 하였다.
    본 과제 수행에 있어 연구자는 사회과학적 연구방법론을 바탕으로 연구를 수행함과 동시에 학제간 융합연구를 위해 노력을 기울임으로써, 연구 결과에 신뢰성과 설득력을 보완하고자 하였다. 이와 더불어, 연구 성과를 실제 교육 현장에 접목 및 활용할 수 있도록 의사소통역량향상 교육프로그램의 내용을 공유하는 편의를 더하였다. 이러한 노력 및 성과가 다양한 맥락의 연구진 및 교육 전문가들과 공유되고 확산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융합 연구의 결과는 학문적․사회적 기여도, 인력양성 방안, 교육과의 연계 활용 방안으로 나누어 다음과 같이 살펴볼 수 있다.


    1) 연구결과의 학문적․사회적 기여도

    (1) 융합형 접근의 학문적 기여도

    의사소통역량은 우리의 청소년이 민주사회의 일원으로서, 국제화시대의 일류시민으로서, 사회에 나아가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해주는 매우 중요한 구인이다. 그러므로 의사소통역량은 전통적으로 커뮤니케이션 분야 이외에도 교육학, 심리학 및 경영학 등 다양한 학문분야에서 관심을 갖는 요인이다. 이에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의 사회과학 분야의 연구결과는 물론이고, 이에 더하여 최신 뇌과학 연구 결과들을 융합하여 융합형 의사소통향상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목표를 두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문적으로 의사소통역량에 대한 이론 연구 및 적용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 개발한 교육프로그램은 학생들의 학교 수업에 곧바로 적용되어, 실제적으로 활용이 될 것이다. 다시 말해서 본 연구는 사회과학과 뇌 과학을 융합하여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또한 이 프로그램을 실제 교실수업에 적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향후 뇌과학 융합연구의 실제 교육에의 적용에 대한 가능성을 시사하며, 뇌과학 연구의 실제 교육활용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2) 학교 현장에서의 적용에 따른 사회적 기여도

    본 연구는 융합형 의사소통향상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중고등학생들의 교실 수업에 실제로 적용하여 청소년들의 의사소통역량을 향상시켜줄 수 있는 교육모형을 개발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이러한 시도는 공교육 붕괴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우리의 교육현실에서 사회적 기여도가 크다고 할 것이다. 현재의 공교육 붕괴는 대학입시의 구조적 문제도 있지만, 과도한 선행학습 등으로 인하여 학생들이 동기가 소진되어서 실제 수업에서 흥미를 잃는 문제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교실 현장에서 학생들이 말하게 만들어 주는 교육프로그램, 의사소통하게 해주는 교육프로그램, 학생들의 의사소통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적용되고 교사와 학생의 의사소통, 학생 간의 의사소통이 활발해진다면, 학업적 측면이나 생활지도 측면에서 커다란 긍정적 성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노력에 힘입어 공교육의 정상화가 이루어지는데 도움이 된다면, 본 연구는 공교육 붕괴에 따른 갖가지 사회문제의 해결에 큰 도움을 주는 효과를 가져올 것이다.

    2) 인력양성 방안

    미래의 리더는 의사소통역량을 갖춘 인재이다. 일찍이 구미 각국은 말하기와 토론을 잘 하는 리더를 육성하는데 주력을 기울여 왔다. 이에 비하여 우리는 뿌리깊은 유교적 문화의 영향을 “침묵이 금이다”는 식의 사고방식이 팽배해왔고, 아직도 이러한 문화가 자리잡고 있다. 이제는 자신의 의사를 명확하게 밝히고, 다른 사람들과 소통하며 토론할 수 있는 글로벌 리더를 본격적으로 육성할 때이다. 우리의 청소년들이 스스로가 자신의 행동의 주인이 되고, 자기주도적으로 학습하면서 자연스럽게 과제지속력이 높아질 수 있어야 고도의 전문성도 발휘할 수 있을 것이고, 글로벌 리더로도 성장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성과는 청소년들의 학습동기를 향상시켜줄 뿐만 아니라, 의사소통 역량을 향상시켜주는 융합형 교육프로그램의 구축과 적용을 통하여 청소년들의 교육의 질을 한층 더 높여줄 수 있으며, 한 걸음 더 나아가 글로벌 리더가 되는 토대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3) 교육과의 연계 활용 방안

    본 연구에서 개발하는 의사소통향상 융합형 교육프로그램은 실제 중등학교 교실 수업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개발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교실 현장에서 교사-학생 의사소통이 어떠한 패턴으로 이루어지는지를 참여관찰 및 설문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현장에서의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도록 융합형 의사소통역량향상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다시 교실수업에 적용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이 적용한 의사소통역량향상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환류하여 추후에도 교육프로그램을 수정하고자 한다. 이와 같이 개발, 적용된 의사소통향상 교육프로그램은 그 자체로서 의사소통역량 향상의 의미가 있을뿐더러, 자칫 수업에 흥미를 잃기 쉬운 사춘기의 청소년들에게 교육적으로도 그 의미가 크다.
  • 색인어
  • 의사소통 역량, 학습동기, 뇌과학, HCI, 가상현실, 융합형 교육프로그램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