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러시아 문예이론의 국내 수용 양상에 관한 비판적 고찰 -바흐찐과 로뜨만 이론의 수용 과정에 나타난 문제점을 중심으로-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인문사회분야지원일반연구
연구과제번호 2003-074-AS0008
선정년도 2003 년
연구기간 2 년 (2003년 09월 01일 ~ 2005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홍상우
연구수행기관 경상국립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권기배
이은경(한국외국어대학교)
어건주(한국외국어대학교)
이용권(부산대학교)
유재천(경상대학교)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1983년을 기점으로 바흐찐과 로뜨만의 이론은 지금까지 거의 20년간 꾸준히 소개되고 연구되고 있다. 이들의 이론은 문학이론은 물론 실제비평에서, 인접학문에서, 그리고 심지어 문학교육에서도 그 영향력을 과시하고 있다. 이는 바흐찐과 로뜨만이 유행처럼, 아니면 홍역처럼 잠시 왔다 사라지는 일회성 이론가가 아니라는 점을 잘 대변해 준다.
    바흐찐과 로뜨만의 20여년에 걸친 국내 수용과정에서 이제는 이들 이론을 러시아어 원전을 통해 보다 체계화되고 종합적이며, 심화된 개방적 연구개발이 필요한 단계에 이르렀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제는 바흐찐과 로뜨만의 이론에 대한 핵심과 본질을 드러내는 작업이 필요하며, 그 작업은 본 연구와 같은 실증적인 작업의 토대 위에서만 가능하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 작업은 국문학 연구자만이 단독으로 해결할 수 없는 과제이다. 러시아어문학 전공자들과의 공동 연구를 통해서만 의미 있는 연구결과를 창출할 수 있다. 이러한 학제간의 공동 연구 작업을 수행하지 않고서는 바흐찐과 로뜨만의 문예이론 수용의 문제점 파악과 대안은 창출되기 어렵다.
    언어와 텍스트를 중심으로 학문적 토대를 마련한 형식주의와 구조주의 및 기호학은 20세기의 100년 동안 문학을 포함하는 예술과 문화를 읽는 중요한 잣대로써 기능하였다. 지난 세기 초의 형식주의와 60-70년대 프랑스 구조주의는 국내에서 여러 경로로 개별적이나마 양적으로는 충분히 소개되었다. 이에 반하여, 바흐찐의 문예이론과 로뜨만의 구조주의 시학 및 문화기호학은 문학 텍스트 분석에 원용되는 빈도가 매우 높을 뿐만 아니라, 문화현상을 설명하는 데 매우 유용한 이론임에도 불구하고 프랑스 구조주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국내에 소개가 적었으며, 수용과정도 체계적이지 못했다.
    이러한 이유로 본 연구는 프랑스 구조주의와 기호학과는 변별적 특징을 지니고 있는 바흐찐과 로뜨만의 이론을 수용과정에서부터 총체적인 점검을 시작하여, 이들 이론의 핵심을 규명해나가는 과제를 연구의 주요 목적으로 설정하였다.
    그와 같은 목표에 따라 본 연구는 각 연구년 차별로 7편의 논문들이 발표될 것이다. 1년차 연구에서는 로뜨만의 구조시학과 바흐찐의 대화 이론에 대한 국내 수용을 분석함과 더불어 각 이론들 자체에 대한 상세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산출 논문들은 다음과 같다. 1) 로뜨만 구조 시학의 국내 수용 분석, 2) 바흐찐의 국내수용에 관한 비판적 고찰(1), 3) 로뜨만의 구조 시학과 언어학적 분석 방법, 4) 대화이론을 통해 본 A. 비또프의「뿌쉬낀의 사진」, 5) 바흐찐의 언어와 대화, 6) 에이젠슈쩨인과 바흐찐의 카니발 이론, 7) 야콥슨과 로뜨만의 대립의 개념.
    2년차 연구에서는 로뜨만의 문화기호학과 바흐찐의 카니발이론과 크로노또프의 국내 수용에 관하여 연구하였고, 또한 각 이론들 자체에 대한 심화 연구를 병행하였다. 그 산출 논문들은 다음과 같다. 1) 『거장과 마르가리따』에 나타난 카니발적 탈관과 역설적 전복성의 미학, 2) 바흐찐의 국내수용에 관한 비판적 고찰(2), 3) 로뜨만 문화기호학의 국내수용연구, 4) 로뜨만의 문화기호학 연구: 텍스트 개념을 중심으로, 5) 에이젠슈쩨인과 로뜨만 연구, 6) 바흐찐의 크로노토프의 국내수용에 관한 고찰, 7) 바흐찐 언어이론의 다면적(多面的) 고찰.
  • 영문
  • This study which it sees a proper gain and loss and to sleep points out the problem point regarding the domestic accommodating of M. Bakhtin and report it helps it does. Bakhtin is accommodated about 20 years from study and the research which are various relates with a this even in last now the back is coming out pouring, knows the criticism reflection regarding the domestic accommodating of Bakhtin from the actual condition where the width of listening to the interest is recently expanded rather is demanded. Bakhtin all problems when maintaining the relationship of "Dialog", keep a life at last and that they start, it saw, this it explained also with a dialog in the end which repeats the amendment of multi order it was born in the terminology which is various and. Theory "Dialog" will do to become accomplished the language concept and objection of Bakhtin in the same time when it is a thing, Bakhtin research why with versatility, it will yell and it is explaining well. The hazard which solves the errors of existing must see overview to observe the departure and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the Bakhtin's theory which stands and, specially different Western objection and there is a necessity must research in the independent territory which it does not dilute.
    Dialog and Carnival are to Bakhtin and puts out most it is a language concept which is important from the point which is identity which expresses the voice of oneself and. Like this point of an argument accepted well from domestic accommodating process and support the reason which is not with problem of social problem and foreign nation literature accommodating process was the reason which is going in gear. The consumer body which is accurate in our actual condition which Russia and is discontinued impossibility was the place is most big cause. Also by the advanced scholars the work which is active accomplishes and break off relationship with Russia is long, by the culture coat difference which it does but overview intelligence. It leaves the subject whose the next Bakhtin research is many consequently. First of all it is to accomplish the agreement at translate and terminology. It it cabineted to the philosophy base of the Bakhtin where is not the confrontation translation of region day in national language from jar outside national language only by the translation it will be able to trust is possible. The work which is active it applies in our literature is necessary at second. The research where the literature research by the field already is like this from multiple dissertation being advanced, it is but the application of Bakhtin objection as the research which becomes independent is demanded.
    For the full understanding of literature Lotman employs the various linguistic methods in the text analysis. Nevertheless most of the korean literary works didn't take full advantage of Lotman's structural poetic theory. It is due to insufficiency of accurate understanding of the Lotman's theory or researcher's naive ignorance. The Lotman's literary works were translated into korean in the last 1980s - early 1990s. Because of defect of study through the korean translations, accurate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the Lotman's theory fall into a difficult situation. Because structure of russian language is essentially different from korean. Especially, the principles of morphological poetic analysis, that Lotman showed marked prominence in analysis, do not apply to korean texts. Besides that, unsatisfactory researches were found. The causes of mistakes were subjective application of concepts, imperfect of understanding of the Lotman's theory and superficial and individual use of each concepts. But recently properly analysed works are on the increas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1983년을 기점으로 바흐찐과 로뜨만의 이론은 지금까지 거의 20년간 꾸준히 소개되고 연구되고 있다. 이들의 이론은 문학이론은 물론 실제비평에서, 인접학문에서, 그리고 심지어 문학교육에서도 그 영향력을 과시하고 있다. 이는 바흐찐과 로뜨만이 유행처럼, 아니면 홍역처럼 잠시 왔다 사라지는 일회성 이론가가 아니라는 점을 잘 대변해 준다.
    바흐찐과 로뜨만의 20여년에 걸친 국내 수용과정에서 이제는 이들 이론을 러시아어 원전을 통해 보다 체계화되고 종합적이며, 심화된 개방적 연구개발이 필요한 단계에 이르렀다고 할 수 있다.
    한편 바흐찐과 로뜨만의 문학이론이 다양한 문학 작품에서도 동일하게 유용한 방법이 될 수 있느냐 하는 것은 또 하나의 쟁점이다. 80년대 후반부터 지금까지 국문학과에서 배출하고 있는 석․박사 학위 논문과 국문학자의 단독 연구에서 바흐찐과 로뜨만의 이론을 원용한 분석논문이 대단히 많기 때문이다. 만일 바흐찐과 로뜨만의 이론이 다양한 문학 작품과 문화현상에 적용이 가능하다면 문제가 없겠지만, 그렇지 않다면 우리는 이제까지 바흐찐과 로뜨만의 이론을 분석과 해석의 준거틀로 사용하고 있는 수많은 국문학 연구물들을 다시 한번 검토해 보아야 한다. 그리고 바흐찐과 로뜨만의 문학 이론이 다양한 작품의 분석에 유용하다는 것 자체도 문제가 전혀 안되는 것은 아니다. 사실 이들의 이론이 국문학의 연구들에서 코에 걸면 코걸이 귀에 걸면 귀걸이 식으로 적용된 것은 바흐찐의 다원주의적․대화주의적 태도와 로뜨만의 문학이론이 학제적․개방적 성격을 가지고 있음에 기인하고 있다.
    따라서 이제는 바흐찐과 로뜨만의 이론에 대한 핵심과 본질을 드러내는 작업이 필요하며, 그 작업은 본 연구와 같은 실증적인 작업의 토대 위에서만 가능하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 작업은 국문학 연구자만이 단독으로 해결할 수 없는 과제이다. 러시아어문학 전공자들과의 공동 연구를 통해서만 의미 있는 연구결과를 창출할 수 있다. 이러한 학제간의 공동 연구 작업을 수행하지 않고서는 바흐찐과 로뜨만의 문예이론 수용의 문제점 파악과 대안은 창출되기 어렵다.
    언어와 텍스트를 중심으로 학문적 토대를 마련한 형식주의와 구조주의 및 기호학은 20세기의 100년 동안 문학을 포함하는 예술과 문화를 읽는 중요한 잣대로써 기능하였다. 지난 세기 초의 형식주의와 60-70년대 프랑스 구조주의는 국내에서 여러 경로로 개별적이나마 양적으로는 충분히 소개되었다. 이에 반하여, 바흐찐의 문예이론과 로뜨만의 구조주의 시학 및 문화기호학은 문학 텍스트 분석에 원용되는 빈도가 매우 높을 뿐만 아니라, 문화현상을 설명하는 데 매우 유용한 이론임에도 불구하고 프랑스 구조주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국내에 소개가 적었으며, 수용과정도 체계적이지 못했다.
    이러한 이유로 본 연구는 프랑스 구조주의와 기호학과는 변별적 특징을 지니고 있는 바흐찐과 로뜨만의 이론을 수용과정에서부터 총체적인 점검을 시작하여, 이들 이론의 핵심을 규명해나가는 과제를 연구의 주요 목적으로 설정하였다.
    그와 같은 목표에 따라 본 연구는 각 연구년 차별로 7편의 논문들이 발표될 것이다. 1년차 연구에서는 로뜨만의 구조시학과 바흐찐의 대화 이론에 대한 국내 수용을 분석함과 더불어 각 이론들 자체에 대한 상세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산출 논문들은 다음과 같다. 1) 로뜨만 구조 시학의 국내 수용 분석, 2) 바흐찐의 국내수용에 관한 비판적 고찰(1), 3) 로뜨만의 구조 시학과 언어학적 분석 방법, 4) 대화이론을 통해 본 A. 비또프의「뿌쉬낀의 사진」, 5) 바흐찐의 언어와 대화, 6) 에이젠슈쩨인과 바흐찐의 카니발 이론, 7) 야콥슨과 로뜨만의 대립의 개념.
    2년차 연구에서는 로뜨만의 문화기호학과 바흐찐의 카니발이론과 크로노또프의 국내 수용에 관하여 연구하였고, 또한 각 이론들 자체에 대한 심화 연구를 병행하였다. 그 산출 논문들은 다음과 같다. 1) 『거장과 마르가리따』에 나타난 카니발적 탈관과 역설적 전복성의 미학, 2) 바흐찐의 국내수용에 관한 비판적 고찰(2), 3) 로뜨만 문화기호학의 국내수용연구, 4) 로뜨만의 문화기호학 연구: 텍스트 개념을 중심으로, 5) 에이젠슈쩨인과 로뜨만 연구, 6) 바흐찐의 크로노토프의 국내수용에 관한 고찰, 7) 바흐찐 언어이론의 다면적(多面的) 고찰.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국문학 연구진과의 공동연구 프로젝트로 기획된 본 연구는 바흐찐과 로뜨만 이론의 국내 수용과정에 나타난 문제점을 중심으로 수용양상에 관한 비판적 고찰을 다루고 있다. 이러한 연구는 바흐찐과 로뜨만의 이론을 보다 체계적이고 심도 있게 연구할 수 있는 바탕을 마련하는 것뿐만 아니라, 전사(前史)로서의 러시아 형식주의 연구 및 리하쵸프를 위시한 70년대 소비에트 학계에서 이루어진 문화기호학의 제 이론을 이해하고, 또한 그것을 국내에 도입하는 데 필수적인 선행연구의 성격도 가질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바흐찐과 로뜨만 이론의 학제적 특성과 개방성을 고려한 본 연구는 이들 이론의 연구에 새로운 이해와 적용의 방법을 개발하고, 미국과 유럽의 단면적인 러시아 문예이론 연구의 경향과도 변별적 특징을 장점으로 취할 수 있다.
    바흐찐에게서는 사회적이고 로뜨만에게서는 구조적이듯이 이 두 사상가의 이론적 가정과 그 공헌하는 바는 서로 다르다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포스트 구조주의적인 성격을 공통으로 지닌다는 점에서 볼 때, 수용양상을 통한 두 이론의 비교분석은 그 타당성을 확보한다고 간주할 수 있을 것이다. 언어의 이데올로기적 측면을 강조하는 바흐찐이나 기호체계로서 언어를 강조하는 로뜨만은 각각 언어를 새롭게 정의함으로써 자신의 독창적인 이론구축을 시작하였다. 나아가 두 이론은 ‘언어’로 구성된 텍스트를 중요시하며, 이 ‘언어’와 텍스트가 빚어내는 소통현상의 규명에 노력한다. 따라서 국내 수용과정의 문제점들을 점검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언어철학과 구조주의 언어학을 중심으로 바흐찐과 로뜨만에 대한 보다 깊은 이해에 도달할 수 있었다.
    바흐찐과 로뜨만 이론의 국내수용과정에 나타난 문제점을 분석하는 본 연구는 유기적 연관성이 없이 국내에 단편적으로 번역 소개되거나, 단기적 개별연구로 이루어진 바흐찐과 로뜨만의 이론 및 사상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원용할 수 있는 토대이다.

    ▶바흐찐과 로뜨만의 제 이론이 한국문학 이론이나 연구 방법론에 끼친 영향에 대한 총체적이고도 실증적인 연구
    ▶세계를 이해하기 위한 새로운 통합적 지식으로서의 이들 두 이론가의 문화이론 구명(究明)과 조망
    ▶국내 러시아 어문학 연구와 국문학 연구와의 학제적, 개방적 연구개발 촉진
    ▶러시아 문학이론 연구 및 교육과 국문학의 시와 산문의 교육, 그리고 텍스트해석 분야의 교육에 기여
    ▶러시아 형식주의와 구조주의 문학이론을 포함한 70년대 소련 학계의 사상적 조류 파악
    ▶21세기의 새로운 문예이론의 창출을 위한 준비 작업
    ▶국내에 소개되지 않은 바흐찐의 주요 저서와 논문의 원전 번역
    ▶로뜨만의 주요 저서와 논문 번역을 비롯하여 주해를 첨부한 로뜨만의 저서 ꡔ문화와 폭발ꡕ의 번역을 위한 예비작업으로서의 연구
  • 색인어
  • 바흐찐, 로뜨만, 에이젠쉬쩨인, 대화, 크로노또프, 카니발, 카니발적 탈관, 전복성, 말, 축제, 거장과 마르가리따, 텍스트, 구조시학, 기호학, 문학작품 분석, 형식주의, 소쉬르,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