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1930년대 한중일 영화의 신여성 비교
A Comparative Study on New Women of the 1930's Silver Screen in Korea, China, Japan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시간강사지원사업
연구과제번호 2012S1A5B5A07035918
선정년도 2012 년
연구기간 1 년 (2012년 09월 01일 ~ 2013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정민아
연구수행기관 동국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는 1930년대 한국, 중국, 일본의 영화에서 재현된 신여성 양상을 비교 분석하는 기획이다. 영화에서 재현된 신여성은 이 시기 각 나라의 모더니티, 국가, 젠더, 영화관객성의 접합으로서 의미를 가진다. 전시체제라는 위기적 상황에서 십여 년간 영화가 국가적으로 어떻게 변화한 모습으로 생산되고 수용되었는지를 면밀한 안목으로 살펴봄으로써, 한국영화학 및 동북아 문화교류 연구에 새로운 분석틀과 연구 기반을 수립하고자 한다.
    1930년대 동북아 국가의 중요 담론이었던 신여성 담론이 영화에 반영되는 방식을 살펴보는 것은 당대 사회의 의식이 담겨있는 역사적인 증거물에 마주대함에 다름없다. 1930년대는 한중일 모두 비슷한 영화적 발전단계를 거친다. 1930년대 초기 서양문물인 영화를 모방함으로써 자국 무성영화의 토착화를 꾀하고, 1930년대 중반기에는 발성영화로의 전환을 맞이하며 일대 변화를 보인다. 또한 사회주의 리얼리즘 영화, 일명 경향 영화가 활발하게 제작되고, 한중일 문화예술인들의 교류가 눈에 띈다. 그러다가 1937년 이후 중일전쟁 발발을 계기로 동북아 국가들은 전시체제에 돌입하고, 영화는 강력한 국가의 통제에 들어가는 변화를 공유한다. 또한 이 시기에 대중문화로서 핵심적인 역할을 영화가 수행하면서 영화 스타가 대중을 사로잡는 중요한 아이콘으로 기능한다.
    1930년대는 동북아 국가에서 신여성 담론이 활발하게 형성되는 시기였다. 신여성은 20세기 초, 세계 전역에 걸쳐 나타난 사회적 현상이적 문화적 상징이었다. 특히 조선과 중국의 신여성 현상은 식민주의 담론과 이에 대한 지식인들의 반박과 전유가 이루어지는 젠더 정치학의 지형 속에서 전개되었다. 신여성은 전통과 근대, 낡은 것과 새로운 것, 민족적인 것과 외래적인 것이라는 대립을 동반하면서 새로운 규범을 만들어낸다. 신여성을 다루는 많은 매체들에서 남성의 욕망의 목소리를 더 자주 듣게 되는 것이 사실이지만, 신여성이라는 신인류의 출현에 당황하고 자신의 욕망을 투사하는 남성 지식인들의 담론 행간에 여성의 목소리 또한 삽입되어 있다는 점이 간과되어서는 안 된다. 영화 텍스트에는 배우, 관객, 유행, 담론 등 다양한 요소들이 구성되기에 남성의 욕망의 시선 외에 결을 거슬러 읽음으로써 여성의 목소리를 찾아내는 작업 또한 가능하다.
    젠더는 근대국가의 중요한 조직 원리이며, 통치체제의 변화는 젠더 관계에 일대 변화를 가져온다. 이러한 젠더 재구성의 메커니즘과 관련하여 누가, 어떤 방식으로 젠더 정체성을 특정 방향으로 규정해나가는가 하는 문제가 제기된다. 여기에는 정치, 정책, 미디어, 일상생활, 풍속 등이 다방면에서 작동한다. 특히 국가 위기 상황으로 이행하는 과도기의 새로운 사회 질서 속에서 영화 텍스트에 재현된 젠더 이미지는 더욱 강고해지고 명확해진 모습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영화 텍스트는 통치 권력, 창작자의 의지, 관객 집단의 욕망, 당대의 집단 무의식 등이 복합적으로 결합되어 나타나므로 재현된 이미지가 주는 의미망은 긴장감을 보이고 모순적인 틈새를 보인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시대적 배경 속에 신여성이 출연하는 1930년대 한중일 영화 텍스트에 대한 내용적, 형식적 분석을 통해 국가, 모더니티, 젠더, 영화관객성이 절합하는 방식을 탐구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진행하고자 한다.
    첫째, 1930년대 한중일 영화의 변화상을 신여성 재현의 분석을 통해 탐구한다. 영화가 대중문화의 중심에 자리 잡으면서 꽃피웠던 1930년대 초반에서 선전 계몽 미디어로 변용되기 시작하던 1930년대 중후반의 영화계 내부와 외부를 둘러싸고 벌어지던 일련의 변화와 담론들을 정리한다. 영화를 둘러싼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 차원을 다층적으로 탐구하여 한중일 영화를 비교 연구함으로써 세 나라 영화의 차이점과 유사성을 논리적으로 규명한다.
    둘째, 1930년대 정치담론 속에서 형성된 모더니티 및 국가 담론이 영화 텍스트의 신여성 재현에 어떻게 적용되었는지 탐구한다. 스타 기호를 중심으로 재현된 신여성 이미지의 다층적인 차원을 분석함으로서 영화가 국가 및 사회와 맺는 관계망을 중심으로 연구결과를 이론화한다.
    셋째, 한국영화를 주변국과 맺는 관계 속에서 살펴봄으로써 동북아 내에서 한국영화의 정체성을 정립하고, 한국영화를 초국가적으로 탐구한다. 중국과 일본과의 영화적 영향과 교류의 흔적을 영화 텍스트 내재적으로 정의하여, 한국영화의 트랜스내셔널리티의 기원을 탐색할 것으로 기대한다.
    넷째, 이상과 같은 학문적 성과를 바탕으로 동북아 영화 비교연구의 진척을 기하고, 후속 연구를 유도하며 교육 현장과의 연계를 시도함으로써 아시아영화학 및 한국영화학의 저변을 확대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1. 학문적, 교육적 기여도 및 활용방안
    첫째, 1930년대 한중일 영화 비교연구 방법론의 지평을 확대한다. 본 연구는 1930년대 십년간 한국, 중국, 일본 영화의 신여성이 재현되는 양상을 비교하기 위해 한중일 영상자료와 분석하고 문헌자료를 정리하여 거시적이고 다각적으로 살펴볼 것이다. 그럼으로써 본 연구는 한국영화사 연구의 지평을 확대하고 아시아 영화를 읽는 새로운 방법론을 확립하는데 한 역할을 해낼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수집된 다양한 문헌자료와 영상자료들은 동국대학교 영상대학원의 아카이브 시스템을 통하여 보관되어 추후 동아시아 영화 관련 후속 연구를 위한 기초 연구 자료로 기능할 것이다.
    둘째, 초기 한중일 영화 미학과 사회문화적 의미에 대한 연구를 심화한다. 본 연구는 특정시기의 한중일 영화를 하나의 키워드를 놓고 비교하면서, 형식적, 내용적 분석을 통해, 동북아 영화의 역사적, 미학적 연구의 깊이를 심화하는데 기여하게 될 것이다. 본 연구원은 각 나라의 영화들과 여성 재현 양상을 각기 구분하여 살펴보고 이후 종합적으로 동북아 세 나라의 영화들을 비교 정리하여 논문을 완성한다. 종합적으로 완성된 논문은 영상 전문 학술지에 게재될 것이며, 그 이전에 학술대회를 통해 국내외 학자들과 토론을 거치면서 연구 결과를 수정 보완한다. 이를 통해 앞으로의 동북아 영화와 관련된 다양한 의제를 더욱 풍부하게 생산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동아시아 영화의 깊이 있는 발전에 기여하는 일이 될 것이다.
    셋째, 단행본 출간으로 동북아 영화 연구의 토대를 형성한다. 본 연구의 연수완료 후 발표된 연구 성과물을 바탕으로 1년간 더욱 확장된 내용을 추가 보완하여 학술 단행본을 출간한다. 일제강점기 조선영화에 대한 연구방법론의 부족, 이 시기 중국영화와 일본영화의 자료에 대한 접근 부족으로 심층적 연구를 수행하지 못한 연구자들에게 기초 연구의 토대를 다질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로 발간될 단행본은 후속 연구자들의 연이은 의미 있는 연구 성과를 만드는 기초 작업으로 작용할 것이다. 또한, 아시아 영화학, 동아시아 지역학, 젠더 연구 등의 새로운 과목개설을 도모하며, 발간된 출판물과 주제는 수업용 교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동아시아 영화학의 소통 및 연구자 네트워크를 구축한다. 본 연구 성과물을 국제영화제 학술포럼이나 국제 학술대회, 또는 영문저널 등을 통해 발표, 동북아 영화학 전문가들과 토론의 장을 만들고 교류를 활성화하여 국제 공동연구 진행을 위한 협력의 기회를 만든다. 이는 추후 트랜스내셔널리즘과 관련한 발전적인 의제들을 생산하는 동력을 이끌어낼 것이다.

    2. 사회문화적 기여도
    첫째, 본 연구는 한중일 삼국의 과거 영화를 현재에서 재해석하고 신여성이라는 공통의 분모로 유사성과 특이성을 추출하는 것을 통해 동북아 문화의 흐름을 살펴보고 공통의 지적 기반을 마련한다. 식민지배와 전쟁을 경험했고 지금도 국가 사이의 치열한 경쟁이 이루어지고 있는 동아시아 국가간 문화적 연대를 모색하기 위해 과거 유사한 흐름을 공유하고 상호간 영향을 깊은 주고받았던 시대의 영화문화를 비판적으로 성찰하여 문화적 협력을 공고히 한다.
    둘째, 초기 한국영화를 끊임없이 소환하여 연구함으로써 현재의 외형으로 크게 성장한 한국영화산업의 전통을 바로 세우고 한국영화 미학의 초기적 특징을 지속적으로 연구하여 일제강점기 영화의 중요성을 학계와 문화예술계에 각인시키게 될 것이다.
    셋째, 일제강점기를 시대적 배경으로 하는 한국영화 제작에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최근 몇 년간 근대화 초기의 1930년대를 배경으로 하는 영화가 다수 제작되었고, 현재에도 2차 대전 이전의 일촉즉발의 사회적 분위기를 소재로 장르영화들이 기획되고 있다. 영화제작에 있어 캐릭터 구현을 위한 모델로 본 그 시대와 신여성 재현을 다룬 연구 성과물이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3. 교육과의 연계활용 방안
    첫째, 식민지 시기 동북아영화학 수업 개설 및 교재 활용으로 후속 연구를 견인한다. 연구 결과 논문, 단행본, 영문 저널, 학술대회 논문집 등은 대학의 후속 연구자들에게 이 시기 동북아영화 관련 새로운 의제를 만들어내고 후속 연구를 위한 기초를 확보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둘째, 아카이브 시스템 구축을 통한 교육용, 연구용 자료로의 활용될 것이다. 본 연구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문헌자료들을 동국대학교 영상대학원의 아카이브 및 영화연구 기관의 교육용 자료로 활용하도록 한다. 아카이브를 통해 한중일 영화사 원자료와 해제 자료, 그리고 연구 성과물이 연구자들에게 보급된다면 아시아영화학 후속 연구와 후속 연구인력 확보에 커다란 보탬이 될 것이다.
  • 연구요약
  • 페미니즘 영화사 기술은 영화연구의 역동적인 터전이다. 옛날 영화는 민족지영화의 새로운 유형으로, 초기영화에서 보이는 젠더의 구성은 억압의 일종으로 드러나지만, 현재에는 새로운 분석적 시각을 더함으로써 당대를 읽는 의미심장한 구원의 약호가 된다. 이 시기 동북아 영화산업은 민족주의, 국가, 젠더, 모더니티라는 담론의 복잡한 네트워크 내에서 강화되었다.
    초기영화 시기에 젠더와 근대성은 경쟁적으로 재현되는 과정에서 영화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해내었다. 서구화를 배제하고 근대화하는 문제, 그리고 영화적 재현이라는 기제 내에서 근대적이고 토착적인 대중문화의 조건들을 구별해내기 위한 시도들은 반복적으로 여성의 몸에 관심을 기울이는 형태로 나타난다. 한중일 영화에서 여배우들은 스크린에 등장하여 초기 무성영화의 여장배우라는 관습을 폐기하고 영화적 재현의 사실주의 미학을 여성의 육체를 전시하는 것을 통해 구현하도록 하는데 기여했다.
    본 연구를 통해 다루고자 하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1930년대 조선영화에서 재현된 신여성의 의미는 어떠한 변화 양상을 보이는가?
    1930년대 중반 조선영화 속 신여성의 이미지는 타락의 이미지로 표현되다가, 1937년 이후에는 현모양처 이미지로 변모하면서 영화에 국가의 개입이 드러나는 징표로 작용한다. 이 영화들에서 결이 균질하지 않고 분열을 일으키는 측면에 대한 영화적 분석을 통해 당시의 복잡한 역학관계를 유추하고 새로운 영화역사 그리기를 시도하고자 한다.
    둘째, 1930년대 중국영화에서 재현된 신여성의 의미는 어떠한 변화 양상을 보이는가?
    1930년대 중국 좌익영화는 중국영화계에 근본적인 변화를 불러 일으켰는데, 그간 비현실적인 주제와 상업상에만 열중하는 영화인을 비판하는 목소리가 거세어지며 영화인들은 현실생활을 주제로 민족주의와 리얼리즘 전통을 잇는 작품들이 제작되기 시작했다. 스크린 속 신여성 이미지는 1930년대 좌익영화운동이 전개되면서 본격적으로 등장한다. 본고는 중국영화의 여성 재현이 자유로운 신여성, 파멸하는 신여성에서 숭고한 노동자 어머니상을 거쳐 전사의 이미지로 변모하는 과정의 역사적 흐름을 탐색하고자 한다.
    셋째, 1930년대 일본영화에서 재현된 신여성의 의미는 어떠한 변화 양상을 보이는가?
    1930년대 초반 영화는 1920년대 화려한 멜로드라마적 양식을 지속하지만, 현실적인 소재에 맞추어 제작되기보다는 할리우드 장르 양식을 취하거나 시대극으로 만들어졌다. 이어 서구 희극을 받아들이고 일본 전통을 결합한 일본적인 현대극에 대한 열망이 일어난다. 이에 소시민 영화라는 새로운 장르가 만들어지고, 일상적인 삶을 담은 여성영화가 발전했다. 1930년대 후반 일본은 본격적으로 군국주의 국가체제로 돌입하면서 정치적인 일대 변화를 맞이하고, 이러한 변화는 영화계에 큰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오즈 야스지로, 나루세 미키오, 미조구치 겐지의 여성영화를 중심으로 신여성 재현의 양상을 분석하고자 한다.
    넷째, 1930년대 한중일 영화에서 재현된 신여성은 각기 어떠한 유사성과 특정성을 보이는가?
    수입된 외화의 그늘 아래서 동북아의 초기영화는 토착화된 근대화로서의 시각문화에서 가장 중요한 매체가 되어, 아시아적 근대성의 경험에 적절한 새로운 언어를 형성했다. 1930년대 아시아영화는 민족적 대중문화의 조건들이 차차 정착되어감에 따라 서양영화 흉내내기와 그와의 차별화라는 이중적 역할을 구현했다. 이때 신여성은 국가 간의 문화적 교류를 시각화하는 표상으로 기능했다. 1930년대의 영화에 대한 담론은 아시아적 근대성에 관련된 관념들이 서로 교섭하는 장이며, 신여성은 근대 대중문화의 가능성과 위험성을 동시에 표상한다. 영화와 여성스타들은 도시적 사회구성체의 핵심에 놓였고, 동북아 영화에서 신여성의 등장은 젠더와 여성성의 규준, 그리고 모더니티에 관한 광범위한 논의를 촉발시켰다. 신여성을 둘러싼 성차별주의 담론들이 존재했지만 그들이 스크린이라는 공적 영역 내에서 어떻게 자리매김했는지를 밝히면 당대의 사회문화상과 함께 변모하는 젠더 인식을 읽을 수 있는 열쇠가 될 것이다.
  • 한글키워드
  • 1930년대 조선영화, 1930년대 상하이 영화, 1930년대 일본 멜로드라마, 민족영화, 신여성, 모던걸, 재현, 영화 역사기술, 모더니티, 젠더, 근대화, 관객성, 도시화, 자본주의, 사회주의, 민족주의, 시각성, 시각문화, 전시, 오리엔탈리즘, 현모양처, 하층민, 노동계급, 모성, 전시체제기, 국책협력영화, 프로파간다, 총후부인, 좌익 영화운동, 페미니즘, 동북아영화, 초국성, 디아스포라.
  • 영문키워드
  • Joseon Cinema in the 1930s, Japanese Melodrama in the 1930s, Shanghai Cinema in the 1930s, national cinema, new women, modern girl, representation, film-historiography, modernity, gender, modernization, urbanization, spectatorship, capitalism, socialism, nationalism, visuality, visual culture, exhibition, Orientalism, good wife, subaltern, working class, maternity, war regime, national policy film, propaganda, leftist cinema movement, feminism, East Asian Cinema, transnationality, diaspora.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신여성 담론은 1920년대에 전 세계적으로 모더니티의 유입과 함께 일어났다. 조선에서 근대의 출발선은 식민지 아래였다. 식민지 상황에서 과거와의 급격한 단절은 근대를 향한 열망을 증폭시켰고, ‘새로움’은 지상과제가 되어 사회 전면에 부각되었다. 식민권력은 피식민자의 대대적인 저항 이후 지배의 효과적인 수단으로 문화적 계몽을 앞세우는 한편, 피식민지식인들 또한 당시의 비참한 현실을 타개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론으로 근대문화의 수용을 요구했다. 이는 식민성과 모더니티에 대한 양가감정과 양가적 체험으로 나타났고, 이러한 양상은 1930년대 대중문화의 확산 과정에서 보편적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는 제2차 세계대전 이전시기인 1930년대를 중심으로 한국, 중국, 일본 영화에서 재현된 신여성 양상을 비교 분석한다. 영화에서 재현된 신여성은 이 시기 각 나라의 모더니티, 국가, 젠더, 영화관객성의 접합으로서 의미를 가진다.
    1930년대는 한중일 모두 비슷한 영화적 발전단계를 거쳐 갔다. 1930년대 초기 서양문물인 영화를 모방함으로서 자국 무성영화의 토착화를 꾀하고, 1930년대 중반기에는 발성영화로의 전환을 맞이하며 일대 변화를 보인다. 또한 사회주의 리얼리즘 영화, 일명 경향 영화가 활발하게 제작되고, 한중일 문화예술인들의 교류가 눈에 띈다. 그러다가 1937년 이후 중일전쟁 발발을 계기로 동북아 국가들은 전시체제에 돌입하고, 영화는 강력한 국가의 통제에 들어가는 변화를 공유한다.
    본 연구는 한국영화 <미몽>(1936)과 <군용열차>(1937), 중국영화 <신여성>(1934)과 <교차로>(1937), 일본영화 <비상선의 여자>(1933)과 <숙녀는 무엇을 잊었는가>(1937)에서 나타난 여성 이미지 재현의 변화 양상을 비교 분석하였다.
  • 영문
  • The discourse on ‘New Woman’ arose globally with the influx of modernity in 1920s. In case of Korea, the coming of modernity happened under the colonial rule. Drastic severance from the past amplified the longing for modernity and the pursuit of ‘newness’ emerged as the supreme task in Korean society at large. After experiencing the wholesale resistant movement, the colonial authority put up a banner of cultural enlightenment while the colonized intellectuals demanded adoption of modern culture as a means of overcoming the miserable reality at the time. It resulted in ambivalent experience and feelings regarding colonialism and modernity, which became common phenomena in the course of the spread of popular culture in 1930s.
    In this research I have analyzed and compared how the ‘New Woman’ was represented in Korean, Chinese and Japanese films of 1930s: Korean films such as <Sweet Dream>(1936), <Military Train>(1937), Chinese films such as <New Woman>(1934) <Crossroads>(1937), and Japanese films such as <Dragnet Girl>(1933), <What Did the Lady Forget?>(1937). The New Woman represented in the films is meaningful as the articulation of modernity, nation, gender and spectatorship of each country at the time.
    The film industries in Korea, China and Japan have experienced similar process of development in 1930s. In the beginning of 1930s each country tried to nativize the silent film by emulating the western culture, and in the middle of 1930s the films of each country experienced a drastic change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talking film. The 1930s also witnessed active production of the socialist-realist films or the tendency films and the cultural exchange among the artists of the three countries. With the outbreak of the Sino-Japanese War in 1937, the Northeast Asia was put on a war footing and the films of the time were tightly regulated by th state authority.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신여성 담론은 1920년대에 전 세계적으로 모더니티의 유입과 함께 일어났다. 조선에도 신인류가 출연한다. 한일병합 조약으로 시작하여, 조선 전체가 대한독립만세를 외친 3.1만세운동으로 마무리된 1910년대가 가고, 식민지 현실이 본격화되는 1920년대가 되자 신인류인 신여성이 출연한다. 근대에 대한 매혹, 테크놀로지와 도시의 발달, 근대적 시각문화가 당도한 그 시기에 조선인들은 새로운 감각으로 일상을 살아가고 있었다. 이 시기는 이전과는 다른 모습을 띄었다. 그들은 ‘신(新)’의 타이틀을 달고 이전의 과거와는 다른 순간을 맞이했다. 갑자기 등장한 낯선 인간들, 그들은 양장을 하고, 보브단발을 하였으며, 뾰족구두를 신고 거리를 활보했다. 1920년대에 등장한 이들을 사람들은 ‘모던껄’라고 불렀다. “원숭이 궁둥짝 같은 홍안, 핏빛 같은 구홍, 제비꼬리같은 눈썹, 송곳 같은 구두 뒤축의 모-던 껄”로 묘사되듯이, 이들은 조선인들에게는 진기한 낯선 구경거리였다.
    근대의 출발선은 식민지 아래였다. 식민지 상황에서 과거와의 급격한 단절은 근대를 향한 열망을 증폭시켰고, ‘새로움’은 지상과제가 되어 사회 전면에 부각되었다. 식민권력은 피식민자의 대대적인 저항 이후 지배의 효과적인 수단으로 문화적 계몽을 앞세우는 한편, 피식민지식인들 또한 당시의 비참한 현실을 타개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론으로 근대문화의 수용을 요구했다. 이는 식민성과 모더니티에 대한 양가감정과 양가적 체험으로 나타났고, 이러한 양상은 1930년대 대중문화의 확산 과정에서 보편적으로 드러났다.
    식민지에 대한 민족적 저항을 적극적으로 표출하기 어려운 식민지 상황에서 근대적 가치에 대한 동경은 식민지 상황의 열등감과 우울을 해소할 것처럼 여겨지기 때문에 지식인을 중심으로 서양문화의 가치에 대한 적극적 수용의 움직임은 피할 수 없는 것이었다. 신세대 범위는 전체 계층으로 확산되어갔다. 이제 신여성, 모던걸과 모던보이, 신세대는 사회의 젊은 층 전체에게 호소하는 개념이 되었다. 신여성 담론은 일제의 변화된 통치 방식과 함께 형성된 식민지 조선의 담론장 속에서 형성되었다.
    본 연구는 제2차 세계대전 이전시기인 1930년대를 중심으로 한국, 중국, 일본 영화에서 재현된 신여성 양상을 비교 분석한다. 영화에서 재현된 신여성은 이 시기 각 나라의 모더니티, 국가, 젠더, 영화관객성의 접합으로서 의미를 가진다. 전시체제라는 위기적 상황에서 이 시기 십여 년간 영화가 국가적으로 어떻게 변화한 모습으로 생산되고 수용되었는지를 면밀한 안목으로 살펴본다.
    홍콩 출신으로 미국학계에서 활동하며 저명한 페미니스트 영문학자이자 중국문화 전문가인 레이 초우는 다음과 같이 주장한다. “영화 스크린은 창, 프레임, 거울 이상의 것이다. 영화 스크린은 여성의 신체를 증거이자 증인으로 삼은 범죄 장면이며, 새로운 유형의 민족지적인 회화이며, 국제적인 문화시장에서 일종의 ‘전선’이고 아케이드인 것이다.” 다시 말해, 사회적으로 억압받는 여성의 몸이 영화 이미지로 시각적으로 구조화될 때, 이는 사회의 억압과 폭력이 의식적으로 진열되는 하나의 민속지적 진열장이 된다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1930년대 동북아 국가의 중요 담론이었던 신여성 담론이 영화에 반영되는 방식을 살펴보는 것은 당대 사회의 의식이 담겨있는 역사적인 증거물에 마주대함에 다름없다.
    1930년대는 한중일 모두 비슷한 영화적 발전단계를 거쳐 갔다. 1930년대 초기 서양문물인 영화를 모방함으로서 자국 무성영화의 토착화를 꾀하고, 1930년대 중반기에는 발성영화로의 전환을 맞이하며 일대 변화를 보인다. 또한 사회주의 리얼리즘 영화, 일명 경향 영화가 활발하게 제작되고, 한중일 문화예술인들의 교류가 눈에 띈다. 그러다가 1937년 이후 중일전쟁 발발을 계기로 동북아 국가들은 전시체제에 돌입하고, 영화는 강력한 국가의 통제에 들어가는 변화를 공유한다. 또한 이 시기에 대중문화로서 핵심적인 역할을 영화가 수행하면서 영화 스타가 대중을 사로잡는 중요한 아이콘으로 기능한다. 한국의 문예봉, 중국의 롼링위, 일본의 다나카 기누요, 리 코우란의 스타 기호가 이 시기를 거치면서 변화된 의미를 보인다. 이와 더불어, 영화의 역할은 오락에서 프로파간다로 변모된 양상을 보이는데, 이는 당시의 급변하는 사회상과 영화 정책, 국가 통제 및 대중 무의식과 깊은 상관관계를 맺는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연구결과>
    1937년 중일전쟁을 기점으로 하여 한중일 멜로드라마에 나타나는 여성 이미지는 변모된 양상을 보인다. 본 연구는 1930년대 한중일의 영화를 살펴보고 영화들에 재현된 여성 이미지를 분석했다.
    첫째, 1930년대 조선영화에서 재현된 신여성의 의미의 변화양상.
    1930년대 중반 영화 속 신여성의 이미지는 타락의 이미지로 표현된다. <미몽>의 바람난 여자가 스스로에게 응징을 내리는 결말은 당대의 분위기를 투명하게 투영한다. 1937년 이후의 영화는 현모양처 이미지로 변모하면서 영화에 국가의 개입이 드러나는 징표로 작용한다. 중일전쟁 이후, 본격적인 국책영화 시작을 알린 <군용열차>에서 두 명의 대표적인 여성 캐릭터는 총후부인으로서 남성을 지지하는 현모양처형의 구여성적 이미지를 강화한다. 그러나 단순하게 이분화하기에는 복잡한 식민주체의 모순점이 틈을 메운다. 조선영화인이 제작하고 출연하고 조선인이 관객 대부분을 차지하던 이 영화들에서 결이 균질하지 않고 분열을 일으키는 측면이 보였다. 세밀한 영화적 분석을 통해 당시의 복잡한 역학관계를 유추하고 새로운 영화역사 그리기가 가능해진다.
    둘째, 1930년대 중국영화에서 재현된 신여성의 의미의 변화 양상.
    1935년 <신여성>에서 주인공을 연기한 롼링위는 작품을 둘러싼 갈등으로 고민하다 자살했는데, 이 스타의 자살은 중국영화사에서 가장 충격적인 사건 중 하나였다. 영화 <신여성>은 여성 글쓰기와 여성에 관한 글쓰기라는 이중 구조를 가진 영화인데, 신여성에게 드리워진 운명의 비극적인 결말에 대한 사회적 알레고리를 묘사했다. 이는 신여성과 부권/남권 문화의 비극적인 충돌로 볼 수 있다. 같은 해에 만들어진 <신녀>에서 표현된 신성한 어머니는 좌익영화가 하층민/노동계급의 삶 속에서 숭고함을 찾는 방식을 보여준다. 굴욕 당하는 불행한 여성을 통해 사회의 고난과 병리를 지칭하고, 그녀의 숭고함과 불행을 사회동원의 힘으로 만들어내기 위한 시도였다.
    <교차로>에서 하층민 여성은 동일한 계급의 남성과의 사랑을 성취하기 위해 능동적으로 행위하고, 스스로 생존을 책임지며, 결국 사회의 곤궁함에도 불구하고 공동체 정신을 발휘하며 희망을 행향해 나아가는 모습을 보인다. 이는 좌익영화, 사회주의 리얼리즘에서 추구하는 씩씩한 여성상이다. 본 연구는 중국영화의 여성 재현이 자유로운 신여성, 파멸하는 신여성에서 숭고한 노동자 어머니상을 거쳐 전사의 이미지로 변모하는 과정의 역사적 흐름을 탐색해보았다.
    셋째, 1930년대 일본영화에서 재현된 신여성의 의미는 변화 양상.
    1930년대에는 오즈 야스지로와 나루세 미키오, 미조구치 겐지가 각각 자신만의 스타일로 여성을 주인공으로 내세우는 멜로드라마를 지속적으로 제작했다. 1930년대 후반 일본은 본격적으로 군국주의 국가체제로 돌입하면서 정치적인 일대 변화를 맞이하고, 이러한 변화는 영화계에 큰 영향을 미친다. 곧이어 영화산업은 국가통제 하에 들어가고 군국주의가 요구하는 전쟁을 정당화하는 영화를 제작하게 된다. 미조구치 겐지 같은 감독은 끝까지 저항해보지만, 결국은 국가시책에 동조할 수밖에 없었고, 이후 멜로드라마는 불필요한 형식으로 간주된다.
    <비상선의 여자>의 두 여성 캐릭터는 1930년대 신여성을 바라보는 남성적 시선을 체현한다. 이중적 근대화라는 기치 하에 서양의 것을 ‘일본적인 것’이 주도권을 잡고 받아들이는 일본 특유의 근대화라는 정책적 목표에 적절하게 영화의 여성 인물들이 그려진다. 근대화에 대한 자신감을 획득한 일본은, 전통여성과 모던걸을 대립구도로 놓고, 일본적인 전통성을 회복하는 것의 가치를 중요하게 표방한다. 중일전쟁 시기에 만들어진 소시민 코미디 <숙녀는 무엇을 잊었는가>는 가부장의 권위를 회복하고 현모양처의 본모습을 찾아가는 여성들의 자기반성을 그린다.
    1930년대의 영화에 대한 담론은 아시아적 근대성에 관련된 관념들이 서로 교섭하는 장이며, 신여성은 근대 대중문화의 가능성과 위험성을 동시에 표상한다. 영화와 여성스타들은 도시적 사회구성체의 핵심에 놓였고, 동북아 영화에서 신여성의 등장은 젠더와 여성성의 규준, 그리고 모더니티에 관한 광범위한 논의를 촉발시켰다. 영화의 모더니티는 여성스타들의 육체에 구현되었다. 의상이라는 도상을 통해, 특히 서양식 의복과 전통 의상 사이에 고도로 드러나는 긴장 관계, 그리고 새로운 근대 건축술과 실내 디자인의 대중성을 통해 신여성들은 모더니티의 경험 내에서 획득할 수 있는 새로운 정체성의 대표적 자아가 되었다.

    <연구 활용방안>
    1) 1930년대 한중일 영화 비교연구 방법론의 지평을 확대한다.
    2) 초기 한중일 영화 미학과 사회문화적 의미에 대한 연구를 심화한다.
    3) 동아시아 영화학의 소통 및 연구자 네트워크를 구축한다.
  • 색인어
  • 신여성, 모더니티, 1930년대 한국영화, 1930년대 중국영화, 1930년대 일본영화, 멜로드라마, 국책영화, 여성 재현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