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는 환경 재난에 따른 생명 위기의 시대다. 보수적 환경주의는 무분별한 자원 사용 탓이라고 보아, 과학기술에 의거하여 해결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것은 미봉책일 뿐이다. 반면 진보적 생태주의는 산업문명을 뿌리로 지적하여, 새로운 패러다임에 근거한 문명 전 ...
21세기는 환경 재난에 따른 생명 위기의 시대다. 보수적 환경주의는 무분별한 자원 사용 탓이라고 보아, 과학기술에 의거하여 해결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것은 미봉책일 뿐이다. 반면 진보적 생태주의는 산업문명을 뿌리로 지적하여, 새로운 패러다임에 근거한 문명 전환을 도모한다. 다만 기존의 생태주의는 자원 사용에 따른 혜택과 그로써 빚어지는 피해의 분배적 불공정성을 보지 못하는 우를 범하고 있다. 이에 생태주의 정의 모색이 요청된다. 그리고 더 나아가 동아시아의 생태 친화적 자연관과 가치관, 문화적 양태가 또한 반영되어야 한다. 이에 동아시아적 생태주의 정의 탐구를 목표로 한다.
기대효과
동아시아적 생태주의 정의 연구는 한국에서 거의 불모지와 다름 없는 환경 이론의 실질적 지평을 넓히게 될 것이다. 또한 직접적으로 국가 환경정책을 건전하게 인도함은 물론, 국내 환경 NGO를 바른 운동 노선으로 이끌어줄 것이다. 근원적으로는 문명의 규범적 지침으 ...
동아시아적 생태주의 정의 연구는 한국에서 거의 불모지와 다름 없는 환경 이론의 실질적 지평을 넓히게 될 것이다. 또한 직접적으로 국가 환경정책을 건전하게 인도함은 물론, 국내 환경 NGO를 바른 운동 노선으로 이끌어줄 것이다. 근원적으로는 문명의 규범적 지침으로 작용함으로써 새 문명 창출에 큰 도움을 줄 것이다. 뿐만 아니라 백두대간의 자연 친화성과 태백산맥의 자연 착취성을 대비시키는 등의 이 이론의 독창성은 세계 학계에 한국적 생태주의 정의의 우수성을 제대로 드러내는 계기를 만들 것이다.
연구요약
진보적 생태주의의 트로이카인 심층 생태주의와 사회 생태주의, 그리고 생태 여성주의를 연구 내용으로 삼는다. 특히 공통점과 차별성에 초점을 맞추어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또한 기존의 정의와 사회정의에 대한 연구 성과를 기반으로, 그 환경적 건전성을 평가하는 환 ...
진보적 생태주의의 트로이카인 심층 생태주의와 사회 생태주의, 그리고 생태 여성주의를 연구 내용으로 삼는다. 특히 공통점과 차별성에 초점을 맞추어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또한 기존의 정의와 사회정의에 대한 연구 성과를 기반으로, 그 환경적 건전성을 평가하는 환경정의를 주된 연구 내용으로 삼는다. 다만 환경정의가 여전히 강하게 인간 중심적이기에, 생태주의 정의로 고양시키는 연구를 진행한다. 그리고 더 나아가 동아시아의 자연 친화적 문화와 자연관을 연구 내용으로 포함시키다. 결과적으로 자연과 양립 가능한 새 문명의 패러다임을 주된 연구 내용으로 삼는다.
한글키워드
사회 생태주의,생태주의 정의,백두대간의 문화,자연 친화성,기-생태주의,환경정의,생태주의,생태 여성주의,심층 생태주의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국문
인류가 스스로의 생존의 알맞도록 자연에 문화를 구축하였고, 이를 발전시키는 과정에서 서양에서 산업문명을 탄생시켰는데, 이것이 인류에게 혜택만 주는 데 그치지 않고 환경재난을 초래하고 있다. 산업문명의 제도가 과학기술을 동력으로 삼고 자연에서 자원을 채취하 ...
인류가 스스로의 생존의 알맞도록 자연에 문화를 구축하였고, 이를 발전시키는 과정에서 서양에서 산업문명을 탄생시켰는데, 이것이 인류에게 혜택만 주는 데 그치지 않고 환경재난을 초래하고 있다. 산업문명의 제도가 과학기술을 동력으로 삼고 자연에서 자원을 채취하여 성장을 구가하고 있다. 그러나 산업문명은 환경위기를 자초하고 있기 때문에, 생활양식을 바꾸는 문명전환이 이루어질 때 비로소 위기 극복이 근본적으로 가능하게 될 것이다. 이에 대안적 생태주의 이념으로 심층 생태주의와 사회 생태주의, 생태 여성주의가 나타났다. 그리고 환경정의는 환경과 관련된 정책과 행위로 인해 영향을 받는 모든 사람들에게 혜택과 부담이 공정하게 분배되도록 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최종적으로 자연 친화적이었던 동아시아 자연관에 바탕을 둔 생명사상과 서양의 생태주의 사상이 합세하여 동서 협력적인 생태주의 이념이 출현하여 실현될 때 비로소 인류 사회가 생태적으로 건전하면서 지속 가능할 수 있다.
영문
Mankind has constructed culture on nature to maintain one's survival. Industrial civilization appeared in the process of development of culture in the West, but it has as much invited the environmental disasters as given the enormous benefits for huma ...
Mankind has constructed culture on nature to maintain one's survival. Industrial civilization appeared in the process of development of culture in the West, but it has as much invited the environmental disasters as given the enormous benefits for human. Institutions of industrial civilization are going to use resources from nature through scientific technology and to grow up gradually. However, because they'll cause the environmental crisis, we must realize the shift of civilization's paradigm containing the modes of life in order to suppress the crisis fundamentally. Deep ecology, social ecology, and eco-feminism have come into existence as alternative ideas of ecologism. And environmental justice focuses on the fair distribution of benefits and burdens among all of human affected by environmentally related decisions and actions. East-asian thoughts are nature-kindly. In the conclusion, it will be proposed that the joint work of East-asian thoughts and the Western ecologism will lead to a ecologically sound and sustainable society.
연구결과보고서
초록
보수적 환경 관리주의와 대비되는 입장이 진보적 생태주의이다. 생태주의는 현재의 환경재난이 문명의 구조적 요인에서 비롯되었기 때문에 장치 위기로 증폭될 것이라고 보고, 근본적 해결을 위해서 세계관과 가치관을 비롯하여 생활양식까지 포괄하는 문명 패러다임 전환 ...
보수적 환경 관리주의와 대비되는 입장이 진보적 생태주의이다. 생태주의는 현재의 환경재난이 문명의 구조적 요인에서 비롯되었기 때문에 장치 위기로 증폭될 것이라고 보고, 근본적 해결을 위해서 세계관과 가치관을 비롯하여 생활양식까지 포괄하는 문명 패러다임 전환이 요청된다고 여긴다. 특히 인간의 경제는 지구 생물권 하위 영역에 포함되고 지구 생물권의 생명부양 여력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인간 경제의 끊이없는 물질적 성장은 불가능하다고 주장한다. 심층 생태주의는 인간 중심의 세계관을 청산해야 한다고 보고, 생태 여성주의는 가부장제를 청산해야 하며, 사회 생태주의는 변증법적 자연주의 따라 인간의 문화가 자연과 상생하는 단계로 이행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환경정의는 자연으로부터 얻는 혜택과 그로 인해 발생하는 환경적 부담이 공정하게 분배되는 사회를 추구한다. 이런 서양의 생태주의에 동아시아 자연관이 결합될 때, 지속 가능한 사회를 구축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생태주의는 현 문명이 직면하고 있는 환경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 필요한 이념이다. 특히 세계가 지속 가능한 사회를 추구하고 있기 때문에, 생태주의 이념 연구는 사회에 실질적 기여를 할 것이다. 예컨대 대통영 자문 지속가능발전위원회의 경우, 그 이념을 추구하고 그 ...
생태주의는 현 문명이 직면하고 있는 환경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 필요한 이념이다. 특히 세계가 지속 가능한 사회를 추구하고 있기 때문에, 생태주의 이념 연구는 사회에 실질적 기여를 할 것이다. 예컨대 대통영 자문 지속가능발전위원회의 경우, 그 이념을 추구하고 그에 따라 정책을 일관되게 펼칠 것이 요청되는 현실에서 생태주의 이념은 그 지침 역할을 해주는 것으로 쓰일 것이다. 정의는 사회제도의 으뜸 덕목이다. 이에 환경정의는 사회가 자연으로부터 혜택을 누리고 또 그에 따른 환경상 부담을 짊어지게 될 때 공정한 분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도로 정착되어야 함을 요구한다. 따라서 환경정의는 환경 관련 정책에 규범적 지침 역할을 하는 것으로 쓰일 것이다. 본 연구 성과물의 하나인 <초록문명론>(동녘, 2004)은 이미 환경부 추천 도서로 선정되어 환경정책의 근원적 길잡이로 쓰이고 있고, 또 2005년 말 지속가능발전위원회의 요청에 따라 수행한 "문명과 자연의 상생 가치를 통한 생명 존중"의 발표 글 역시 지속가능발전의 가치관으로 채택되는 과정에 있다. 따라서 향후 본 연구는 더욱 적극적으로 사회와 정책, 환경교육의 영역에서 쓸모있게 사용되도록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