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고대한자자료에 근거하여 제3세대 상고음 체계라고 평가 받는 鄭張尙芳<古音字表>(2003)에 수록된 設字ㆍ身字ㆍ信字의 재구음에 수정 의견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더불어서 首字와 舜字의 재구음을 뒷받침하는 고대한자학 방면의 증거를 제시한다.
본 연구는 고대한자자료에 근거하여 제3세대 상고음 체계라고 평가 받는 鄭張尙芳<古音字表>(2003)에 수록된 設字ㆍ身字ㆍ信字의 재구음에 수정 의견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더불어서 首字와 舜字의 재구음을 뒷받침하는 고대한자학 방면의 증거를 제시한다.
기대효과
고대한자자료는 다음 세 가지 이유에서 상고음 재구에 있어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1] 상고음과 동시대의 텍스트. [2] 傳世문헌에 보이지 않는 諧聲字 및 通假현상. [3] ≪說文解字≫의 잘못된 諧聲판단을 수정할 수 있는 근거.
주로 전통 문헌에 국한되어 연구를 진행하였던 기존 ...
고대한자자료는 다음 세 가지 이유에서 상고음 재구에 있어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1] 상고음과 동시대의 텍스트. [2] 傳世문헌에 보이지 않는 諧聲字 및 通假현상. [3] ≪說文解字≫의 잘못된 諧聲판단을 수정할 수 있는 근거.
주로 전통 문헌에 국한되어 연구를 진행하였던 기존의 상고음 연구에 비해서, 본 연구는 새로운 고대한자자료를 전면적으로 상고음 연구에 도입하였고, 그 결과 기존의 상고 재구음에 대하여 몇몇 수정의견을 제시할 수 있었다. 본 연구가 제시한 수정 재구음 및 기존의 재구음을 뒷받침하는 고대한자학 방면의 증거는 차후 진일보한 상고음 재구에 적극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요약
지난 세기 고대한자학은 출토자료의 등장에 힘입어 비약적인 발전을 이룩해 내었으며, 그 연구 성과는 옛 중국어음의 복원, 특히 상고음의 재구(reconstruction)에 유용한 근거로서 활용되고 있다. 본고는 출토자료를 활용한 연구 성과 중에서 書母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
지난 세기 고대한자학은 출토자료의 등장에 힘입어 비약적인 발전을 이룩해 내었으며, 그 연구 성과는 옛 중국어음의 복원, 특히 상고음의 재구(reconstruction)에 유용한 근거로서 활용되고 있다. 본고는 출토자료를 활용한 연구 성과 중에서 書母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검토ㆍ평가하고, 더불어 信字의 상고 성모 문제를 토의하였다. 본고는 이에 근거하여 제3세대 상고음 체계라고 평가 받는 鄭張尙芳<古音字表>(2003)에 수록된 일부 글자의 재구음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수정 의견을 제시한다.
設 *hljed → *hŋjed : 裘錫圭(1985/1998/2010)에 의하면, 設字는 埶字와 같은 어휘를 적은 글자이므로, 設字의 상고음 재구에 있어서 埶(藝)聲系字를 이용할 수 있다. 埶聲系의 핵자음은 *ŋ-이므로, 設字의 상고 성모를 *hŋj-로 고쳐 재구한다. 身 *qhjin → *hnjin : 楚簡에서는 仁字를 ‘(身+心)’와 같이 쓴다. 字는 소리부호 身과 의미부호 心의 결합으로 분석할 수 있으므로, 身字와 仁字의 상고음이 가까웠을 것이라고 추정할 수 있다. 仁字의 상고 성모는 비음인 *nj-이므로, 그 異體인 ‘’의 소리부호인 身字의 상고 성모 역시 비음이 포함된 *hnj-로 고쳐 재구한다. 攝 *ɦnjeb → *hnjeb : *ɦnj-는 船母의 상고 연원 중 하나이므로 書母字인 攝字의 상고 성모를 *ɦnj-로 재구한 것은 미스프린트가 분명하다. 聶聲系의 핵자음은 *n-이므로 攝字의 상고 성모를 *hnj-로 고쳐 재구한다. 信 *hljins → snins : 信字는 소리부호 人과 의미부호 言이 결합되어 만들어진 글자인데, 人字의 상고 성모는 비음인 *nj-이므로, 人字에서 소리를 얻는 信字의 상고 성모 역시 비음이 포함된 *sn-으로 고쳐 재구한다. 또한, 秦系문자에서의 信字는 人旁에서 소리를 얻지만, 楚簡에 보이는 信字는 소리부호로 千旁ㆍ身旁ㆍ仁旁이 쓰였다. 이것은 身字의 상고 성모에 비음 성분이 포함되어 있었을 것이라는 재구를 교차 증명하는 증거이다.
다음 두 글자는 출토자료에 보이는 현상 및 고대한자학의 새로운 연구 성과가 鄭張尙芳 <古音字表>의 재구음를 뒷받침하는 경우이다.
首 *hljuʔ : 首字는 道字의 소리부호이다. 楚簡에서 道字와 蹈字는 通假하는데, 舀聲系의 핵자음은 *l-이므로, 首字의 상고 성모를 *hlj-로 재구한 것은 楚簡通假例에 의해서도 증명된다. 舜 *hljuns : 季旭昇(2001)의 楚系文字 연구에 의하면, 舜字는 본래 允聲系에 포함되는 글자이다. 允聲系의 핵자음은 *l-이므로, 舜字의 상고 성모를 *hlj-로 재구한 것은 楚系文字에 의해서도 증명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